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이천서 첫 벼베기

    【이천=연합】27일 상오10시 경기도이천군 호법면안평1이 문형길씨(35)가 전국에서 처음으로 자기논 1백6평방m에서 벼베기를했다. 문씨는 지난3월15일 조생종인 「소백벼」보은묘판을

    중앙일보

    1983.07.27 00:00

  • 농진청, 복숭아조생종 개발

    농촌진흥청 원예시험장은 단맛이 뛰어나고 수확이 빠른 복숭아 신품종 「백미조생」(사진)을 육성, 내년부터 등가에 보급한다. 이신품종은 우리나라 대표품종인 백도와 미국종 서머크레스트를

    중앙일보

    1983.07.06 00:00

  • 집성촌

    넓디 넓은 들판에 실팍한 배추가 더미더미 쌓인채 트럭에 실리고 있다. 성주읍에서 남쪽으로 16㎞를 더 가면 길 한옆에 「81년도 범죄 없는 마을」이란 입간판이 눈에 띈다. 경주배씨

    중앙일보

    1982.12.11 00:00

  • 제철상품 감귤

    감귤이 추석을 앞두고 시장에 첫선을 보였다. 지난20일 서울용산시장에 3백관정도가 첫반입된 것을 시작으로 반입량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아직은 시험출하기여서 착색이 40% 수준.

    중앙일보

    1982.09.28 00:00

  • 풍작으로 푸짐한 차례상

    햇과일·채소등 추석시장을 가본다 가을시장에 햇곡과 햇과일이 풍성하다. 요즈음은 사철공급으로 모든 농산물이 제맛을 잃고는 있지만 그래도 가을은 수확의 계절. 특히 올해는 비교적 작황

    중앙일보

    1982.09.14 00:00

  • 벌써 햅쌀이...

    서울양곡시장에 첫선을 보인 햅쌀-. 가뭄과 태풍으로 한 때 농민들의 마음은 어두웠으나 이를 잘 극복, 풍부한 일조량 덕으로 예년에 비해 20여일 일찍 햅쌀이 나왔다. 호남지방에서

    중앙일보

    1982.08.28 00:00

  • 김씨는 지난 4월20일 조생종인 레이데이를 이앙했는데 6월27일쯤부터 출수를 시작한 벼가 한달 동안에 익어 이날 64㎏을 수확한 것이다. 전국에서 가장먼저 벼베기를 마친 김씨는

    중앙일보

    1982.07.26 00:00

  • 과일시장「복」자 새겨진 사과나와 값은 1개 1천5백원

    빨간 사과에「복」자를 새겨 넣은 사과가 시중에서 팔리고 있다. 새긴「복」글자를 따서「복사과」라고 이름 붙여진 이 사과는 충남 성안농원 가재령씨(충남 서산군 팔봉면 진장리)가 생산해

    중앙일보

    1981.12.01 00:00

  • 제철상품|감귤

    겨울의 미각 감귤이 입맛을 돋우고 있다. 태풍 애그니스피해가 적은데다 감귤나무가 어느덧 성과수에 이르고있어 올 생산량은 작년보다 38%나 많은 22만t. 아직은 조생종이 대부분이고

    중앙일보

    1981.11.12 00:00

  • 통영 지도소,6ka서 만 여kg 수확

    【충무】우남 통영군 재래종 마늘에 비해 수확량이 2배나 많고 저장성과 수확 시기 등이 유리한 신품종 마늘 상해조생(일영가정구)재배에 성공,농가소득층대에 기여하게 되었다. 30일 통

    중앙일보

    1981.10.30 00:00

  • 김장채소 재배면적 줄어

    올해 김장채소는 재배면적이 작년의 5만9천㏊보다 22%줄어든 4만6천㏊밖에 안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무우는 지난해 3만1천㏊를 심었었으나 올해는 2만4천㏊밖에 심지 않았으며 배추는

    중앙일보

    1981.09.16 00:00

  • 정부양각 2만섬 물에 잠겨

    태풍 애그니스호로 농경지 침수피해를 본 이외에 정부창고에 있던 양곡 2만섬과 비료 26만부대(6천5백t) 농약 53t이 물에 감기고 이미 파종한 김장채소 5천h가 망가져 다시 씨를

    중앙일보

    1981.09.09 00:00

  • (81) 거름 안 쓰고 이슬만으로 길러|따기가 무섭게 팔려나가|30kg 짜리 는 3만원|광주 전국 체전 땐 심벌마크로 등장

    「가을수박」. 추석을 전후로 따낸다 해서 무등산 수박을 이렇게 부른다. 광주 사람 인심만큼이나 두터운 껍질, 그 곳 젊은이들 포부만큼이나 큰 덩어리, 상냥스런 마음만큼 연하고 감칠

