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안보회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35개국 「유럽」안보회의 외상회의가 3일 「핀란드」의 수도 「헬싱키」에서 역사적인 막을 올렸다. 이 회의는 「나폴레옹」 몰락후의 「빈」회의(1814년) 및 제1차 세계대전후의 「베르사유」강화회의(1919년) 후 동서「유럽」의 전국가가 한자리에 모이는 「유럽」평화를 위한 최대의 국제회의라 할 수 있다.
이번 회의에는 친중공의 「알바니아」를 제외한 모든 「유럽」국가와 미국 및 「캐나다」가 참가했다는 데서도 그 규모를 알 수 있다.
본래 이 회의는 1954년 소련의 「몰로트프」외상이 제의한 이래 소련지도층의 숙원이었다. 그러나 동서「유럽」의 냉전으로 빛을 보지 못하다가 60년대 이후 동서「유럽」화해·협조「무드」를 타고 재론되기 시작했다.
특히 「닉슨」미국대통령의 방소 이후 동서 양 진영은 급격히 냉전시대를 완전히 청산하고 새로운 「유럽」의 질서 정립을 서둘렀다.
동서「유럽」불화의 가장 큰 불씨였던 백림문제가 「브란트」의 적극적인 동구정책으로 결말을 보고 동서독은 기본조약을 맺어 잠정적인 평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평화「무드」를 재빨리 포착한 소련의 제의로 「유럽」안보예비회담이 지난11월에 「헬싱키」에서 열려 8개월 동안의 예비토론을 거쳐 제1단계 본회의가 열린 것이다.
이번 회의의 주제는 ①안전보장 ②경제 및 기술교류 ③인간교류 및 정보 교환 ④본회의 후의 상설기구 설치 등 예비회담에서 결정된 의제들이다.
이상 의제에서 볼 수 있듯이 이번 회의는 전「유럽」이 국가가 전후 「유럽」의 현상을 인정, 무력으로 국경선을 변경하지 않을 것을 선언할 뿐만 아니라 동서간의 경제·인적교류를 좀더 활발히 할 수 있는 방법을 토의한다.
서방측은 특히 경제 및 인적교류를 통해 「철의 장막」을 엷게 하여 동구제국의 자유화 촉진에 주력할 것이다.
그러나 구주안보회의는 서방측 제의로 동서구주국가간에 출항해서 열리고 있는 동서 「유럽」이 병력상호균형삭감회의(MBFR)의 진전 없이는 성공할 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소련이 당초 구주안보회의를 제안한 것은 어디까지나 동서「유럽」의 현상고정을 원하기 때문인데 군사력의 균형없이 「유럽」의 건전한 안보가 이루어질 수는 없기 때문이다.
국경 불가침이라든지, 무력행사포기 등 군사문제를 주로 들고나올 소련과는 달리 서방측은 동서긴장 완화 및 협조는 경제 및 인적교류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이 틀림없다. 이번 회의에서도 폐쇄적인 동구 사회주의제국과 개방적인 서구와의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또한 각 국가간의 이해관계도 관련이 되어 당장에 극적인 진전을 보리라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특히 소련은 다분히 평화공세의 선전장으로 회의를 이용하려는 눈치다. 이번 회의의 첫 단계에서는 일반정책 토론에 그치고 세부적인 기술면의 작업은 오는 9월 「제네바」에서 열릴 제2단계 위원회별 회의에서 매듭이 지어져 제3단계 회의는 아마도 내년 봄쯤 정상회담으로 발전, 하나의 결실을 보게 될 것이라고 전망된다.
어떻든 「유럽」안보회의 개막을 계기로 동서 「유럽」화해는 소정에 달하고 「유럽」의 역사는 하나의 큰 전기를 맞았다고 할 수 있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