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민족정신의 성지 '독립기념관'서 K-컬처 즐긴다

    민족정신의 성지 '독립기념관'서 K-컬처 즐긴다

    지난 12일 오후 '2023 천안-K컬처 박람회'가 열린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 웰컴존에서 퓨전국악그룹 '라라'의 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신진호 기자 12일 오후 3시20분 충남

    중앙일보

    2023.08.13 16:14

  • "흠 좀 잡히면 어떤가? 일점일획 소홀하지 않게" 석헌 임재우

    "흠 좀 잡히면 어떤가? 일점일획 소홀하지 않게" 석헌 임재우

    임재우, 일일난재신 ( 一日難再晨 ), 2017 년 , 57x35cm[사진 일중기념사업회] 석헌(石軒) 임재우(74)는 국내 서예계에서 전각과 문인화, 서예의 경계를 넘나들며 독

    중앙일보

    2022.04.26 16:09

  •  "서예는 자연의 기운과 원리, 이치를 표현하는 것"

    "서예는 자연의 기운과 원리, 이치를 표현하는 것"

    초정 권챵륜 작 '수(壽)'. [사진 초정서예연구원] 초정 권창륜 작 '구지(求志)'. [초정서예연구원] 초정 권창륜 작 '천서(天書)". [초정서예연구원] 초정 권창륜 작 '임

    중앙일보

    2020.06.24 10:00

  • 먹에 취한 한평생, 서예가 인영선 별세

    먹에 취한 한평생, 서예가 인영선 별세

    인영선 서예가 인영선(사진) 선생이 18일 별세했다. 74세. 고인은 글과 글씨가 어우러진 문인화, 시서화(詩書畵)를 종합한 작품으로 새로운 길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중앙일보

    2020.05.20 00:02

  • 묵향에 취한 한평생...서예가 취묵헌 인영선 선생 별세

    묵향에 취한 한평생...서예가 취묵헌 인영선 선생 별세

    서예가 취묵헌 인영선 선생. 2015년 개인전 때 '세월장면면(歲月藏面面)' 앞에 선 모습이다. [중앙포토].  서예가 인영선 선생이 18일 별세했다. 74세. 고인은 글과 글씨

    중앙일보

    2020.05.19 18:55

  • 올 일중서예상 대상 받은 하석 “한 글자에도 마음 보인다”

    올 일중서예상 대상 받은 하석 “한 글자에도 마음 보인다”

    하석 박원규의 ‘不狂不及(불광불급)’. 미치지 않으면 미치지 못한다는 뜻이다. [사진 일중기념사업회]취묵헌(醉墨軒) 인영선(70)씨와 하석(何石) 박원규(69)씨는 한국 서예계가

    중앙일보

    2016.05.13 01:16

  • 반백년 기다렸다, 붓끝서 꽃이 필 날

    반백년 기다렸다, 붓끝서 꽃이 필 날

    ‘세월장면면(歲月藏面面)’ 앞에 선 인영선씨. 서예가로 오늘을 살게 한 부모로부터 스승과 벗, 지인들 이름을 방명록에서 집자 한 뒤 그들을 기억하는 글을 썼다.취묵헌(醉墨軒) 인영

    중앙일보

    2015.11.26 01:05

  • 지필묵 친구 삼아 한 평생 … 고희전 여는 최석화 선생

    지필묵 친구 삼아 한 평생 … 고희전 여는 최석화 선생

    고희를 앞두고 16일까지 열리는 ‘종심전’ 출품 작품 앞에 선 무곡 최석화. [사진 홍우기]서예가들이 두려워하면서도 피할 수 없는 전시회가 있다. 70세를 앞두고 여는 고희(古稀)

    중앙일보

    2015.06.12 01:05

  • 글·글씨 절묘한 어울림 … 취묵헌 인영선, 일중 서예대상

    글·글씨 절묘한 어울림 … 취묵헌 인영선, 일중 서예대상

    제4회 일중서예상 대상 수상자인 취묵헌 인영선(사진 위)씨와 대표작 ‘세월장면면(歲月藏面面)’. [사진 일중기념사업회]취묵헌 인영선(68)씨가 제4회 일중서예상 대상 수상자로 선정

    중앙일보

    2014.04.25 00:21

  • [문화in 문화人] 취묵헌 인영선

    [문화in 문화人] 취묵헌 인영선

    취묵헌 인영선 선생은 남들이 부러워하는 그의 인생을 만족하지 못하는 듯 하다. 다음 인생은 자유로운 ‘개팔자’로 살아보고 싶어하기도 한다. [조영회 기자]“췌장이 다 녹아서 요즘엔

    중앙일보

    2010.08.17 00:21

  • 입상자 명단

    ◇제3부 서예(사군자포함)=▲낙속곡선생시 (김사달) ▲향리도 (조룡선)▲벽계두고송하 (송하영) ▲유정대사시(유인직) ▲묵죽 (박행보) ▲독서유감(이규진) ◆사임당사친시 (정하건)

    중앙일보

    1977.04.2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