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총연, 한국 정부 지원금' 형평성 논란

미주중앙

입력

한국 정부의 미주한인회총연합회(총회장 이정순·이하 미주총연) 지원 예산이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형평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발표된 재외동포재단의 올해 예산에 따르면 미주총연에 대한 지원금은 3억원(약 28만 달러)으로 예년에 비해 3배 이상 늘었다. 미주총연은 지난 2008년부터 매년 8만 달러씩 지원받았다. 올해 동포재단의 동포단체 활성화 지원 예산 총액은 34억700만원이다.

하지만 미주총연이 이렇다 할 활동이 없는 단체라는 점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 단체 관계자는 "그동안 미주총연의 사업중에 기억나는 것이 거의 없다"며 "열심히 활동하는 단체라면 지원금 증액이 반가운 소식이지만 솔직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미주총연은 현재 공식 홈페이지 조차 제대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미 제25대가 출범한지 시간이 꽤 지났음에도 사이트 초기화면에는 여전히 24대 정회원 리스트가 올라있는가 하면, '해외 한민족 대표회의' '미주총연 연간 계획표' 등도 제대로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LA한인회의 배무한 회장은 "올해 LA한인회에 대한 한국정부 지원금은 2만 달러에 불과하다"고 공개하면서 "미주총연이 전국 한인회 대표단체로서 어떤 활동을 해왔는지 모르겠지만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배 회장은 "조규형 동포재단 이사장이 LA(14일)를 방문하면 이 문제를 거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정순 미주총연 회장은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다. 동포재단 이사회를 통과한 뒤 외교부 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며 말을 아꼈다.

하지만 차세대 육성 및 정치력 신장 사업 계획서를 동포재단에 제출하는 등 올해 많은 활동 계획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회장은 "올해 9월에 세계청소년 차세대 컨벤션을 개최하는 것이 가장 큰 행사로 예정돼 있다"며 "한인 차세대들에게 롤 모델이 될 수 있는 명사들을 초청하는 행사다. 이를 통해 한인차세대 네트워크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한인정치인 세미나도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

김길영 사무총장도 "총연 내부문제 등으로 지난 2년 동안 단체 활동이 사실상 마비상태였다"면서도 "하지만 지난해 7월부터 정상화 됐고, 북한인권법 문제와 전문직 비자 문제 등에 앞장서고 있다"고 주장했다.

지역 한인회에 대한 지원 가능성 여부에 대해 김 사무총장은 "현재 전국에 168개 한인회가 있다. 다 지원하는 것은 힘들다. 지역 단체들의 재정 일은 자체적으로 알아서 해야 한다"면서 "다만 전국적인 사업, 청소년 사업이면 지원할 수 있다"고 답했다.

원용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