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청록파 22년만의 새시집 「청록집 이후」출판

    청록파 시인들이 22년만에 다시 새 시집을 내었다. 46년에 출간되었던 원래의 「청록집」과 그후에 쓴 시를 한데 묶어 「청록집 이후」상하권으로 하여 현암사에 의해 출판된 것이다.

    중앙일보

    1968.12.17 00:00

  • 『동천』에 영원담고|8년만에 시집내는 서정주씨

    향토적인데서 가장 대표되는 시인 미당서정주씨(동대교수)가 최근 다섯번째의 시집 「동천」을 냈다.「신라초」이후 8년만에 50편의 시를모아 엮은 그는 『귀신을 기를만큼 지긋하지는 못해

    중앙일보

    1968.12.14 00:00

  • 산촌해촌의 여성들|민속조사단 현지보고

    우리나라서 처음구성된 전국민속조사단은 금년도 전남지구를 택해 7월20일부터 도내의 산촌·어촌에서 표본조사를 베풀고 있다. 여기 의담당조사원으로 참가한 김희진씨는 구례 거문도강진에서

    중앙일보

    1968.08.08 00:00

  • 문화단신

    제18회「멕시코·올림픽」대회에 파견할우리나라민속예술단원 15일상오10시부터국립극장에서 있은최종「콘테스트」를 거쳐20명으로결정되었다. 명단은다음과같다. ▲이영희(25·경희대)▲김영숙

    중앙일보

    1968.06.20 00:00

  • 박희진 시미전

    시인 박희진씨의 시미전이 오는18일부터 22일까지 신문회관 화랑에서 열린다. 「두개의 손이」「잠자는 집시」듬 57편을 전시하는 이번 시미전은 박씨의 시집「실내악」과 「청동시대」 및

    중앙일보

    1968.05.16 00:00

  • (7) 영원한 메아리

    들이닥치는 외래사조에 떠밀리는 문단이 떠들썩할때 그와는 아랑곳없이 의연히 솟아오른 두거봉이있다. 한봉우리는 만해 한용운이요, 또 하나는 소월 김정식. 만해는 1879년 충남홍성에서

    중앙일보

    1968.03.05 00:00

  • (2) 원내간부

    공화당 의원만으로 문을 연 반조각 국회는 하루 놀고 하루 쉬는 휴면을 계속하고 있지만 원내 간부들에겐 휴식이 없다. 하루 24시간의 대부분을 이상 정국을 「정상」으로 되돌리기위한

    중앙일보

    1967.09.15 00:00

  • 회귀(2) - 조문진

    나는 강물이 흐르듯 술을 마시고 남산에 올라가 뿌옇게 흐린 눈으로 서울을 내려다 보았다. 슬픈 서울의 야경. 서울은 두고두고 슬픔의 거리로 가슴에 새겨질 것이었다. 내 옆엔 지숙이

    중앙일보

    1967.01.07 00:00

  • 새해 문화계를 내다본다|「앙케트」

    한국의 문화계는 차차 안정을 찾고 있다. 침체한 안정이 아닌 진지한 반성 속에서의 발전적인 안정이다. 문화인들은 한결같이 새해에 큰 기대를 품는다. 지난해는 그런 소지들이 더러 엿

    중앙일보

    1967.01.01 00:00

  • 수난2천년 민족의 대서사시|「노벨」문학상의 두 유태인 작가

    1891년 「베를린」에서 출생하여 지금은 「스톡홀름」에 살고있는 시인「넬리·자크스」는 20세기가 겪은 모든 불안과 공포를 절감하였고, 특히 「유대」인으로서 무자비한 학살속에서 죽

    중앙일보

    1966.10.22 00:00

  • (18)-이조중엽∼말엽 인물중심-유홍렬

    박제가는 양반의 아들 가운데에서 온갖 천대를 받던 서자로 태어났다. 글을 좋아하고 학자를 아끼던 정조의 사랑을 받고 벼슬자리를 얻는 한편 네 번이나 북경에 다녀와 「북학의」라는

    중앙일보

    1966.07.02 00:00

  • (4)서양역·용전법-잠곡 금육

    조국근대화의 여명기인물로서 네째로 들어야할 이는 명·위 교체기이던 인조 대에 세번이나 중국에 다녀오는 한편 그곳에서 본대로 우리나라에서도 서양력법· 용전법· 용거법 등을 쓰게 한

    중앙일보

    1966.03.26 00:00

  • 해방 20년…한국문학|「문협」조사 문인의 저서

    한국의 문단 인구는 지금 8백16명(65년 집계)을 헤아리고 있다. 그들은 모두 인간 가치의 발현을 위한 창작에 기여하는 사람들이다. 전후(2차 대전) 20년간에 문단인구는 실로

    중앙일보

    1966.03.08 00:00

  • 구도자의 기도와 같은…-「청동시대」의 박희진씨

    「청동시대」의 원고를 차곡차곡 다 묶어 두고도 박희진씨는 몇 해를 긍긍했다. 2백54페이지를 마무리 할 그 장시 한편이 도무지 써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지난해 여름 그는 화진포를

    중앙일보

    1965.10.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