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민주당, 계파 체질로는 진보의 구심점 못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민주통합당이 어제 문희상 의원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대했다. 이로써 대선 패배의 충격을 추스르며 전당대회까지 당을 이끌 과도 관리체제가 갖춰졌다.

 하지만 속을 들여다 보면 산 넘어 산이다. 무엇보다 편을 갈라 세력다툼을 하는 계파 체질이 여전하다. 당초 비대위원장엔 주류·비주류가 각자 후보를 내세워 표 대결을 할 태세였다. 자칫 국민들 앞에서 당권 싸움의 추태를 보여줄 뻔했다. 막판에 가까스로 합의추대라는 모양새를 갖춘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또 향후 당 노선에 정체성을 더 강화하자는 주장도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진보 색채를 더 부각시키자는 뜻인데, 이는 대선에서 왜 졌는지 아직도 모른다는 얘기다. 진보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민주당 내 특정 계파의 권력욕과 호전성이야말로 50대 유권자들을 등 돌리게 만든 요인 아니었나. 민주당은 책임 있는 공당(公黨)이지 운동단체가 아니다.

 정상적인 정당이라면 선거에 패한 뒤엔 정책노선을 재정비하는 데 매진해야 한다. 그래야 다음 선거에서 표를 더 많이 받을 수 있다. 이에 비해 민주당은 옹색해진 권력 지형에서 벗어나기 위해 국면 돌파를 시도하고 있다.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후보자를 인사청문회에서 낙마시키겠다고 벼르는 데서 잘 드러난다. 검증은 청문회 때 하면 되고, 안 되겠다 싶으면 그때 거부하면 될 일인데 시작하기도 전에 ‘반드시 낙마’를 공언하는 건 다분히 정략적이다.

 그러면서도 외유성 출장이나 연금 등 개인에게 주어지는 권력의 단맛에 취해 여당 의원들과 함께 망가지기도 한다. 도대체 여기에서 국민들이 무슨 야성(野性)과 혁신성을 느낄 수 있겠나.

 이번 대선에서 민주당은 다양한 스펙트럼의 범야권을 모두 긁어모았으면서도 패배했다. 민주당을 중심으로 결집했던 범야권, 또는 진보 세력이라는 추상적 카테고리엔 여러 하위 그룹들이 포함돼 있다. 386·486·친노 등 민주화 엘리트 집단, 안철수 지지층과 같은 중도 혁신세력, 노동계나 재야 사회단체, 특정 지역의 토착세력, 종북 좌파…. 이들 중 소수 극단주의자들을 걸러낸 뒤 국민에게 책임질 수 있는 대안세력으로서의 결속력을 다음 선거까지 유지하는 게 민주당의 역할이다. 그러나 계파 싸움을 멈추지 않는 한, 호전적 운동권 체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한, 기득권에 안주하려는 한 민주당은 그런 구심점이 될 수 없다.

 민주당은 지지율 48% 이상의 확장성을 지닌 유연한 진보적 정책정당으로 변신할지, 소수 운동권 엘리트 중심의 호전적 전투정당으로 고립될지 중대 기로에 서 있다. 이는 민주당의 내부 문제만이 아니다. 민주당을 밀어줬던 진보세력 전체의 문제다. 그런 의미에서 문희상 비대위는 ‘진보 비대위’라는 인식을 지니고 혁신에 나서야 한다. 문 위원장은 어제 회견에서 ‘백척간두(百尺竿頭)’라는 표현을 썼다. 민주당이 진보적 정책정당으로서 국민에게 다가가려면 그 같은 상황의 엄중함을 온몸으로 자각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