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조각 인선 본격화

중앙일보

입력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국방부 장관을 제외한 18개 부처 장관에 대한 인사추천이 25일 공식 마감됨에 따라 새정부 조각 인선에 본격착수했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당선자는 국민참여센터를 통해 접수된 ‘숨은 인재’ 추천자료와 함께, 현 정부 및 자신이 확보하고 있는 인사자료를 인선에 종합 활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노 당선자는 특히 기초인사자료 분류 작업, 분과별 인사추천위 심사, 인사추천위 심사, 고 건(高 建) 총리후보 지명자와 협의, 인선 발표라는 5단계 공개절차를 거쳐 장관인사를 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에 인수위 분과별 추천심사 및 인사추천위 심사 결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분과별 추천 심사에선 인수위원뿐 아니라 언론계, 시민단체, 학계 등 외부인사들도 참여해 개별 인물을 놓고 찬반토론을 벌일 것으로 예상되며 인사추천위 심사에는 고 지명자와 임채정(林采正) 인수위원장, 문재인(文在寅) 민정수석 내정자, 신계륜(申溪輪) 당선자 인사특보 등 핵심 인사들이 참여해 인선을 사실상 확정하게 될것으로 보인다.

노 당선자는 국민추천외에도 사회 지도급 인사들로부터 별도로 장관 추천을 받을 것을 비서실쪽에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 당선자는 특히 26일 민주당 이상수(李相洙) 사무총장과 오찬 면담에서 민주당 전국구 의원의 입각 요청을 수용함으로써 현역의원이 내각에 일부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지역구 의원은 17대 총선이 1년도 채 남지 않은 점을 감안, 배제를 원칙으로하고 있으나 총선 출마를 포기할 경우 일부 의원의 입각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상수 총장은 입각 규모에 대해 “3개 부처를 거론했는데 노 당선자가 2명 정도하겠다고 말했다”고 밝힘으로써 당내 전국구 의원가운데 각각 교육부총리, 정보통신장관, 농림장관에 거론돼온 이재정(李在禎) 허운나(許雲那) 김영진(金泳鎭) 의원의기용 여부가 주목된다.

이번 조각에서 최대 관심인 경제분야 장관의 경우, 노 당선자의 개혁성향을 보완할 안정적 인물의 기용 가능성이 점쳐지지만, 개혁성향의 청와대 정책팀과 집권초기부터 마찰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어 인선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