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에 한창…취로사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노임살포를 위한 새마을노임소득사업이 각 지방마다 당초계획보다 규모와 액수가 크게 늘어난 데다 사업착수시기도 예정보다 앞당겨져 한겨울부터 일제히 실시되고 있다. 27일 본사 전국취재망을 통한 노임소득사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국 각 시·도에는 74년 말에 수립했던 당초 사업계획과는 달리 내무부로부터 1월 들어 평균2백%이상 늘어난 대상인원과 사업비가 배경된 데다 『조기착공·조기완성 하라』는 지침까지 내려져 예년보다 평균 한 달을 앞당겨 상반기 사업이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일부지방에는 당초 계획에 없던 관민투자사업까지 추진하도록 사업비가 배정돼 공사「붐」을 일으키고 있다.
각 시·도는 당초 올해 노임살포사업계획을 74년 말까지 모두 수립, 전례에 따라 상반기 사업을 2월께부터 착공키로 했으나 1월 들어 내무부의 지시로 당초 계획이 늘어난 데다 모든 사업을 시무식이 끝난 1월4일께부터 앞당겨 실시했다.
이 때문에 일부지방에서는 미처 공사설계서가 준비되지 않아 설계도 없이 공사가 시작되는가하면 추운 날씨에 언 땅을 파고 공사를 추진, 부실 공사의 우려마저 낳고있다고 주민들은 말하고있다.
전남도의 경우 당초 올해 노임살포사업으로 연인원 1백27만 명을 동원, 자재대와 노임으로 17억1천5백만 원을 살포키로 했으나 지난 1월10일 광주시민회관에서 열린 75년도 총화약진대회에서 대상인원을 당초 계획보다 2배가 넘는 2백83만8천2백69명으로 늘리고 노임과 자재대도 62억6백46만8천 원으로 크게 증액했다.
이와 함께 교부세로 32억4천5백만 원을 추가로 배정하고 마을당 50만 원 규모의 예산이 늘어나 새마을노임소득사업비는 94억5천1백46만8천 원으로 늘어났다.
경남도의 경우 1월 들어 추가로 책정된 노임살포사업비는 당초의 1천7백42건 55억6천만 원에서 6천9백64건 82억7천5백만 원으로 47·3%가 증가됐다.
1월 들어 늘어난 사업비는 26억8천7백만 원 가운데 자재비는 불과 1억6천9백만 원으로 추가된 예산의 대부분이 노임으로 살포되게 돼있다.
전북의 경우 이제까지 도급공사로 추진해오던 농업기반조성 및 지방건설 등 국비투자공사도 노임사업으로 전환, 올해에 모두 1백23건 19억 원 가운데 8억3천만 원이 노임으로 지급되게 했다.
경기도도 22억5천6백50만 원의 사업비가 계획보다 늘어남에 따라 1월∼2월 사이에 전체의 30∼40%를 방출할 계획을 세웠다.
충북의 경우 지난 4일∼24일 사이에 이미 연 5만1천8백42명에 3천9백만 원의 노임을 뿌려 지난해 이 기간에 비해 70%가 많은 사업량을 추진했다.
이밖에 올해 취로사업 2백20건 중 지난 24일까지 85%에 이르는 1백88건을 착공하는 등 조기착공을 서두르고 있다.
특히 지난해까지 해마다 4월 하순∼5월 상순에 착공했던 농업용수 개발사업을 지난 25일까지 모두 발주, 주민들은 얼어붙은 땅을 파고 공사를 시작했다.
이밖에 전남도는 4년째 끌어오던 광주시 구획정리사업을 오는 2월까지 모두 끝내도록 하고 이를 어길 때는 관계관의 사표를 받겠다고 지시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