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녹조 90%까지 차단 가능한 시스템 개발

중앙일보

입력

◇ 경기도가 개발한 녹조차단장치의 설치비는 기존에 도입 예정이었던 고도처리시스템의 25% 수준인 5억 원 정도로, 운영비 역시 인건비 정도만 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경기도가 차단막을 활용해 취수장의 녹조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섬모상 녹조차단장치’를 개발했다. 이 장치는 이르면 내년 하반기쯤 도입될 전망이다.경기도 팔당수질개선본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녹조차단장치 개발을 위한 예산절감 방안’을 발표했다. 섬모상 녹조차단장치는 환경부 R&D를 통해 개발됐던 홍수시 흙탕물 차단막 시스템을 응용한 것으로, 정수장 취수구 주변에 섬모상 녹조차단막을 설치해 녹조유입을 원천 차단하는 방식이다.

녹조가 심했던 의왕저수지 물로 수조실험을 한 결과 차단막이 알갱이 형태로 돼있는 녹조 유입을 60~90%까지 막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고도처리시스템 도입에 앞서 당장 급한 녹조처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특히, 일일 10만 톤 처리를 기준으로 녹조차단장치는 설치비가 5억 원이며 월 운영비 역시 인건비 정도만 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고도처리시스템의 설치비는 약 20억 원으로 설치 후 월 1500만 원의 전기료가 필요하다. 팔당상수원의 경우 2011년과 2012년 2차례에 걸쳐 조류주의보가 발령돼 수돗물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등 주민들의 불편이 컸다. 정부는 현재 취수장 고도처리시스템을 통해 녹조처리를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지만, 고도처리시스템 설치는 많은 예산과 시간이 필요해 당장 시급한 녹조처리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도의 입장이다.

팔당수질개선본부 관계자는 “오는 2016년까지 6100억 원의 예산을 들여 도내 22개 정수장에 고도처리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지만 예산문제로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매년 상수원의 녹조발생이 우려되는 만큼 고도처리시스템 도입 전까지라도 녹조차단막을 설치하면 녹조처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녹조차단막 설치는 물 위에 취수탑을 세워 물을 취수하는 방식과 바닥에 관을 설치해 취수하는 복류식 중 취수탑 형태에서만 가능하다. 도는 내년 5월쯤 실증시험을 거쳐 현재 취수탑을 사용하고 있는 수원 광교, 수원 파장, 남양주 도곡, 광주 용인공동취수장(팔당), 양주 광백, 포천 관인 등 6개 정수장에 녹조차단막을 도입할 계획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