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모래알 구르는 불편함, 이물질 아닌 안구건조증?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봄기운이 성큼 다가온 3월, 그러나 안구건조증도 느는 계절인만큼 충분한 수분섭취로 예방하는 게 필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2007년부터 2011년까지 ‘마른눈증후군(이하 안구건조증)’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체 진료환자가 2007년 142만6549명에서 2011년 219만3224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1.4%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성과 여성의 연평균 증가율이 각각 11.1%, 11.4%로 비슷한 수치를 보이지만, 진료인원은(2011년 기준) 여성 150만9,040명, 남성 68만4,184명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2.2배 많았다.

전년대비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2008년에는 전년대비 5.9% 증가했지만 2011년에는 전년대비 17.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진료건수가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특히 환절기(3,4월)와 냉방으로 밀폐된 공간에 있는 시기가 많은 8월에 진료인원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성별로 세분화해 살펴보면 전체 여성인구 10만명당 6167명, 남성인구 10만명당 2755명으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진료인원이 2.2배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진료비현황을 살펴보면 최근 5년간 전체 진료비 보험자부담금과 법정본인부담금의 합이 약 1.9배(2007년 685억→2011년 1,288억)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안과 박종운 교수는 "안구건조증은 모래알이 구르는 느낌, 비눗물이 들어간 듯한 작열감 또는 이물감 내지 뻑뻑한 느낌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며 "시각증상은 글씨가 흐려진다든지 초점이 맞지 않는다는 식으로 시각증상을 느끼게 된다"고 말했다.

봄철(환절기)에 진료인원이 높은 이유는 급격한 기온의 변화와 습도의 변화 그리고 미세한 먼지나 황사로 인하여 안구건조증상이 발생되고 악화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콘택트렌즈는 눈물의 증발을 증가시켜 눈을 건조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또 장기간 사용 시 각막의 지각예민도를 저하시켜 반사성 눈물 분비와 안구표면의 정상적인 항상성의 균형을 파괴하여 건성안을 유발할 수 있다.

안구건조증은 안구표면의 염증치료와 인공눈물을 기본적으로 시행한다. 안검염이 동반된 경우에는 안검염치료와 눈꺼풀위생 치료를 병행한다. 심한 경우에는 눈물점마개나 수술을 이용한 눈물관폐쇄도 시행할 수 있다.

가능한 안구에 염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눈병이 생긴 경우에는 바로바로 치료를 해 주는 것이 좋다. 여성은 콘택트렌즈나 경구용피임약이 안구 건조증을 유발 또는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그 사용에 주의한다.

눈꺼풀위생을 청결히 해 안검염의 발생빈도를 감소시키고, 눈물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의 사용을 자제한다. 건조하거나 비위생적인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고, 책이나 PC를 볼 때 쉬엄쉬엄 눈의 휴식을 취해주는 것이 좋다.

[인기기사]

·최종심사 초읽기 "가랑잎 소리에도 화들짝" [2013/03/25] 
·“돈 없는 환자는 죽으란 소리냐?”…진주의료원 폐업 맹비난 [2013/03/25] 
·우울증 약이 조루증 약이라고? [2013/03/25] 
·이노셀 녹십자셀로 사명 변경…"무상감자로 재무구조 개선" [2013/03/25] 
·매일유업 李대표 "내 친구 송명근은 선한 사람" [2013/03/25]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