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서소문 포럼] 이것은 엉덩이인가 궁둥이인가

    [서소문 포럼] 이것은 엉덩이인가 궁둥이인가

    박정호 문화스포츠 에디터 말모이란 단어를 영화로 처음 배웠다. 창피하지만 솔직한 고백이다. 일제강점기 우리말 사전에 매달린 사람들의 피땀을 담은 영화 ‘말모이’(감독 엄유나)를

    중앙일보

    2019.02.12 00:27

  • 우리 국어연구사에 큰 족적|7일 타계한 국어학자 정인승박사

    지난 7일 90세로 타계한 정인승박사는 우리나라 국어연구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1897년 전북 장수출생인 정박사는 일찌기 한글 연구를 결심, 일제하에서 조선어학회를 중심으로 활동

    중앙일보

    1986.07.09 00:00

  • (639)|조선오학회 사건(24)

    조선어학회사건의 발단인물이 되는 정태진이 홍원 경찰서의 소환장을 받고 떠나간 후 그의 얼굴을 내가 다시 본 것은 1944년 9월 중순 예심이 종결을 지을 무렵이었다. 그러니까 꼭

    중앙일보

    1972.12.19 00:00

  • (638)제29화 조선어학회 사건

    예심판사 「나까노」는 예심종결결정문에서 다시 각개인별 죄목을 열거했다. 『피고인 이극노 최현배 이희승 등이 조선독립을 목적으로 결사를 조직하고 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행위를 한

    중앙일보

    1972.12.18 00:00

  • (632)조선어학회 사건(17)|정인승(제자 정인승)

    「가갸날」은 1931년까지 음력으로 지켜오다가 1932년에 학회는 우리의 문학생활이 모두 양력으로 표준하는 현대에 있어 「가갸날」을 음력으로 지킨다는 것은 시대사조에 어긋나는 일

    중앙일보

    1972.12.11 00:00

  • (630)제29화 조선어학회 사건(15)

    일제경찰은 또 조선어학회의 자매기관인 조선기념도서출판관과 양사원의 설립에 대해서도꼬투리를 잡았다. 조선기념도서출판관이란 1935년 조선어학회가 부설로 설치한 기관으로 돈 많은 유

    중앙일보

    1972.12.08 00:00

  • (627)-제자는 정인승|조선어학회 사건(12)

    우리 세명 담배동지들의 담배도둑질은 귀신같았다. 홍원경찰은 예심조서를 꾸미기 시작하면서 다시 우리들을 바삐 끌어 내어다가는 볶아대었다. 그리하여 담배동지 세명은 하루에도 한 두

    중앙일보

    1972.12.05 00:00

  • (626)-제자는 정인승|조선어학회 사건

    설날이라고 생색을 내면서 우리를 골탕먹인 일본경찰은 언제나 그렇게 음식에 있어 우리에게 후한 것은 절대로 아니었다. 우리 한글학자 일행29명의 집은 대부분이 서울에 있어 가난한

    중앙일보

    1972.12.04 00:00

  • (625)-제자는 정인승|조선어학회 사건(10)

    한해가 가고 새해가 왔다. 1943년1월1일. 아침나절에는 새해첫날이라 그런지 한사람의 동지도 끌려나가지 않았다. 오늘은 웬일이라고 편히 보내게 하려는가하고 숨을 돌리고있는데 간

    중앙일보

    1972.12.02 00:00

  • (622)조선어학회사건(7)정인승

    홍원 경찰서에서 우리 동지들이 취조를 받은 곳은 널따란 연무장 이었다. 우리동지 29명에 대해 10여명의 전담 취조반이 편성되어 넓은 연무장 마룻바닥에 띄엄띄엄 책상과 걸상을 놓

    중앙일보

    1972.11.29 00:00

  • (621)조선어학회 사건(6)정인승

    내가 들어간 제3감방에는 김윤경·이희승·이석린 등이 있었다. 모두 그 동안 심한 고문을 당한 모양, 허탈상태에 빠져 있었다. 이극노는 제4감방에 갇혔다. 제4감방은 겨우 두 사람

    중앙일보

    1972.11.28 00:00

  • (620)조선어학회 사건(5)정인승

    열흘이 지나자 이극노의 그 호령과 비명도 잠잠해졌다. 저녁나절 끌려들어오는 이극노의 모습은 초저녁 어스름에 짙게 물들어 큰 키가 더욱 초라해 보였다. 그 호걸스럽던 풍모가 어디로

    중앙일보

    1972.11.27 00:00

  • (618)조선어학회사건(3)|정인승

    북풍 찬바람에 몸이 오싹해지는 새벽에 기차는 함흥정거장에 도착했다. 우리 일행을 끌고 가는 형사들이 두런두런 귀엣말을 주고받더니 이극노 권승욱 그리고 나 셋만을 내리라고 했다.

    중앙일보

    1972.11.24 00:00

  • (268)제19화 형정반세기(11)

    30년대 말부터 일본어 사용 등 강력한 동화정책을 편 일제가 마지막으로 우리의 말과 글, 얼의 말살을 꾀했던 사건으로 조선어학회사건을 손꼽을 수 있다. 37년부터 일본천황에게 충

    중앙일보

    1971.09.2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