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인덕대학, 경연대회 수상 줄이어

    인덕대학, 경연대회 수상 줄이어

    인덕대학(www.induk.ac.kr)은 현재 공과계열 11개 학과, 디자인계열 7개학과 인문 사회계열 4개학과 방송연예계열 1개학과를 두고 있다. 지난 1971년 설립되었으며

    중앙일보

    2006.01.05 10:07

  • '서세옥 전' 3일부터 덕수궁미술관

    '서세옥 전' 3일부터 덕수궁미술관

    ▶ 서세옥 화백▶ 기가 넘치는 95년 작 ‘사람들’▶ ‘나의 길은 외롭게 가는 길/다만 소중하게 스스로를 사랑하여/ 꺼뻑 엎어지면서 알아주는 이를/ 기다리노라’는 글을 담은 전각.

    중앙일보

    2005.08.31 06:10

  • "한복 만드는데 배가 고프다"…대통령 한복 만드는 김예진씨

    "한복 만드는데 배가 고프다"…대통령 한복 만드는 김예진씨

    ▶ 김예진 한복 연구가 궁금했다. 노 대통령 내외의 한복을 만드는 사람은 누구며 또 어떻게 만들게 되었는지를. 한복 연구가 김예진씨(42)를 보자마자 던진 첫 질문이었다. "한복을

    중앙일보

    2005.06.09 15:13

  • [토요이슈] 자, 수업시작…따라 걸어요 원, 투…

    [토요이슈] 자, 수업시작…따라 걸어요 원, 투…

    ▶ 스포츠모델학과 김동수 교수가 학생들에게 워킹 자세를 가르치고 있다. 패션모델뿐만 아니라 홍보·기획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을 양성한다. ▶ 연초학과 이름은 생소해도 40여년 된

    중앙일보

    2004.11.05 18:19

  • "손자같다고 좋아하세요" 최연소 노인복지시설 원장 한삼협씨

    "손자같다고 좋아하세요" 최연소 노인복지시설 원장 한삼협씨

    ▶ 한삼협 원장이 요양원에 있는 노인들과 함께 환하게 웃고 있다. "할아버지.할머니들이 손자가 보살펴주는 것 같다고 편안해 하십니다." 지리산 자락에 있는 경남 하동군 옥종면 정수

    중앙일보

    2004.10.17 20:41

  • '그림 한점 갖는 꿈' 이뤄준다

    '그림 한점 갖는 꿈' 이뤄준다

    '진짜 그림 한 점 사고 싶다'가 미술애호가의 꿈이라면 '내 그림 한 점 팔고 싶다'는 화가 지망생의 소원이다. 화랑이라는 공식 미술 시장이 있지만 정작 생산자와 소비자가 만나는

    중앙일보

    2004.09.16 18:51

  • "조롱박으로 텔레토비 조각"

    "조롱박으로 텔레토비 조각"

    ▶ 한종근씨가 조롱박 밭에서 박으로 만든 작품을 보여주고 있다. "조롱박으로 못 만드는 것이 없어요. 이 세상 만물을 작품화하는 게 제 욕심입니다." 한종근(33.해남군 황산면 교

    중앙일보

    2004.09.14 20:47

  • 한국기술교육대, 학생 졸업작품전 개최

    한국기술교육대는 16, 17일 이틀간 '졸업연구작품전'을 연다. 내년도 졸업 예정자 전원이 참가, 3~5명씩 팀을 이뤄 1년 동안 만든 작품을 전시한다. 이와 별도로 16일에는 '

    중앙일보

    2004.09.14 20:42

  • [사람 사람] 사진작가 데뷔 이창규 신부

    [사람 사람] 사진작가 데뷔 이창규 신부

    가톨릭 신부가 사진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뒤늦게 사진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주인공은 지난 20일 경일대 대학원 사진영상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은 대구 성산천주교회의 이창규(李昌奎.4

    중앙일보

    2004.02.22 18:27

  • [week& 웰빙] 장금이는 저리 가라 … 맛깔스러운 졸업식

    [week& 웰빙] 장금이는 저리 가라 … 맛깔스러운 졸업식

    *1 지난 16일 혜연이랑 상은이, 애린이는 큰 상을 차렸습니다. 교자상을 펼치고 깨끗하게 닦은 유기그릇에 음식을 하나 둘 담아 올립니다. 신선로.수삼냉채.전복초.대하찜 등 상에

    중앙일보

    2004.02.19 15:38

  • 한 컷에 담긴 발칙한 풍자… 고경일씨 전시회·작품집

    한 컷에 담긴 발칙한 풍자… 고경일씨 전시회·작품집

    도시는 현대인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하늘높이 기괴하게 솟아오른 빌딩숲이 혹시 우주인과 교신하는 기지는 아닐까. 고개를 돌려보면 산동네 골목길 역시 빌딩숲 못지않게 까마득해 가끔은

