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417)지원작전(3)|군수보급(3)

    부산항에 산적된 미 군수물자들은 다시 육로와 해상을 통해 신속히 전방으로 수송 됐다. 한국군에 대한 수송·보급은 주로 우리 육본 군수 국과 해군수송선들이 담당, 추진했다. 인사(G

    중앙일보

    1973.01.22 00:00

  • (2)확 전의 불길

    【로스앤젤레스·타임스=본사특약】미국과 월남이 단 하나의 공식조약을 체결한 것은 「트루먼」집권 시였다. 이것은 한국전의 영향으로「아시아」 일대의 방위 망을 재정비할 때 체결된 조약

    중앙일보

    1973.01.19 00:00

  • (414)|그리스원정군 대대

    1개대대의 육군과 1개수송중대의 공군을 참전시킨「그리스」는 한국전이 일어나기 1년전인 49년까지 본국에서 공산주의자들의 내란을 겪었다. 이 내란은 45년부터 시작되어 5년간이나 계

    중앙일보

    1973.01.15 00:00

  • (413)|우방 참전 부대 (14)|콜롬비아·캐나다 군

    중남미의 「콜롬비아」와 북미의 「캐나다」는 유엔 참전 16개국 중 가장 늦게 군대를 보내왔지만 약 2년 동안 한국에서 계속 싸웠다. 「캐나다」는 공군과 해군을 50년7월30일부터

    중앙일보

    1973.01.10 00:00

  • 육군 동계 대기동훈련

    혹한기 적의 기습공격을 막기 위한 육군 동계 전선 대 기동훈련이 연초부터 중동부전선 일대에서 전개됐다. ○개전무단과 공수·유격 등 비정규특수전부대가 참전한 이 기동훈련은 육군이 계

    중앙일보

    1973.01.09 00:00

  • (411)|우방 참전부대(12)|호주·「뉴질랜드」군

    육·해·공 3군을 모두 참전시킨 호주와 육·해군만 보낸 뉴질랜드는 서로 공동보조를 취하며 한국전 3년을 치렀다. 그것은 벨기에와 룩셈부르크의 관계처럼 양국도 당시 외교·군사·경제면

    중앙일보

    1973.01.04 00:00

  • (405)|우방 참전 부대 (6)|인술 지원 (1)

    한국전이 일어나자 군대를 보내 전쟁을 직접 지원해 우방 참전 16개국 이외에 「스웨덴」 「노르웨이」「덴마크」 「스칸디나비아」 반도 3개국을 비롯한 인도·이태리 등 5개국은 의무 부

    중앙일보

    1972.12.13 00:00

  • (399)-(23)

    (2) 태백산맥은 산세가 험준한데다 산맥이 남북으로 길게 뻗쳐있어 북으로는 금강산까지 산이 이어져 있다. 이 때문에 태백산줄기는 일찍부터 공산「게릴라」들의 침투로와 거점이 되어 6

    중앙일보

    1972.11.27 00:00

  • 벨루 미 육군 차관에 유 국방이 훈장수여

    유재흥 국방장관은 23일 하오 국방부를 예방한 「케네드·E·벨루」 미 육군차관에게 보국훈장 국선장을 수여하고 한국군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치하했다. 「벨루」차관은 주한 미 육군부대를

    중앙일보

    1972.11.24 00:00

  • (393)|피 어린 산과 언덕(18)|금성지구 전투

    사실상 전투력을 상실한 북한공산군을 대신해 전선의 주역으로 나선 중공군은 53년7월 금성과 화천지구의 한국군 제2군단 지역에 5개「군」의 병력을 투입, 집중포격을 앞세운 인해 파상

    중앙일보

    1972.11.15 00:00

  • (393)|피 어린 산과 언덕(17)|적근산 전투

    중공군은 휴전을 바로 눈앞에 두고 53년5월27일과 7월13일 두 차례에 걸쳐 화천 북방의 한국군 제2군단 지역과 금성·금화지구의 수도사단·제9사단지역에 대공세를 가해왔다. 이 같

    중앙일보

    1972.11.13 00:00

  • (391)| 피어린 산과 언덕 (15)|「노리」 고지 전투 (2)

    격전이 거듭된 「노리」 고지의 산병호 속은 쌓인 적의 시체가 썩어 구더기가 발목까지 빠졌으며 교통호 속에서 육박전을 벌이던 아군 병사가 포격에 메워져 버린 흙더미에 치여 중공군을

