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전적문화재의 현대적 관리

    한국도서관협회는 제9회 도서관주간 기념강연회를 14일 하오 2시 서울 시립 종로도서관에서 열었다. 다음은 임창순씨(문화재위원)의 「전적문화재의 현대적 관리」를 요약한 것이다. 전적

    중앙일보

    1973.04.17 00:00

  • (4)학술

    72년의 인간·사회과학분야연구에선 60년대 말부터 시작된 한국학의 개발을 위한 계속된 노력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그러한 연구활동에도 불구하고 한국적인 특수한 여건으로 말미암아

    중앙일보

    1972.12.18 00:00

  • 훈민정음 연구에 귀중 자료|월인석보 권1, 2초간본 발견

    훈민정음연구에 귀중한 자료인「월인석보」권 1,2의 초간본(1459년 간행)이 새로 발견됐다. 현재 전해 오는「월인석보」1,2권은 1568년간 영주 희방사 개판본인데 이것은 6·25

    중앙일보

    1972.03.02 00:00

  • 보림사서 발견된 월인석보 등|중요고본 목록

    지난달24일 전남 장흥군 유치면 범덕리 가지산에 있는 보림사 사천문 보수도중 사천왕상의 복장유물로 발견된 1백50여점의 책자가운데 세조4년의 초간본 「월인석보」권17과 세조∼성종

    중앙일보

    1971.11.02 00:00

  • 『훈몽자회』최고본영인 출판

    『훈몽자회』최고판본의 영인본이 나왔다. 단국대부설 동양학연구소(소장 이희승)의 동양학관계 사료영인사업 제1집으로 나온 『훈몽자회』는 이조 중종 22년(1527년)에 당대 한학의대가

    중앙일보

    1971.09.02 00:00

  • 405년 전 문화 유씨 세보 발견

    4백5년 전에 판각된 문화 유씨 족보의 고판본이 안동군 도산면 토계동 248 퇴계의 14대 손 이윤덕씨(60) 집에 간수돼 있음이 확인됐다. 임진왜란 전의 판본으로 된 족보는 현존

    중앙일보

    1971.01.28 00:00

  • 고려 최고의 인본 불경|해남 대흥사서「정원경」발견

    고려 초엽에 간행된 옛 불경 1책이 전남 해남군대흥사에 간수돼 있음이 확인되었다. 최근 서화·전적의 문화재 지정을 위해 현지 조사에 나선 한 위원은 대흥사 소장의 전적 3백여 책을

    중앙일보

    1970.08.24 00:00

  • 문화재 점호 서화·전적 조사

    문화재관리국은 전국에 산재하는 수십만점의 옛 서화 및 전적을 조사할 장기계획을 세우고 지난 5월28일 문화재위원회와 별개의 소위원회를 발족시켰다. 최순우문화재위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중앙일보

    1970.06.05 00:00

  • 세계최대의 「미니」도서관

    미국의 수도 「워싱턴」의 명물중하나는 「폴거·셰익스피어」도서관 이다. 그러나 이도서관은 「워싱턴」에 살고있는 사람이라도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있지 않으면 그런 도서관이 있었던가할정도

    중앙일보

    1969.12.16 00:00

  • 햇빛본 4천고본|도산서원 장서조사

    우리나라 유학의「메카」인 안동 도산서원에서 4백년간 간수해오던 수다한 책이 처음으로 정리, 조사됐다. 성균관대학이 구성한 학술조사반은 지난 14∼17일에걸쳐 한국이 낳은 가장 뛰어

    중앙일보

    1968.07.23 00:00

  • 고려목판경 등 발견

    고려 때 나무판에 새겨 찍은 불경이 발견되었다. 우리 나라 판본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는 이 불경은 13세기초에 간행된 「능엄경 권4」 1책 및 「부모은중경」1책. 경기도 안성 소

    중앙일보

    1967.02.14 00:00

  • 햇볕 본 세계적 고서|고 전형필씨 박물관서 발견

    고 전형필(간송)씨의 개인 박물관인 보화각(보화각·서울시 성북구 성북동)에서 세계적인 진본인 이조 초기의 용감 수감을 비롯한 국보 또는 보물 급의 210권의 고서가 발견되어 새 봄

    중앙일보

    1967.01.24 00:00

  • 「세계 최고」의 인쇄물|목판 다라니경의 학적 의의|김양기·김두진 두 권위는 말한다

    석가탑의 사리함 속에서 나온「다라니」경에 대하여 문화재 위원장 김상기 박사(서울대 명예교수·동양사)와 서지학 김석학의 권위자 김두진 박사(서울대 명예교수·의사학)는 그 학적 의의를

    중앙일보

    1966.10.18 00:00

  • 김대사 필요하면 소환 정총리|밀수질의 엿새째, 책임자 처벌 등 촉구

    국회본회의는 5일 정총리 장기획원장관 박상공 권법무장관 이호범 재무차관 등이 출석한 가운데 「특정재벌밀수사건에 관한 대정부질문」을 엿새째 계속했다. 4일에 이어 질문을 계속한 유창

    중앙일보

    1966.10.0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