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계영의 중국 프리즘] 중국의 생성 인공지능 규제
사진 셔터스톡 중국 국가사이버공간관리국(Cyberspace Administration of China)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교육부, 과학기술부, 공업정보화부, 공안부, 국가전파
-
[최계영의 중국 프리즘] 중국의 반도체 굴기는 가능할 것인가? (下)
사진 셔터스톡 미국과 우방국들의 반도체 분야 대중(對中) 봉쇄 극복은 수많은 난관을 동시에 극복해야 하는 지난한 과제이다. 봉쇄가 장기화할수록 반도체 가치사슬의 대부분을 스스로
-
[최계영의 중국 프리즘] 중국의 반도체 굴기는 가능할 것인가? (上)
사진 셔터스톡 미국과 중국 간의 기술 패권 경쟁의 최전선은 역시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의 재편을 둘러싼 미국의 각종 제재와 반도체 강국 간의 이합집산이다. 우리는 두 나라가 취하는
-
[최계영의 중국 프리즘] 공안(公安)이 이윤을 낳는다
사진 셔터스톡 미국의 대중 봉쇄, 기술기업 제재에 대한 중국의 대응책은 봉쇄망의 약화에 집중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첨단기술 기업 제재가 인권 보호를 중심으로 하는 이데올로기적
-
[최계영의 중국 프리즘] 양회에서 엿보는 중국의 기술패권 전략과 딜레마
사진 인민망 미국을 리더로 하는 서방국가가 중국을 전방위로 봉쇄‧포위‧압박해 중국의 발전에 전례 없는 엄중한 도전을 불러왔다. 시진핑 3기 공식 개막을 상징하는 2023년 양
-
[최계영의 중국 프리즘] 챗GPT, 혁신기업, 검열 그리고 프로파간다
사진 셔터스톡 지금 전 세계 미디어를 흥분시키고 있는 챗GPT는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이 초래할 변화에 대한 기대와 불안을 동시에 야기하고 있다. 이미 중국
-
[최계영의 중국 프리즘] 중국 디지털공간 통제모델의 이념적 기반
사진 셔터스톡 국제 정치‧경제‧외교에서 흔히 ‘기술 권위주의’(Techno-Authoritarianism)라 불리는 중국 디지털 공간의 통제모델은 빅이슈이다. 기술 권위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