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북녘산하 북녘풍수]8.선죽교와 좌견교…금기 깬 오백년 도읍지

    풍수에 규봉 (窺峰) 이란 용어가 있다. 명당 바깥 쪽에서 명당 안을 엿보는 듯한 봉우리가 있을 때 이를 엿볼 규자를 써서 규봉이라 한다. 명당의 혈장에 섰을 때 주위 산너머로 그

    중앙일보

    1998.03.28 00:00

  • [시가 있는 아침]정몽주 모친 시조

    가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야 가지마라 성난 가마귀 흰 빛을 새오나니 창랑에 좋이 씻은 몸 더러일까 하노라 - 정몽주 모친 시조 고려말. 그 극도로 긴박한 전환기에도 그 시대 주역들의

    중앙일보

    1998.03.24 00:00

  • [시가 있는 아침]고려 정몽주 '춘흥 (春興)'

    봄비가 가늘어 듣지 않더니 밤중에는 자그마한 소리로 들리는구나 눈 녹아 앞 개울 물이 불어나겠네 풀들이야 얼마나 돋아났을까 - 고려 정몽주 '춘흥 (春興)' 만약 선죽교에서 죽지

    중앙일보

    1998.03.10 00:00

  • 정몽주·최치원등 2백명 실린 일본 덴리대학 소장 화첩 도록 발간

    '몽유도원도 (夢遊桃源圖)' 의 소장처로 유명한 일본의 덴리 (天理) 대학에는 또 하나 귀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이 소장돼 있다. 국내에서도 매우 드문 '초상화첩 (肖像畵帖)' 을 무

    중앙일보

    1998.03.10 00:00

  • [내마음속의 문화유산]38.사당·정자·비석

    국보나 보물급 문화재 앞에 운집한 사람들의 틈바구니에서는 나의 가슴에 와닿는 감동을 느끼기가 쉽지 않다. 차라리 나에게 '문화유산' 이란 말뜻은 관광객도 없고 문화유산을 순례하러

    중앙일보

    1997.11.22 00:00

  • [말말말]"'물태우'보다 힘빠졌다는 얘기돈다"청와대 관계자

    ▷ "金대통령이 요즘 '물태우' 보다 힘이 빠졌다는 얘기가 있다. 1시간 이상 설득해도 정치적 아들이란 李지사가 '변한게 없다' 고 하니 그런 얘기가 안 나오겠느냐. " - 청와대

    중앙일보

    1997.08.31 00:00

  • [시론]지금 鄭道傳을 생각한다

    1290년 조선에 주자학이 들어온지 1백년쯤 지난 1392년 4월4일 한사람의 탁월한 주자학자가 선죽교에서 무참히 살해됐다. 같은 해 7월17일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바뀌고 6

    중앙일보

    1997.08.01 00:00

  • 인하통보 받은 울산 시내버스 요금 당장 내리기는 어려워

    감사원으로부터 인하통보(본지 29일자 21면 보도)를 받은 울산 시내버스 요금은 다시 내릴 수 있을까.결론부터 말하면 당장은 어렵다. 울산시가“4월15일 구성해 활동을 시작한'시내

    중앙일보

    1997.05.30 00:00

  • 성인高 전통문화사랑회

    분당신도시 야탑동 성인고등학교(교장 李丙哲)의 전통문화사랑회가 제1회 탁본전시회를 개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전통문화사랑회는 이 학교 국어과 이충휘(李忠輝.40)교사가 발족,국사

    중앙일보

    1997.05.23 00:00

  • 뜻을 가진 지도자

    TV드라마'용의 눈물'에 얼마전 정도전이'백의종군'을 선언하는 대목이 나왔다.개인의 야심을 버림으로써 정치적 견제에서 벗어나 정책추진을 원활하게 한다는 뜻이었다. 고려에서 조선으로

    중앙일보

    1997.05.16 00:00

  • "청문회는 說문회 이젠 說도 바닥나" 신한국당 박희태 총무

    ▷“요즘'이 몸이 죽고 죽어…'라는 포은(圃隱)정몽주(鄭夢周)의 시조와'까마귀 싸우는 골에 백로야 가지마라'는 시조를 자주 떠올린다….요즘은 포은의 시에 마음이 기울고 있다.”-신

    중앙일보

    1997.04.19 00:00

  • 이수성 고문 출사표 - '전두환.노태우 사면 빠를수록 좋다'고 밝혀

    신한국당 이수성(李壽成)고문이 대선 행보를 한 걸음 더 내디뎠다.그는 18일 4.19혁명 국가조찬기도회에서 강연을 했다.고문 임명후 처음이다. 민주계 대안론이 거론되는 마당에 첫