    중앙일보

    1981.09.03 00:00

  • (80)아직 벼팰 철에 햅쌀을 거둔다

    가뭄에 가슴 죄고, 장마에 밤지새던 농군의 치성이 풍년을 가져왔다. 어느 논을 둘러봐도 갓팬 파릇한 이삭이 영글 채비를 할 즈음에 풍년가가 드높은 마을. 전남 승주군 해룡면 호두리

    중앙일보

    1981.08.27 00:00

  • 벼농사와 기상|올해 같은 날씨가 벼 생육엔 안성마춤

    『농사는 하늘과 짜고 한다』는 말이 옛날이나 지금이나 통한다. 인류는 지금까지 자연을 하나하나 정복해왔다. 그러나 과학문명이 고도로 발달한 현대에도 기상만은 어떻게 하지 못해 기상

    중앙일보

    1981.08.26 00:00

  • 올벼농사 순조…풍작예상|3천8백만섬 웃돌 듯

    올해 벼농사가 순조롭게 진행돼 18일 현재 심은 벼의 60%가 패었다(출수). 이는 예년보다 4∼5일 빠른 것으로 벼의 생육상황도 양호해 앞으로 날씨만 좋고 병충해 방제를 철저히

    중앙일보

    1981.08.19 00:00

  • 초가을 과일 출하늘어

    ○…며칠새 수박·참외·복숭아등이 눈에 띄게 줄고 대신 포도·사과등이 서서히 늘면서 벌써부터 초가을의 맛을 풍기고 있다. 올여름 유난한 더위속에서 단연 황금기를 구가했던 수박은 8월

    중앙일보

    1981.08.13 00:00

  • 올 해 첫 벼 거둬

    【전주】전주시 중화산동 474 조기호씨 (37)는 9일 1천5백평의 논에서 벼 20가마를 거둬들여 올 들어 전국에서 첫 벼 수확을 기록했다. 조씨가 이날 수확한 벼는 조생종 마쓰마

    중앙일보

    1981.08.10 00:00

  • 포도 사과 배-품종 가려 사야 제 맛 즐겨|고르는 요령을 알아본다

    가을 과일이 하나 둘 얼굴을 내밀기 시작했다. 폭염 속에 전성기를 누렸던 여름도 어느새 찾아 든 가을 과일로 인해 차차 밀려나는 듯한 느낌이다. 가을을 예고해 주는 과일로는 사과·

    중앙일보

    1981.08.10 00:00

  • 목도열병 방제령 여수서 이삭패자 번져

    올 들어 최초로 지난달 30일 전남 여천군 쌍봉면 화장부락 서주석씨(53) 논에서 예년보다 8일 빨리 목도열병이 발생해 농수산부는 이 날짜로 목도열병 경보를 발표하고 각 시·도에

    중앙일보

    1981.08.01 00:00

  • 폭염속 가으을 손짓하듯 벼가 팬다

    폭염이 맹위를 떨치고 있는 가운데 계절은 벌써 가을을 재촉한다. 지난해 냉해로 흉작을 겪었던 벼가 올해는 불볕더위 속에 쑥쑥자라 벌써 벼이삭이 고개를 내밀기 시작했다. 경북봉화군봉

    중앙일보

    1981.07.28 00:00

  • 김장용 무·배추 파종 서두르도록

    농수산부는 5일 김장용 무· 배추의 파종적기가 거의 지남에 따라 아직까지 파종하지 못한 농가에서는 무의 경우 일반종 대신 알타리무를, 배추는 중·만생종 대신 조생종을, 결구대신 반

    중앙일보

    1980.09.05 00:00

  • 소슬바람 결실을 재촉 9월

    소슬바람이 황금빛 들판을 달리며 결실을 재촉하는 달. 오랜 장마와 이장저온이 계속되는 가운데 어느덧 9월로 접어들었다. 냉하로 제때 패지못한 벼이삭과 과일의 결실은 좋지 않지만 조

    중앙일보

    1980.09.01 00:00

  • 벼 덜자라고 과일결실 잘 안돼|이상저온에 잦은비 두달째

    6월중순부터 7월말까지 한달보름이나 계속된 장마에다 8월들어 줄곧 이어지고 있는 이상저온 현상으로 벼가 자라지도, 이삭이 패지도 않고 있다. 고추·참깨·콩등 밭작물, 각종 파수등도

    중앙일보

    1980.08.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