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군 지휘관 회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남북공동성명」발표 후 처음으로 전군 주요지휘관회의가 지난7일 국방부에서 열렸다. 이 회의에서 유 국방부장관은 『대화있는 대결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 실력배양이 더욱 요구된다』고 지적하고, 『감상적 평화통일론에 사로잡히는 일이 없이 계속 군의 정상화, 방위태세 강화에 이바지해야 하겠다』고 강조했다.
문제의 「7·4성명」은 남북이 서로 무력행사를 포기하고 대화로써 긴장을 풀어보자는 초보적인 합의이지 그것이 남북간의 적대적 대립을 완전히 해소하거나 혹은 한반도 정세를 완화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7·4성명」을 공산당이 받아들인 것은 오늘의 국제정세 여건으로 보아 그들이 단독으로 남북분단 동결의 기운성숙을 타파할 능력이 없으므로 일단은 강경정책을 후퇴시켜 정치공세·평화협상 공세를 치열히 펴 가지고 대한민국의 안보능력을 약화시켜 남침통일의 조건을 성숙시키고자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산당은 적화통일 노선을 포기한 것이 아니라, 적화통일을 할 수 있는 조건을 성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7·4성명」을 받아 들인데 지나지 않다.
「7·4성명」은 [평화통일」을 강조하고 있지만, 용어의 마술에 걸린 일부 국민 가운데는 평화통일이 당장에 실현되리라는 착각 밑에, 마음의 동요를 일으키고 있는 자들이 적지 않다. 같은「평화통일」이란 말을 쓰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평화통일과 공산당이 생각하는 평화통일 사이에는 천양지차가 있다. 우리가 말하는 평화통일이란 어디까지나 『평화로운 방법에 의한 자유사회체제하의 통일』인데 반해, 공산당의 평화통일은 『폭력혁명에 의한 적화통일』인 것이다. 따라서 남북간에 평화통일 원칙에 관한 합의가 성립됐다해서 두 개의 통일노선」 즉 「자유통일 노선」과 「적화통일 노선」사이의 대립이 완화되거나 사라진 것은 결코 아니다.
남북간의 관계개선은 가장 잘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대화에 의한 긴장완화로 평화공존을 해 나가는 것뿐이다 .공산당으로 하여금 분단동결 사실을 수락케 하는데 있어서도, 대화에 의한 긴장해소에 응하게 하는데 있어서도, 평화공존을 받아들이게 하는데 있어서도, 대한민국이 힘의 우위를 확보하는 것은 필수 불가결한 조건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공산당은 적대세력 중 약한 자는 반드시 짓밟아 버리고 강자에 대해서만 힘의 균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만부득이 평화공존 해 나간다.
국가가 가지고 있는 힘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더 말할 것도 없이 군사력이다. 군사력은 무기와 장비 등 물질의 힘과 무기를 갖고 있는 군인들의 사기나 사상등 정신의 힘의 총화로써 구성되는 것인데, 오늘과 같은 전환기 정세하에 있어서 국군장병 한 사람 한 사람이 어떤 정신상태로 공산당과 대결하는가는 실로 국가의 안위를 좌우하는 문제인 것이다. 우리는 국군 전 장병이 「7·4성명」에 하등 구애됨이 없이 정신무장을 가다듬어 조국방위의 중책을 다해 줄 것을 심심 당부한다.
7·4성명을 계기로 남북대립은 무력전쟁의 가능성을 충분히 내포한 채 「정치전쟁」,「사상전쟁」으로서의 성격을 선명히 띠게 되었다. 7·4성명이 주는 「쇼크」로 말미암아 우리사회가 정치적인 면, 사상면에서 다소의 동요를 면할 수 없음을 우리는 솔직히 시인한다. 그러나 설령 우리사회에 동요·불안·혼란이 생겨난다 하더라도 국가방위의 중책을 맡고있는, 국군장병들이 조금도 동요치 않고 왕성한 사기를 가지고 적침을 견제하고 방지해 준다면 우리사회는 계속 안전과 질서를 누릴 수 있다. 국군은 「조국방위의 간성」이라 하지만 이 말이 오늘처럼 절실한 의미를 띤 때는 휴전 후 처음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만약에 기회주의적인 회색분자, 감상적인 평화통일론자들이 날뛰고, 뚜렷한 자유·반공의 인사들의 존재가 희미해진다면 우리 나라는 어디로 갈 것인가? 반공·자유전선에서 수많은 희생자를 내면서 세워놓은 정신적 전통의 계승자인 우리국군은 상황변화 여하를 불문하고 반공투쟁의 마지막 보루라는 긍지를 가지고 끝까지 싸워주기를 염원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