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수출통제에 일본·네덜란드 동참…중국 반도체 경쟁력 20년은 뒤처질 것”
미국의 대중 수출 통제 조치에 네덜란드와 일본이 동참하며 중국의 반도체 산업 경쟁력이 20년 이상 뒤처질 수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지난 5일 보도했다.
-
“美·네덜란드·日, 반도체 제재 연합에…中 기술 20년 뒤쳐질 것”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018년 4월 후베이성 우한에 있는 반도체 공장을 둘러보고 있다.신화=연합뉴스 중국의 반도체 산업 경쟁력이 20년 이상 뒤처질 수 있다는 전
-
인구 70만 섬나라에 美대사관 재개설...태평양서 中견제 강화
미국 정부가 남태평양의 섬나라 솔로몬제도에 대사관을 재개설했다고 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1993년 폐쇄한 지 30년 만이다. 태평양제도로 깊숙이 침투 중인 중국을 견제하기 위
-
"귀 찢어질 듯 시진핑 다큐로 고문"…中시민운동가에 美인권상
중국의 반체제 인사인 딩자시(丁家喜·55)가 미국 국무부에서 주는 '2023년 글로벌 인권 옹호자 상'을 받았다. 2일(현지시간) 미국의 소리(VOA)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
-
2m 높이 '돈탑' 쌓은뒤 "다 가져가라"...성과급 110억 쏜 기업
지폐를 세고있는 직원들 모습. 보너스로 지급된 현금탑. 사진 SNS 캡처 중국의 한 크레인 제조회사가 올해 시무식에서 100위안짜리 현금을 2m 높이로 쌓아 직원들에게 성과급을
-
"명품 한정판 핸드백 다 있다"…도피중 홍콩재벌 26억짜리 경매
버킨백.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음. 사진 에르메스 마카오에서 자금 세탁 등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나 도피 중인 홍콩 재벌이 26억원에 달하는 명품 브랜드 핸드백들을
-
"거울 보는 줄" 마윈도 인정한 '리틀 마윈' 길거리 구걸에 발칵
논란이 된 '리틀 마윈' 구걸 영상. 중국 펑파이 캡처.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과 닮아 '리틀 마윈'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중국 소년이 최근 길거리에서
-
"병든 토끼" 조롱받던 中우표의 반전…가격 8배까지 뛰었다
중국우정이 2023년 계묘년을 맞아 발행한 토끼 우표. 사진 바이두 캡쳐 중국에서 '병든 토끼'라며 조롱받던 새해 기념 우표가 막상 판매되자마자 매진됐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
-
'中의 유대인' 원저우 출신들 일냈다...프라토 살린 '차이나타운' [채인택의 세계 속 중국]
이탈리아 프라토 차이나타운에서 사람들이 새해를 기념하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 전 세계 대부분의 차이나타운은 역사가 오래됐다. 역사상 최초의 차이나타운으로 언급되는 필리핀 마닐라의
-
SNS서 팔린 옷가게 몰카 영상…"내 모습인데요" 말레이 발칵
불법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말레이시아의 H&M 탈의실 내부 모습. 트위터 캡처 말레이시아의 한 글로벌 패션브랜드 매장 탈의실에 몰래카메라가 설치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해당 매
-
中, 호주에 화해 손짓…석탄 이어 바닷가재 수입금지 풀린다
중국이 호주산 석탄 수입을 재개했다. 중국이 호주산 석탄을 들여오는 건 2020년 말 이후 약 2년여 만이다. 12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광둥성 세관은 이
-
"미국엔 못해도…" 중국, 입국 보복 첫 타깃으로 한국 찍은 이유
지난 9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중국발 입국자들이 코로나19 검사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세계 각국이 중국발(發) 입국자에 대해 검역을 강화하는 가운데,
-
시진핑에 찍힌 마윈, 결국 앤트그룹 지배권 잃었다
마윈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馬雲)이 자신이 세운 핀테크 회사 앤트그룹의 지배권을 잃었다. 이로써 앤트그룹을 두고 2020년 10월부터 이어진 중국 당
-
시진핑에 찍힌 자의 최후…마윈, 앤트그룹 지배권 잃었다
마윈 알리바바 창업자.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의 창업자 마윈(馬雲)이 자신이 세운 핀테크 회사 앤트그룹의 지배권을 잃었다. 이로써 앤트그룹을 두고 지난
-
홍콩 "여행 제한 취소해달라"…한국·미국 등에 서한 발송
홍콩 국제공항. AFP=연합뉴스 홍콩 정부가 현지발 여행객에 대한 코로나19 검사를 의무화한 국가들에게 해당 조치를 취소해달라고 요청하는 서한을 발송했다. 3일 에릭 찬
-
미중 첫 정상회담, 캐나다 신경전…2022 중국 A to Z ①
A to Z로 돌아본 2022년의 중국 ━ A 12년의 기다림… 자율주행 발전 속도 내는 中 : Automatic Driving. 2010년대부터 중국은 당국의 전폭적
-
남중국해 물밑 '부글부글'…中견제, 동남아 무제한 잠수함 경쟁
지난 13일 독일 홀슈타인주 킬에서 열린 싱가포르 해군 잠수함 2척의 진수식 행사에서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가 새 잠수함에 탑승하고 있다. 사진 리셴룽 총리 트위터 캡처 동남아시아
-
코로나 '각자도생' 나선 中…"산소발생기 2배 줘도 못 구한다"
최근 '각자도생' 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책에 나선 중국인들이 크게 늘면서 '의료기 품절 대란' 조짐이 일고 있다. 중국 당국이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기
-
'변이우려' 中, 세계는 입국 규제…이 와중에 한국행 400% 폭주
중국이 해외 입국자 시설 격리 폐지 등 국경 봉쇄를 풀자 중국발 입국을 규제하는 나라들이 갈수록 늘고 있다. 중국에서 오는 여행객 급증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 유입 차
-
“이대로면 中코로나 사망자 6개월내 149만…백신·치료제 쓰면 19만”
'제로 코로나' 정책 폐기 후 확진자가 폭증하는 중국에서 현재 추세대로라면 6개월 안에 149만명의 사망자가 나올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다만 여기에는 백신 접종률 향상, 치료제
-
'인구 대국에 무슨 일?' 중국서 일할 사람 사라진다
지난 1000년간, 중국은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의 자리를 지켜왔다. 그러나 빠르면 2023년, 인도에 1위 자리를 내줄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2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
中 샤오미도 못 피한 해고 '칼바람'…6000명 감원 추진
중국의 대표적인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샤오미가 직원 6000명을 감원하려 한다고 중국 신랑망(新浪網·시나닷컴)이 20일 보도했다. 중국 당국의 강력한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경기
-
"키스만 해, 성관계는 안해"…中대학생에 퍼지는 '입친구'
중국 소셜미디어 상에서 키스만 하고 사랑엔 빠지지 않는 상대를 의미하는 '쭈이여우'라는 단어가 인기를 끌고 있다. 사진 pixabay 중국 소셜미디어(SNS)상에서 키스만 하고
-
방역 푼 중국 충격 근황…"시신 몰려 화장장 24시간 풀가동"
고강도 방역 정책이었던 ‘제로 코로나’에서 ‘위드 코로나’로 완화한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코로나19) 확진자 지정 화장장에 시신이 몰려 하루 24시간 동안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