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안보 초당적 협력 유지돼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노무현 대통령이 집권 후 여야관계를 대화로 풀어가려는 자세는 매우 평가할 만하다. 盧대통령이 대북송금 특검법안의 공포와 관련, 야당지도자를 만난 데 이어 어제 청와대에서 이라크 파병안 처리를 위해 국회의장.정당지도자들과 협의한 것 등은 우리 의정사에 새로운 장(章)을 열었다.

대통령이 국정의 원만한 운영을 위해 여야지도자와 격의없는 협의를 하는 이 같은 사실관계가 축적될 경우 정치도 경쟁과 협력의 상생구도로 정착될 것이다.

특히 안보관계와 대북문제는 초당적인 합의하에 추진돼야 국민이 안심하며 국익도 극대화될 수 있다.그런 점에서 대통령과 국회의 대화 모습은 국민을 든든하게 만든다.

대통령이 반전 여론을 무릅쓰고 미국의 대(對)이라크전 지지 담화문을 발표한 데 이어 여야지도자 간 회동을 하니까 야당이 오히려 파병동의안 처리에 더 적극적이라는 인상을 주지 않는가.

여당의 일부 의원들까지 파병에 반대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대통령이 여야지도부의 초당적 협력을 이끌어낸 이런 모임은 대통령의 짐을 한결 덜어주면서 국민의 불안감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대통령은 앞으로도 한.미동맹과 주한미군 위상 변경 등 안보문제, 북핵을 포함한 대북문제 등에 대해선 여야, 특히 야당과 머리를 맞대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야 한다. 서로 간의 의견차로 초당적 방안 마련이 어려울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럴수록 더 큰 국익을 위해 인내심을 갖고 대통령과 야당지도자가 협의한다면 보다 나은 방안이 나올 것이다. 완전한 합의가 안된다 하더라도 그것이 격심한 정쟁의 대상이 되지는 않을 것이다.

국민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흔들린 한.미 관계에 크게 걱정하고 있다. 대통령이 이라크사태와 관련해 여야 간에 조성된 초당적 협력 분위기를 한.미관계의 개선에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또 안보에 관해선 대야 정세 브리핑 등 정보지원도 아끼지 말아야 한다. 盧대통령의 '위기는 기회'라는 말처럼 여야의 초당적 협력이 우리 안보를 든든하게 만드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