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포토타임] 형형색색 터널을 걸어요... '동굴 바캉스'

    [포토타임] 형형색색 터널을 걸어요... '동굴 바캉스'

     오늘의 국내 주요 뉴스 사진(전송시간 기준)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실시간 업데이트합니다.  오후 4:40 형형색색 터널을 걸어요... '동굴 바캉스' 무더운 여름 날씨를

    중앙일보

    2022.08.07 09:31

  • 오죽하면 '방귀세' 생길 뻔···자동차 가스보다 독한 소 방귀

    오죽하면 '방귀세' 생길 뻔···자동차 가스보다 독한 소 방귀

    2021년 신축년(辛丑年) 소띠 해를 앞둔 지난해 12월 30일 대전의 한 한우농장에서 건강하게 태어난 송아지를 어미가 연신 핥아주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2021년 설날입니다

    중앙일보

    2021.02.12 05:00

  • 하품 빼놓고 버릴 게 없다는 소…하지만 그 하품이 문제

    하품 빼놓고 버릴 게 없다는 소…하지만 그 하품이 문제

    2021년 신축년(辛丑年) 소띠 해를 이틀 앞둔 30일 대전의 한 한우농장에서 건강하게 태어난 송아지를 어미가 연신 핥아주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2021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중앙일보

    2021.01.03 06:00

  • 같은 편 '찌르기' 나선 진중권 "나는 전혀 상처 받지않는다"

    같은 편 '찌르기' 나선 진중권 "나는 전혀 상처 받지않는다"

      「 [명상칼럼]진중권이 말하는 '삶의 위너' 」   진중권(57) 전 동양대 교양학부 교수는 우리 시대의 대표적 논객이다. 최근 JTBC 신년토론 이후 그의 주가는 ‘껑충’

    중앙일보

    2020.01.05 07:00

  • [김대식의 'Big Questions'] 야성과 바꾼 먹이·잠자리 … 가축이 된 동물은 행복할까

    [김대식의 'Big Questions'] 야성과 바꾼 먹이·잠자리 … 가축이 된 동물은 행복할까

    네덜란드의 화가 피터 에르젠(Pieter Aertsen)의 1551년 작품. ‘도살장’ “5m 정도 너비의 미끄럼틀로 소들이 밀려 들어왔다. 끝없이 들어오는 동물들의 광경은 신기

    중앙선데이

    2014.11.02 02:00

  • 인문학에 묻다, 행복은 어디에 ④ 미학의 발견 - 진중권 교수

    인문학에 묻다, 행복은 어디에 ④ 미학의 발견 - 진중권 교수

    진중권 교수는 “재미있고 가치 있게 살면 된다. 사회학적 기준으로 우리는 서민이지만, 삶의 태도는 귀족이 될 수 있다. 나는 그걸 ‘서민적 귀족’이라 부른다”고 말했다. [권혁재

    중앙일보

    2013.09.03 00:26

  • [뉴스 클립] 2010 시사 총정리 ⑩

    [뉴스 클립] 2010 시사 총정리 ⑩

    10여 년 전 언론사 시험을 준비할 때 항상 가방 안에 있던 책은 ‘○○○ 시사상식’이었습니다. 수백 쪽이나 되는 두꺼운 책을 가지고 다니느라 고생깨나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요

    중앙일보

    2010.10.20 00:29

  • 사르코지, 라스코 동굴 특혜관람

    사르코지, 라스코 동굴 특혜관람

    로마(Roma·집시를 일컫는 국제기구의 공식 영어 표기) 추방과 정년퇴직 연장 추진 등으로 최근 프랑스 안팎의 비난에 시달려온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이 일반인 출입이 금지된 동굴

    중앙일보

    2010.09.14 00:43

  • 佛서 발견된 2만년전 벽화

    2만년전 빙하기의 동물들을 그린 선사시대 벽화 3백점이 프랑스 남부지방의 동굴에서 발견돼 세계 고고학계가 흥분하고 있다. 프랑스의 자크 투봉 문화부장관은 18일 아비뇽에서 서북쪽으

    중앙일보

    1995.01.19 00:00

  • 벽화

    엊그제는 독립기념관에 걸릴 벽화 『3·1운동도』가 말썽이더니 곧이어 서울 신촌역 앞 벽화 『통일의 기쁨』이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3·1운동도』는 그림의 인물들이 왼손잡이여서 구

    중앙일보

    1986.07.11 00:00

  • 고분 벽화의 보존 대책을…|진홍섭

    이조시대를 제외하고는 우리 나라에 회화 유품이 극히 적음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삼국시대 이래 고려시대에 이르기까지 유명한 화가와 화적에 관한 기록을 보게 되나 막상 그 유품

    중앙일보

    1971.11.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