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음식은 먹을 만큼만 덜어서 먹자|김용숙(숙대 문리대학장>

    남들이야 어찌 생각하든 우리의 자존심으로는 우리나라가 중진국 아닌 선진국대열에 끼어 있다고 믿고 싶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는 아직도 문화국민으로서 부끄러운 일들이 한두가지가 아니다

    중앙일보

    1986.03.06 00:00

  • 일본말 찌꺼기

    『자신의 언어를 아끼고 가꿀 줄 모르는 민족은 망합니다. 근 3백년 중국대륙을 지배해온 만주족이 나라도 없이 망한 것은 제 말을 잃고 한족에 동화돼버렸기 때문입니다. 오늘날 우리의

    중앙일보

    1982.09.11 00:00

  • 부모님의 영·일어 남용 귀에 거슬려|적절한 우리말로 고쳐 드려보셔요

    문=저희 아버지 어머니는 대학을 나온 인텔리들이십니다. 영어도 일본말도 다 곧잘 하십니다. 우리가 어릴 때 두 분이 아이들 몰래 비밀로 하실 말이 있으면 영어로 주고 받곤 하셨답니

    중앙일보

    1981.11.10 00:00

  • (128)구강 김종배(서울대 의대 예방치과교수)|풍치(2)

    충치는 참을 수 없는 통증을 일으키기 때문에 일단 병이 되면 무슨 수라도 손을 쓰게되지만 치주병(풍치)은 만성병이라는 데서 많은 사람의 관심권 밖에 있었다. 치주병은 이를 둘러싸고

    중앙일보

    1981.02.11 00:00

  • 나뭇개비로 코끼리·올빼미 등 만들어 수출

    이쑤시개보다 작은 나뭇개비를 이어 붙여 만든 「모자이크·애니멀」이 개발되어 새로운 수출 상품으로 등장. 봉제 완구를 수출하는 정동산업이 개발한 이 「모자이크·애니멀」은 잘게 썬 나

    중앙일보

    1980.12.20 00:00

  • 김대중 등 24명 공소장 전문

    죄명 가, 내란 음모 나, 내란 선동 다, 계엄법 위반 라, 계엄법 위반 교사 마, 국가보안법 위반 바, 반공법 위반 사, 외국환 관리법 위반 ※이름·나이 직업·죄명 순 ◇피고인등

    중앙일보

    1980.08.14 00:00

  • 미 새 이쑤시개 개발 잇몸강화, 이를 희게

    미국의 한 칫과의사는「아프리카」인들이 풀이나 나무의 뿌리로 이를 문질러 치아를 희고 반짝거리게 유지하는데 「힌트」를 얻어 신종 이쑤시개를 고안했는데 이 이쑤시개를 사용하면 잇새에

    중앙일보

    1978.05.29 00:00

  • (69)해 넣은 금니가 솟아오른다

    해 넣은 금니가 솟아오른다면 퍽 당황하게 된다. 처음에는 음식물이 끼고 잇몸이 붓는 정도로 증상이 시작된다. 흔히 몸이 피곤해 있을 때 이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물론 별로 아프지

    중앙일보

    1976.09.16 00:00

  • (240)이쑤시개 사용은 해로운가

    하루는 치주과에 큰 기업체를 운영하는 J회장이 동네 치과 의사의 소개로 오셨다. 사나흘 전부터 위 왼쪽 어금니 잇몸 주위가 붓기 시작하면서 아프고 이가 솟아오르듯 해서 음식을 씹기

    중앙일보

    1974.11.13 00:00

  • 유실수「황금포도나무」를 개발|유실수 과학 연구원장 박교수씨가 귀화 육종에 성공

    열매와 잎에서는 색소와 향료를, 씨에서는 식용유와 고급 사료를, 그리고 줄기에서는 목재 및「펄프」의 원료를 빼낼 수 있는 황금 포도나무의 귀화 육질 실험이 성공했다. 15년 동안

    중앙일보

    1974.10.24 00:00

  • 음식이름 우리말로 쓰자

    종로보건소는 14일 일식 등 식품접객업소에서 음식물을 비롯, 식기 등 명칭을 일본어 등 외국어로 부르는 예가 많다고 지적, 관내 1백30여개 일식·양식업소에 대해 「음식물 우리말로

    중앙일보

    1972.11.14 00:00

  • 9일부터 구강보건주간|건강은 건치에서

    타질병과는 달리 이(치)의 질병은 원상회복이 결코 불가능하다는데서 예부터 건치는 오복중의 하나로 여겨왔다. 9일부터는 구강보건주간. 구강보건일을 맞아 꼭 알아야 할 이(치)의 건강

    중앙일보

    1970.06.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