    중앙일보

    2003.11.26 17:31

  • [전시회 산책] 서예가 송하경 개인전 外

    [전시회 산책] 서예가 송하경 개인전 外

    *** 서예가 송하경 개인전 우산(友山) 송하경(61.성균관대 유학동양학부 교수)씨가 11월 5일부터 18일까지 서울 인사동 갤러리 라메르에서 서예작품전을 연다. 7년 만에 마련한

    중앙일보

    2003.10.28 17:07

  • 고구려·백제 풍류 한국화에 담는다

    충남 논산에 있는 건양대학교의 한국화 전공은 학생을 뽑은 지 8년 밖에 되지 않은 신생 학과다. 과가 생길 때 부터 일해온 박완용(45) 교수는 크게 두 가지 고민을 안고 출발했다

    중앙일보

    2003.09.30 18:00

  • 대통령 친필 휘호 등 50여점 국민대에 내놔

    팔순을 앞둔 한 서예가가 자신의 서예작품 판매 수익금과 역대 대통령의 친필 휘호 등 애장품 전체를 모교에 기증한다. 서석(瑞石) 박일규(77)옹은 13일부터 6일간 한국프레스센터

    중앙일보

    2003.05.13 17:50

  • [대구·경북 뉴스 포커스] 2월 5일

    *** 자치 행정 대구시는 출산휴가 기간이 석달로 늘어나고 육아휴직 대상도 3세 미만으로 확대됨에 따라 업무공백을 줄이기 위해 대체인력은행을 운영키로 했다.대체인력은행은 퇴직 공무

    중앙일보

    2003.02.04 21:00

  • 대학동아리가 벤처창업 '반짝 반짝'

    대학 동아리가 벤처기업을 창업,성공 ‘사냥’에 나섰다. 지난해 말 대구 영진전문대학 창업보육센터 504호에 입주한 ‘폰놀이’(Phone Nori)의 김해진(25)대표와 직원 박준성

    중앙일보

    2003.01.28 19:12

  • 한경직 목사 업적·뜻 기린다

    기독교인으로, 그리고 교육가와 사회봉사자로 한국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한경직 목사(2000년 타계)의 탄생 1백주년(12월 29일)을 앞두고 한목사의 업적과 높은 뜻을 기리는 행

    중앙일보

    2002.10.18 00:00

  • "디자인은 세계 바꾸는 창조적 산업" 英國은 디자인 혁명중

    런던이 움직이고 있다. 19세기 회색빛 산업혁명의 낡은 고치를 벗고 21세기 화려한 디자인혁명의 나비가 되기 위한 탈피가 한창 진행 중인 것이다. 왜 디자인인가. 토니 블레어 영국

    중앙일보

    2002.03.15 00:00

  • 생명처럼 번지는 대기의 숨결

    날카롭게 뻗어내린 수양버들의 잔가지엔 봄빛이 완연한데, 강물에 반짝이는 햇살에선 봄의 아늑함이 피어오른다. 그런가 하면 울창한 대숲에 부는 청량한 바람이 나타나기도 하고 어둠을

    중앙일보

    2002.03.05 00:00

  • [미술계 단신] 한지공예가 금광복 초대전 外

    ***한지공예가 금광복 초대전 한지공예가 금광복(42) 씨의 초대전'한지문양'전이 서울 잠실 롯데월드 화랑에서 열리고 있다. 금씨는 한지를 이용한 전통공예품에 쓰인 문양을 위주로

    중앙일보

    2002.01.09 08:10

  • [미술계 단신] 한지공예가 금광복 초대전 外

    ***한지공예가 금광복 초대전 한지공예가 금광복(42)씨의 초대전'한지문양'전이 서울 잠실 롯데월드 화랑에서 열리고 있다. 금씨는 한지를 이용한 전통공예품에 쓰인 문양을 위주로 4

    중앙일보

    2002.01.09 00:00

  • 7기 연구원 30일까지 접수 外

    7기 연구원 30일까지 접수 한국만화문화연구원(원장 손상익) 이 제7기 연구원을 모집한다. 모집 인원은 10명 내외이며 인문.사회 계열 대학졸업자면 지원할 수 있다. 교육비는 무료

    중앙일보

    2001.11.20 08:01

  • 계원대 애니학과 졸업작품전 열어

    계원조형예술대학 애니메이션학과 학생들이 23~25일까지 서울 동숭동 학전블루 소극장에서 졸업작품 상영전을 연다.30여편이 하루 2~3회 상영된다. 031-420-1855.

    중앙일보

    2001.11.20 00:00

  • [지하철 Q&A] 역에서 졸업 작품전 열 수 있나?

    (Q) 회화를 전공하는 미대 4년생입니다. 지하철을 타고가다 사진.그림 등이 전시돼 있는 역을 본 적이 있습니다. 지하철역에서 졸업작품전을 열 수 있을까요.(이지혜.서울 양천구 목

    중앙일보

    2001.10.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