    중앙일보

    1972.11.08 00:00

  • (390)피어린 산과 언덕(14)|「노리」고지 전투(1)

    52년 말의 한국전선 상황은 78만의「유엔」군(이중 한국군 12만명)과 1백20만의 공산군이 팽팽히 대치한 가운데 군사분계선 책정에서 피아간에 한치의 땅이라도 더 확보하려고 혈안이

    중앙일보

    1972.11.03 00:00

  • 군대체험을 승화시킨 20세기의 대작가들

    호머나 두보는 군대경험을 노래한 시인???????? 동서최대의 문인들이었다. 72년 최대의 문학행사인 노벨 문학상 수상자 「하인리히·뵐」은 2차 대전 중 독일군 병사였다. 프랑스에

    중앙일보

    1972.10.26 00:00

  • (387)피어린 산과 언덕(11)|백마고지 전투(2)|고지 쟁탈전

    철의 삼각지대 전투는 52년 1백50「마일」의 한국전선에서 벌어진 고지쟁탈전 중 가장 치열한 싸움이었는데 이 중에서도 백마고지 전투는 그 압권이라고 할 만하다. 1951년 11월2

    중앙일보

    1972.10.26 00:00

  • (386)피 어린 산과 언덕(10)

    1952년 7월 한국을 방문한 영국 「로이드」국무상은 그의 귀국담에서 『한국전쟁의 현 전황은 전 전선에 견고한 진지를 구축하고 휴전회담을 틈타 전력을 보강한 중공군이 일대공세를 취

    중앙일보

    1972.10.23 00:00

  • (383)-피어린 산과 언덕 ⑦

    「피의 능선」을 비롯한 「펀치볼」 일대의 고지 쟁탈전은 피아의 살인적인 화력에 다 장병의 투지로 승패가 판가름나는 인내의 싸움이기도 했다. 그것은 사단이나 군단 규모로 단숨에 몇

    중앙일보

    1972.10.16 00:00

  • (381)피 어린 산과 언덕(6)

    「김일성」·「모택동」 두 고지에 대한 한국 해병대의 공격은 51년7월10일 개성휴전 회담이 시작된 이래 정돈상태에 빠져있던 전선에서 적의 주방어선을 처음으로 치고 들어 간 전투였다

    중앙일보

    1972.10.11 00:00

  • (377)피 어린 산과 언덕(1)

    『지지도 말고 이기지도 말라』는 식의 「유엔」군 전략에 의한 작전이 전개되기 시작한 1951년 하반부터의 한국 전쟁은 중동부 산악을 중심으로 한 「고지 쟁탈전」이라는 새로운 양상을

    중앙일보

    1972.10.03 00:00

  • 제14대 주한유엔군 사령관이 된 「도널드·베니트」중장

    오는 9월 퇴역하는 「미켈리스」 주한 「유엔」군 사령관의 후임으로 제14대 사령관으로 발탁된 「도널드·비비언·베니트」 중장(사진)은 「작은 CIA」로 불리는 미 국방성 정보국장을

    중앙일보

    1972.07.29 00:00

  • (511)|내가 아는 이 박사 경무대 4계 여록(138)|손원일

    방위군 사건으로 52년 3월 이기붕 씨가 국방장관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이때 이대통령은 나를 관저로 부르더니 국방을 맡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타진했다. 갑작스런 제의라서 얼떨떨했

    중앙일보

    1972.07.15 00:00

  • (347) 유격전(16)|백마 부대(2)

    「동키」제15연대로 개칭되어 대화도로 올라간 백마부대는 국민학교를 세워 피란민 자녀들을 가르치는 등 비전투적인 난민선무 사업에도 세심한 배려를 했다. 백마부대는 공작대를 편성, 육

    중앙일보

    1972.07.08 00:00

  • "군 문서 통일 못 봐 못내 섭섭"

    사병군번 1번(80000001)인 노병 이의식 상사(44·합참 하사관 단장)가 27일 하오2시 전역, 26년간 몸담았던 군을 떠났다. 이날 전역 식이 있은 육본광장에는 사단급 주요

    중앙일보

    1972.05.27 00:00

  • (331)「아이크」집권과 내한(7)

    1953년1월21일에 「아이젠하워」원수가 백악관의 새 주인이 됐을 때 한국전쟁은 2년 6개월26일을 끌고있었다. 공화당은 대통령선거에서 한국전쟁의 조속한 종결을 공약으로 내걸고 압

    중앙일보

    1972.05.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