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회사원, 왼팔 통증 때문에 뼈수술 했다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스포츠용품회사 영업부 차장이었던 김모(39·인천광역시 부평구)씨는 요즘 하루 종일 집에서 누워 지낸다. 목·쇄골·견갑골 등의 극심한 통증 때문에 몸을 움직이기 힘들어서다. 김씨의 통증은 두 차례의 척추수술에서 비롯됐다. 2011년 8월 왼팔 통증이 심해 찾아간 병원 두 곳에서 디스크 이상 소견을 받았다. 이들 병원은 수술을 권하지 않았다. 부작용이 있을 수 있고 수술해도 확실하게 증상이 나아진다는 보장이 없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던 차에 A척추병원을 소개받았다. 그 병원 의사는 검사 결과를 보고 “수술하자. 95% 이상 성공한다”고 장담했다. 입원 나흘 만에 3~6번 목뼈를 연결해 고정하는 수술을 받았다. 수술에 문제가 있어 그해 9월 2차 수술을 받았고 그 이후에도 호전되지 않았다. 김씨는 “1500만원을 들였는데도 수술을 안 받은 것보다 못하게 됐고 일자리도 잃었다”고 말했다. 김씨를 진찰한 B대학병원 교수는 “수술 전 최소 6주간 물리치료 등을 받도록 한 규정을 지키지 않았다. 수술을 안 했으면 이 정도까지 가진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척추수술을 받았다가 탈이 나는 환자가 끊이지 않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6일 “2011년 척추수술의 15%가 과잉수술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심평원은 2011년 척추수술 15만3661건 중 2만3385건(15.2%)을 과잉수술로 판정하고 진료비 292억원을 삭감했다. 2008년, 2009년 9%대였던 삭감률이 2010년 11%, 2011년에는 15.2%로 증가했다.

 과잉수술로 판정된 경우는 너무 성급하게 수술했거나 한두 개 척추뼈를 수술하면 될 것을 네댓 개에 손을 대는 식으로 수술 범위를 과도하게 잡은 경우가 60~70%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수술비를 과도하게 받은 경우 등이다. 심평원 진료비 심사지침에는 디스크로 진단되면 6~12주 물리치료·약물투여 등의 치료를 한 뒤에도 효과가 없을 때 수술을 하게 돼 있다.

 심평원은 척추수술 전문 중소병원이 증가하면서 경쟁이 격화돼 과잉수술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척추수술을 하는 전체 의료기관은 2008년 1077곳에서 2011년 1088곳으로 변화가 미미하지만 중소병원(30~100병상)은 같은 기간 451곳에서 496곳으로 늘었다. 삭감된 척추수술의 81%(2011년 기준)가 이들 중소병원에서 이뤄졌다. 서울의 C대학병원 교수는 “소규모 척추 전문병원들의 경쟁이 심해지면서 규정을 지키지 않고 수술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A척추 전문병원 측은 “다른 병원에서 물리치료 등을 하고 온 환자들이라서 곧바로 수술한 것이지 규정을 어긴 건 아니다” 고 주장했다.  
특별취재팀=신성식 선임기자, 장주영·차상은·배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