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5) 대한변협회장 김택현씨

    3녀7남의 10남매중 나는 9번째였다. 고향인 평북선천군군산면봉산리에서 14마지기의 논농사로 비교적 부농에 속했던 우리집이었지만 한학자로 유명하시던 아버지(김시건·호는 우의)께서는

    중앙일보

    1983.01.18 00:00

  • 지명인사

    ▲홍창섭(전국회외의원) ▲홍종문(대선제분회장·종친회장) ▲홍진기(중앙일보회장) ▲홍경모(전방송공사사장) ▲홍종인(언론인) ▲홍문화(서울대명예교수·약박) ▲홍성철(전내무·보사장관)

    중앙일보

    1982.12.25 00:00

  • (41)안동 권씨

    안동 권씨는 고려조의 사성이다. 시조는 김행. 그는 원래 신라왕실의 후예로 본명은 김행 이었다. 관직은 고창군(현재 안동)별장. 신라가 극도로 부패, 잇단 민란으로 국운이 기울어

    중앙일보

    1982.11.20 00:00

  • 한문학맥 이을 대책 시급하다

    전문 한학자의 육성이 시급하다는 주장은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끊어질지도 모를 한문학의 맥을 이을 집약적인 대책이 시급하다는 주장은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그러나 이렇다할 대응

    중앙일보

    1982.10.25 00:00

  • 국내 첫 한문교육원 3월에 성대에 개원

    국내최초로 한문만을 전문으로 교육하는「한문교육원」이 설립된다. 성균관대는「한문교육원」은 2월중에 문교부에 승인을 신청, 빠르면 오는 3월부터 문을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교육원

    중앙일보

    1981.02.21 00:00

  • 뿌리내린 고전국역사업|15년간 3백권의 주옥편 번역

    한문으로된 우리의 귀중한 옛 전적들을 한글로 옮기는 고전국역사업이 시작된지 15년이 됐다. 64년부터 전통문화의 뿌리를 찾아 일반 국민들에게 널리 보급키위해 국고보조로 시작된 이

    중앙일보

    1979.06.22 00:00

  • 흑룡강출병 기록『북정일기』쓴 신유장군 친필서한 공개

    77년 신유장군의 흑룡강출병 전투일지인 『북정일기』가 발견된 이후 신유장군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그의 인간성을 알려주는 친필서한 1통이 최근 공개돼 학계의 주

    중앙일보

    1979.02.10 00:00

  • 상용한자에 어려운 글자 많다 실생활에 맞게 손질을

    해방 후 7차례나 큰 홍역을 치렀으면서도 최근 다시 고개를 들기 시작한 한자교육에 대한 논의는 18일 박정희 대통령의 담화로 어문정책의 기본적인 태도는 일단 밝혀진 셈이다. 그러면

    중앙일보

    1977.08.20 00:00

  • 우리말 관계책 등 3천 여권

    한학자이셨던 선친의 가르침으로 학문의 길에 들어서게 됐다. 20세를 좀 넘어 연희 전문에서 어문학 공부를 하며 한글 연구와 인연을 맺었다. 한글학회 등과 운명을 같이하다 보니 자연

    중앙일보

    1976.12.21 00:00

  • TV사극의 고증문제-한국민방문화 고증회 세미나

    「사극과 고증」의 문제는 끊임없이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활자나 음향에 의한 「매스·미디어」시대를 넘어 「보고 듣는 영상」의 시대일수록 역사극에 있어서의 고증은 더욱 문제가 되고

    중앙일보

    1975.07.29 00:00

  • 「파리」동양학자회의 결산

    제29차 국제동양학자회의가 학회창립 1백년을 맞아「프랑스」의 「파리에서 지난7월16일∼21일 열렸다. 이 회의에는 세계 63개국의 동양학관계 전문학자들 3천여명이 참석했는데 한국

    중앙일보

    1973.08.08 00:00

  • 한국인 평균 수명|72년 평균 남63.7 여68.1세|6년 만에 남4 여5세 늘어

    ○…도대체 사람은 얼마나 오래 살 수 있는 것일까. 1세기 전 만해도 인간의 평균 수명은 기껏 30,40세에 불과했다. 그러나 금세기의 눈부신 의학의 진보와 괄목할만한 생고수소의

    중앙일보

    1973.01.01 00:00

  • (10)도의의 현대적 의미|사제간

    ⑧부모와 자녀 사회 유봉영 ⑨부부 사회 신태환 ⑩사제간 사회 이희승 ⑪우정 사회 김진만 ⑫동료간의 우의 ⑬협동 ⑭시민정신 ⑮공중도덕 ?애국의 논리와 윤리 ?인간애 ?근로정신 정병

    중앙일보

    1970.08.27 00:00

  • 병오년에 사라진 별들

    병오년도 이제 고요히 저물어 가고 있다. 다사다난했던 한해-삶이 있는 이상 죽음이 따르게 마련이지만 이 한해도 많은 인사들이 불귀의 객이 됐다. 병오년을 회고하면서 사라진 별들을

    중앙일보

    1966.12.2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