부산 영주 1동과 대청사 5가 일대|재개발 사업 취소해야 마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부산시가 중구 영주1동과 대청동5가 일부 지역 등 관광「호텔」주변 주택가를 느닷없이 재개발 지역으로 지정해 주민들은 언제 집이 헐릴지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도시의 재개발 사업은 도시 취약 지대의 미관을 바로잡고 토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시행되는 것으로 알고 있읍니다. 그러나 이 지대는 불량주택이 밀집해 있는 취약 지구가 아닙니다. 특급「호텔」 주변 정화를 위해서라는 것입니다. 오늘날 같은 자원 부족 시대에 재개발이란 이름으로 버젓한 주택가를 밀어붙이겠다니 있을 수 없는 일이라 생각됩니다. 이곳의 실정을 취재 보도해 주십시오.<정호기·63·부산시 중구 영주1동696>
이곳의 재개발 사업을 둘러싼 시비는 부산시가 지난 1월22일 주민들에게「코모도」관광「호텔」주변 일대가 재개발 지구로 지정됐다고 주민들에게 통보하면서부터였다.
대상 지역은 영주1∼4통 일대와 동광동 5가 16통 일대 4천여평.
해당 지역 안에는 1백82동의 주택에 3백76가구 주민이 살고있다.
부산시가 도심지의 이곳을 재개발 지역으로 지정한 것은 특급관광「호텔」주변이면서도 건물이 오래된 것들로 낡고 소방도로도 없어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시는 이 계획에 따라 지난해 3월부터 기초 조사에 나섰다. 3개월간에 걸친 기초조사에서 해당 지역 안에 무허가 건물이 42동이 있었을 뿐 전체 1백82동 중 철근 구조 건물 57동,「블록」13동, 목조기와 1백12동으로 주택 개량이 필요한 건물은 50동 미만인 것으로 분류됐다.
이 같은 기초조사는 중구청이 맡았고 중구청은 이조사 결과에 따라 재개발 사업을 위한 시의 예산뒷 받침이 어렵고 주민들의 부담도 커 일부 무허가 건물에 대해서만 현지 개량하는 것이 마땅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부산시에 이룰 건의했다.
그러나 부산시는 관할 구청의 이 같은 건의도 묵살하고 건설부에 재개발 구역으로 지정하도록 신청하고 건설부는 지난해 12월31일자로 재개발지역으로 지정, 주민들에게 통보했다. 당시 기초 조사를 맡았던 중구청은 주민들의 반발을 예상하고 조사도 극비리에 했지만 이때부터 건물의 신·개축 또는 증축이 일체 중지됐다.
이 주변의 정화사업은 78년1l월「코모도·호텔」이 완공된 이후 계속돼 인근 1백여가구 무허가 건물이 철거되고「호텔」진입로가 폭6m에서 15m로 확장됐다.
또 주민들도 시의 정화사업에 발맞추어 새마을사업 등으로 주변 정화 사업을 벌여 재개발이 필요없을 만큼 주거 환경이 개선되었다.
주민들은 관광사업진흥도 조용하지만 특정관광업소의 환경 정화를 이유로 도심지 미관을 해칠만큼 나쁜 건물들이 아닌 주택가를 도시재개발이란 구실아래 밀어붙이겠다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주민들은 특히 경제불황·물가고 등으로 그렇잖아도 생활이 어려워지고 있는 요즘같은 처지에 큰 흠이 없는 집을 헐고 뜯어고치는 식의 재개발은 시정돼야 한다고 했다.
부산시는 재개발지역 지정은 건설부 고시로 해제하기 어려우며 지역실정을 감안해 연기 또는 현지 개량 문제도 검토하겠다고 말하고 있다.【부산=주수성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