    중앙일보

    1997.04.19 00:00

  • '사내다움'의 아름다움

    나는 이문열이 펴낸 10권의 세계명작산책 중에서 제7권'사내들만의 미학'을 가장 좋아한다.이 책에는 남자다움이란 무엇인가 하는 물음에 대한 10가지 답이 들어있다. 그 대답들은 윤

    중앙일보

    1997.03.15 00:00

  • 麗末鮮初 선비 78명 실제필적 전시-예술의전당

    비문이나 탁본이 아닌 실제 필묵으로 가장 오래된 선조들의 필적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예술의전당이 내년 1월29일까지 예술의전당 서예관에서.고려말 조선초의 서예전'을 여는

    중앙일보

    1996.12.28 00:00

  • 자원봉사大축제 '반짝 아이디어' 돋보인 삼성사회봉사단

    「제3회 전국자원봉사대축제」 참가단체중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축제의 흥을 한껏 낸 곳은 축제의 후원.공동개최자인 삼성사회봉사단이다.자원봉사의 열정은 넘치지만 아직 아이디어가 빈곤한

    중앙일보

    1996.09.16 00:00

  • 全.盧씨 재판 관련 피고인.검찰.변호인 각종 발언

    10개월 넘게 진행된 이 사건 수사및 1심 재판기간중 피고인.검찰.변호인.재판부는 16~17년전에 벌어진 역사적 사건의 사법처리를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나름대로의 논리와

    중앙일보

    1996.08.27 00:00

  • 서울대 국사학과 첫 서양인박사 탠생

    서울대 국사학과에서 서양인 제1호 박사가 탄생했다.고려시대 불교와 정치세력 사이의 관계를 연구한 「고려시대 법상종교단의 추이」(지도교수 최병헌)라는 논문으로 이달에 학위를 받게 된

    중앙일보

    1996.08.04 00:00

  • 재일동포단체 진단-정몽주 민단조직국장

    민단 중앙본부의 정몽주(鄭夢周.49.사진)조직국장은 『북.일수교 후에도 조총련계 동포들과의 융화를 계속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교포 2세인 그는 47년 가나가와(神奈川)현에서 태어

    중앙일보

    1996.06.19 00:00

  • 민족문화추진委 이우성 위원장

    『역사에선 승리자만이 가치를 독점하는 것이 아닙니다.역사방향에 부합하지 않아 실패했지만 지조를 갖고 일생을 산 목은(牧隱)李穡선생과 같은 인물이 우리 민족의 정신사에 미친 영향은

    중앙일보

    1996.06.19 00:00

  • 5.18과 위화도 회군

    5.18사건에「공소권 없음」을 결정한 검찰은 기자들과의 일문일답에서 이 사건이 사법심사의 대상이 될 수 없음을 이렇게 비유해 설명했다.『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이성계(

    중앙일보

    1995.07.26 00:00

  • 성공한 강도도 나중엔 처벌-韓仁燮교수

    △『…이성계(李成桂)는 위화도(威化島)회군을 하고 고려 출신정몽주(鄭夢周)를 죽였지만 조선사회에 속한 이상 누가 이를 사법심사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겠는가.』-장윤석(張倫碩)부장검

    중앙일보

    1995.07.20 00:00

  • KBS.1TV "역사의 라이벌"

    이번회의 주인공은 이성계와 이색이다.「같은 뜻,다른 길」편. 목은 이색은 포은 정몽주,야은 길재와 함께 고려말의 삼은으로 불리는 주자학의 대가.귀족들의 토지독점들 비롯,사회적 갈등

    중앙일보

    1995.04.15 00:00

  • KBS1"역사의 라이벌" 조선5백년 정리

    「조선의 개국에서 몰락까지를 TV를 통해 배운다」. 그동안 한국사를 얘기할 때면 자신 없다고 느껴온 시청자들이 TV를 통해 조선조 5백년을 총 정리해 볼 수 있게 됐다. 역사에서

    중앙일보

    1995.04.09 00:00

  • 조선500년 참모습 밝힌다-KBS1"역사의 라이벌"

    「조선의 개국에서 몰락까지를 TV를 통해 배운다」. 그동안 한국사를 얘기할 때면 자신 없다고 느껴온 시청자들이 TV를 통해 조선조 5백년을 총 정리해 볼 수 있게 됐다. 역사에서

    중앙일보

    1995.04.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