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전기자동차, 앞으로는 무선충전 방식이 해법”

    “전기자동차, 앞으로는 무선충전 방식이 해법”

    KAIST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무선충전 전기버스. 기자가 찾은17일에도 대전 KAIST 캠퍼스에서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있다. 사진은 이날 학사식당 앞 승강장에서 점심시간 동안

    중앙일보

    2019.06.17 11:00

  • 암흑물질이 99%인 희귀 은하 ‘드래건플라이44’

    암흑물질이 99%인 희귀 은하 ‘드래건플라이44’

    슬로안 디지털 서베이가 관측한 희미한 드래건플라이(Dragonfly)44 (왼쪽). 제미니 망원경이 정밀 관측한 드래건플라이44의 이미지 (오른쪽). 지난 8월 25일 미국 예일

    중앙선데이

    2016.09.11 00:48

  • 생명탄생 기원의 실마리 풀리나

    유럽항공우주국(ESA)은 2004년 3월 인류 최초의 혜성 탐사선 로제타를 발사했다. 로제타는 우주 공간에서 65억㎞를 날아가 지난해 11월 시속 6만6000㎞로 이동하는 혜성 ‘

    온라인 중앙일보

    2015.09.29 00:01

  • [궁금한 화요일] 우주 '타임캡슐' 향한 여정

    [궁금한 화요일] 우주 '타임캡슐' 향한 여정

    ‘더러운 눈덩이(Dirty Snowball)’. 1950년대 미국의 천문학자 프레드 휘플은 혜성에 이런 별명을 붙였다. 혜성의 핵이 얼음과 암석, 먼지 입자로 돼 있다는 이유에서였

    중앙일보

    2014.10.28 01:00

  • 편백나무 피톤치드, 수퍼박테리아 등 병원성 미생물 생장 억제…'주목'

    편백나무 피톤치드, 수퍼박테리아 등 병원성 미생물 생장 억제…'주목'

    ‘편백나무 피톤치드 산업화 세미나’에서 전남 천연자원연구원 이동욱 원장이 세미나에 앞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편백나무에서 나오는 방향성 성분 피톤치드 추출물이 항생제 내성균(수퍼박

    온라인 중앙일보

    2014.08.26 10:33

  • 수퍼박테리아에 맞설 항생제 ‘PDF 저해제’ 임상시험 눈앞

    수퍼박테리아에 맞설 항생제 ‘PDF 저해제’ 임상시험 눈앞

    일동제약 중앙연구소 연구진이 실험을 하고 있다. 일동제약은 현재 감염증·암·당뇨병·비만·치매 치료제에 대한 전임상을 진행 중이다. [사진=일동제약 제공] 일동제약 하면 비타민제

    중앙일보

    2011.09.30 00:15

  • 숨쉴 수 있어 느낄 수 있다면 … 그게 아름다움의 진정한 모습

    숨쉴 수 있어 느낄 수 있다면 … 그게 아름다움의 진정한 모습

    김병종 화가가 1994년에 발표한 ‘생명의 노래’ 연작 중의 하나. 그는 “꽃과 나무에도 심장이 있다, 눈동자가 있다, 생명의 혼이 있다는 생각으로 이 그림을 그렸다”고 했다.

    중앙선데이

    2011.05.28 23:49

  • 나의 손은 말굽으로 변하고 (78)

    나의 손은 말굽으로 변하고 (78)

    일러스트 ⓒ 김영진, heakwan@ymail.com 단식, 개안수련 2 암종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암종은 내분비 기능장애로 몸속에서 DNA가 변형되어 생겨나는 것이며 단백질의

    중앙일보

    2011.02.23 00:01

  • 노화 속도 늦춰질까?

    노화와 죽음은 이 세상 그 무엇보다, 심지어 세금보다 피하기 힘들다. 우리가 아는 모든 식물과 동물, 그리고 사람은 언젠가는 죽는다. 매일 거울 속에서 마주 대하는 자기 자신도

    중앙일보

    2006.12.17 10:54

  • 노화 속도 늦춰질까?

    노화와 죽음은 이 세상 그 무엇보다, 심지어 세금보다 피하기 힘들다. 우리가 아는 모든 식물과 동물, 그리고 사람은 언젠가는 죽는다. 매일 거울 속에서 마주 대하는 자기 자신도

    중앙일보

    2006.12.16 14:40

  • [신문에 밑줄 쫙 NIE] '딥 임팩트' 실험으로 본 혜성

    [신문에 밑줄 쫙 NIE] '딥 임팩트' 실험으로 본 혜성

    ▶ 혜성 템펠1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탐사선 딥 임팩트가 발사한 충돌체와 부딪친 뒤 가스와 먼지구름을 분출하는 모습. [NASA AP=연합] 아래는 딥 임팩트의 혜성

    중앙일보

    2005.07.19 15:18

  • 전문가들에 들어본 '우주의 방랑자' 혜성의 정체

    3월말께 지구에 최근접,육안으로도 보일 것으로 알려진 하쿠다케 혜성(본지 2월22일자 22면).천문대의 발표대로 우리 눈에 보이게 될 경우 지름 10㎝정도의 구동모터가 장치된 망원

    중앙일보

    1996.02.27 00:00

  • 핼리혜성이 사라졌다

    핼리혜성은 76년을 주기로 태양을 돌고 가는 혜성으로 지난 86년에 지구 가까이 접근, 우리에게도 낯익은 우주손님이다. 그러나 지난해 2월12일 태양에서 21억5천만km 떨어진 토

    중앙일보

    1992.01.31 00:00

  • 인삼의 오묘한 효능 재확인|국제 인삼 「심포지엄」 결산

    지난 7일 「워커힐」에서 개막된 제2회 국제 인삼 「심포지엄」 (고려 인삼 연구소 주최)이 9일 폐막되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한국을 비롯, 일본·미국·서독·영국·스페인·프랑스

    중앙일보

    1978.09.0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