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역사의매듭과 대전환2.서울포럼-주제발표자 약력

    ▲카터 에커트=50세.하버드大 졸업,동대학원 석사,워싱턴大 대학원 박사.1969~77년까지 한국에서 평화봉사단원으로 활동. 주요 저서『한국의 과거와 미래』『제국의 후예』등. ▲에즈

    중앙일보

    1995.08.11 00:00

  • 하버드大 로소브스키교수 환영 만찬회

    ○…美하버드大 석좌교수며 동아시아전문 경제학자인 헨리 로소브스키박사(67)의 訪韓환영 만찬회가 11일 밤 서울힐튼호텔 설악산룸에서 열렸다. 孫柱煥 한국국제교류재단이사장이 주최한 이

    중앙일보

    1994.08.12 00:00

  • 美 교육개혁 주도 하버드大 로소브스키 교수

    『국제경쟁 시대에서 국가의 교육제도는 그 나라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입니다.』 美國 하버드大 헨리로소브스키 석좌교수(67)는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중앙일보

    1994.08.11 00:00

  • 황인정,하버드大 교수초청 강연회

    ◇黃仁政 한국개발연구원(KDI)원장은 9일 오후3시 로버스키美하버드大 석좌교수를 초청,「고급인력개발의 수요와 교육과정개혁」을 주제로 강연회를 연다.

    중앙일보

    1994.08.06 00:00

  • 북한,한국과 협력이 유일선택-美 클라우스교수 강연

    『金正日의 北韓은 향후 1년이 가장 어려울 것이다.金正日이 경제적으로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면 1년후에는 정권교체논의가 있을 수도 있다.』 美國 샌디에이고大 석좌교수이자 한

    중앙일보

    1994.07.18 00:00

  • 북경서 韓.中포럼여는 손주환 국제교류재단이사장

    『우리나라가 앞으로 초일류국가가 되려면 국제사회에 우리 문화와 역사를 심어야 합니다.기술개발도 중요하지만 해외소비자들에게우리 문화를 인식시키지 않고는 그게 어렵습니다.』 한국국제교

    중앙일보

    1994.06.25 00:00

  • 서울대 송상현교수 뉴욕대 석좌교수

    美 國 뉴욕大가 세계적 학자를 선정,연구기금 지원과 함께 종신교수 특전을 부여하는 碩座교수로 서울대법대 宋相現교수(53)를 선정한 것으로 22일 밝혀졌다. 뉴욕大 법대는 국제사법재

    중앙일보

    1994.03.23 00:00

  • 국제교류재단 초청 내한 컬럼비아대 조지 럽 총장

    『한국에 대한 관심은 법률가.정치가.학자등 미국내 지도층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증대되고 있습니다.이에 따라 컬럼비아大에서는 한국학에 관한 많은 강좌를 개설하고 있습니다.』 한국국제

    중앙일보

    1994.02.12 00:00

  • 대학신설 과연 필요한가

    금년에도 교육부에는 4년제 대학 설립인가 신청서가 9통이나 들어왔다.우리나라에는 현재 1백51개의 4년제 대학이 있으며 그중 1백6개가 사립대학이다.韓國의 대학생수는 인구비례로 세

    중앙일보

    1993.11.05 00:00

  • 석좌교수(분수대)

    희망에 부푼 대학 신입생시절 대부분 학생들은 이름난 교수의 강의를 듣고는 실망한다. 그 유명하다는 교수의 강의가 고작 그 수준인가,특별한 구석이 없는 상식적인 강의 아닌가 하는 생

    중앙일보

    1993.10.30 00:00

  • 한국물리학회 창립 40주년-물리학의 새 방향 모색

    올해로 창립 40주년을 맞은 한국물리학회(회장 이주천 한국과학기술원 교수)는 22∼25일 서울대 문화관에서 창립이래 최대규모의 국제심포지엄(PHYSTECH 서울92)을 갖는다. 한

    중앙일보

    1992.10.12 00:00

  • 국내 최초 석좌제 등장

    국내에서 처음으로 석좌(석좌)제도가 등장했다. 한국과학기술원은 지난달 29일 코오롱과 금성통신으로부터 각 3억원씩의 기금을 기탁받아 과실금으로 석좌제도를 운영하게 된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1985.05.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