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210)-제자는 필자|제15화 자동차의 반세기(4)

    우리나라 사람으로 최초의 운전사가 된 사람은 서울의 낙산부자 이용문씨인 것으로 알고 있다. 이씨는 앞서 말한 일본 사람 근등 등이 운전사 양성소를 처음 차렸을 때 그때 조선 사람으

    중앙일보

    1971.07.20 00:00

  • (178)방송 40년(7)|이덕근(제자는 필자)

    경성방송국이 27년2월 방송을 시작할 때의 출력은 말코니 송신기 1㎾였다. 실패와 희비가 엇갈리는 가운데 33년4월에 제2방송이 생길 때는 10㎾로 출력이 늘어나고 33년7월에

    중앙일보

    1971.06.12 00:00

  • (177)방송 50년(6)이덕근(제자는 필자)

    개국 초 연예 프로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한 것은 음악이었다. JODK는 개국한해의 3월에 청취자들에게 왕복엽서를 이용하여 청취율을 조사해 본 일이 있었는데 42개 종목 중에서 뉴

    중앙일보

    1971.06.11 00:00

  • (59)-제자는 필자|제4화 명월관(19)-기생치마폭에 붓으로 시 쓰고 고담준론에 밤 깊은 줄도 몰라

    세상이 온통 흐려지고 명월관이 난장판이 되었지만 뒤늦게 서서히 등장하기 시작한 언론인과 문인들의 존재는 밤하늘의 별처럼 반짝이기 시작했다. 신학문을 닦고 시대의 첨단을 걷는 이들의

    중앙일보

    1971.01.19 00:00

  • (58)-제자는 필자|제4화 명월관(18)-3·1운동 후 눈뜬 애국지사들의 연락역 맡아

    3·1운동이 일어난 후 일본인들이 우리나라 사람들을 보는 눈도 달라졌지만 기생들이 세상을 보는 눈도 하루하루 변해갔다. 해마다 여름이 되면 일본유학생들이 사각모자를 쓰고 돌아왔고,

    중앙일보

    1971.01.18 00:00

  • (48)제4화 명월관(8)

    기생조합이 권번으로 이름을 바꾼 것이 내나이 14세되던 해였다. 나는 대정권번에 몸을 담고 나이어린 몸으로 우선 공부부터 시작했다. 대정권번은 곧 우리나라 최초의 규약를 만들었다

    중앙일보

    1971.01.06 00:00

  • 무성영화시대(5)>

    『아리랑』한편으로 일약「스타」가 된 나는 이어 이경손감독의『봉황의 면류관』에 출연했다. 이 영화에서는 신인 정기석씨와 공연했다. 그 당시 정기석씨는 부호의 아들로「스타」를 꿈꾸는

    중앙일보

    1970.11.27 00:00

  • (72)|해방에서 환국까지|김을한

    영친왕은 일본 육군 사관학교 제29기생인데 동창생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다재다능한 영친왕은 일본 무용과 가요 곡에도 취미가 많아서 상당한 지식이 있었다고 한다. 대판의 「다까라쓰까」

    중앙일보

    1970.07.29 00:00

  • 새교육의 연륜을 더듬어(8)|충주 교현국민학교

    열혈청년 조한설은 충주의 명륜당에 (현교현동180)10여 학도를 모아서당을 열었다. 조한설은 고종황제가 이미지난해(1894) 서정혁신을 단항, 예조를 폐하고 학무아문을 발하여 과거

    중앙일보

    1968.06.01 00:00

  • 3·1운동과 민족정신 - 홍종인

    3·1절에 즈음하여 우리 민족의 가난과 고초를 더듬으며 구국·독립의 역사를 밝히는 일은 우리들의 당연한 책무가 아닐 수 없다. 더구나 지금 젊은 친구들 사이에는 3.1 정신이 무

    중앙일보

    1967.03.0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