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방사선 피폭환자 발견/검사기계 고장 감마선쐬어/손끝 썩어 끝내절단

    ◎현행법상 보상규정 없어 물체내부의 결함을 물체에 손상을 주지 않고 조사하는 「비파괴검사」를 하다 방사선에 쐬어 손가락을 잘리는 등 크게 다친 방사선피폭 산재환자가 발견됐다. 비파

    중앙일보

    1990.03.26 00:00

  • 비리 캐내기 20일 무슨일이 있었나 국감

    지난 9월18일부터 시작된 국정감사가 7일로 20일간의 감사를 모두 끝낸다. 그동안 숱한 행정의 난맥과 공직사회의 비리·부패가 드러났는가 하면 의원들의 자질과 상궤를 벗어난 추태들

    중앙일보

    1989.10.06 00:00

  • 마을에 묻힌 핵폐기물

    고리 원자력 발전소가 핵폐기물을 마을에서 불과 1㎞밖에 떨어져있지 않은 땅 속에 파묻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원전사고와 안전관리, 그리고 핵폐기물에 대한 거듭된 문제점을 절실하게

    중앙일보

    1988.12.12 00:00

  • 방사능 노출 일상생활서도 심각

    【로스앤젤레스=연합】가정과 일상적인 생활환경에서 방사능에 노출될 위험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방사능은 핵발전소나 핵 물질 가공시설에서 상당량이 방출되고 있지만 일

    중앙일보

    1988.12.08 00:00

  • 곳곳에 사고 위험 투성이

    원자력발전소·병원·산업체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사성 물질의 안전관리가 허술하다. 87년말 현재 방사성물질은 원자력발전소를 비롯, 5백76여개 기관에서 7천6백여명이 취급하고 있다.

    중앙일보

    1988.11.09 00:00

  • 원자력병원에서 .쉬쉬·

    한국에너지연구소 부설 원자력병원에서 지난9월30일방사선 동위원소 분실사고가 발생했으나 보고조차 소홀히 한 것으로 뒤늦게 밝혀겼다. 원자력병원과 과학기술처관계자들에 따르면 법원측이

    중앙일보

    1988.11.03 00:00

  • 동아제약 중앙연 문열어

    국내 제약업계 최초의KGLP (우수의약품안전성 시험관리기준) 적격기관으로 지정된 동아제약중앙연구소 (경기도룡인군기흥읍상갈리부) 가 1일문을 열었다. 60억원을 들여 83년에착공,이

    중앙일보

    1988.11.01 00:00

  • 76년 방사능 사망사고 은폐

    방사능 희생사고가 지난 76년 국내에서 처음 발생, 방사능에 피폭된 대학원생이 3주만에 숨졌던 것으로 27일 밝혀졌다. 원자력관계자들에 따르면 지난 76년11월6일 당시 서울태릉소

    중앙일보

    1988.10.27 00:00

  • "안전대책 소홀 희생자 많았다"|「대림참사」회사서 유족에 공개사과 &7오늘 현장근로자 2백45명 추가귀국|장례·보관등 곧 협상

    노동부, 68개 해외건설업체 안전대착 지시 대림산엄은 10일 이란 캉간 가스정유소 피폭사건과 관련, 『현지 작업장내 안전시설미횹과 의료진 부족등으로 희생자가 많았던것을 공식시인,

    중앙일보

    1988.07.11 00:00

  • 방사선 물질 생활주변의 시한폭탄

    국내에 방사성물질의 사용량과 취급자·취급기관이 급격히 늘어나는데 비해 그에 대한 관심이나 인식은 이를 따르지 못해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브라질에서는 폐쇄된 병원에서 무단 유출된

    중앙일보

    1987.10.14 00:00

  • 원전 절대 안전은 없다|원자력산업회, 체르노빌사고 계기 안전심포지엄

    원자력발전사상 최악의 사고였던 소련의 체르노빌 원전사고는 원전의 안전성을 근본적으로 의심케 했다. 우리나라는 세계 12위의 원전발전국이며 전체 발전량중 원전이 차지하는 비율이 17

    중앙일보

    1986.10.28 00:00

  • 방사선은 "양날의 칼"|전문의가 말하는 인체와의 관계

    소련의 체르노빌 원전사고 이후 세계적으로 방사능에 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그도 그럴 것이 방사능은 눈에 보이는 것도 아니고 혼자서 조심한다고 피해지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중앙일보

    1986.05.06 00:00

  • 천연우라늄 그대로 사용|기자재공급 쉽고 가동율도 경수로보다 높아

    국내애서 생산되는 천연우라늄을 연료로 쓸 수 있는 원자력발전소 3호기(월성1호)가 지난11일 첫 핵연료를 장전했다. 월성1호기의 용량은 67만8천km로 이번 시험가동을 거친 후 올

    중앙일보

    1982.08.24 00:00

  • 미스터 로보트(12)

    산업용 로보트 이외에 로보트가 성장할 수 있는 분야는 역시 인명의 위험이 따르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채탄·채광 등 지하에서 하는 작업과 원자로의 연료교체, 방사능 폐기물처

    중앙일보

    1982.01.30 00:00

  • 잦은 원자 사고…우리는 안전한가|외국의 예에 비춰본 국내 실태

    지난 16일엔 일본 「후꾸이껜」(복정현) 「쓰루가」(돈하)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방사능 폐기물이 유출돼 노무자 56명이 방사능에 피폭됐을지도 모른다는 기사가 나가고 나서 일본의 방사

    중앙일보

    1981.04.27 00:00

  • 방사선 산재환자 발생|무지로 인한 안전 소홀

    방사성동위원소로 각종「파이프」와 저장「탱크」의 용접부분을 촬영, 안전성여부를 점검하는 비파괴검사를 하는 동안 무지로 인한 안전 소 홀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방사선에 의한 산재환자가

    중앙일보

    1973.09.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