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시조가 있는 아침] (126) 다시 유월에

    [시조가 있는 아침] (126) 다시 유월에

    유자효 한국시인협회장 다시 유월에 한춘섭(1941~)   빗장 뼈 아픈 가시 들 찔레도 다시 피어 이토록 아름다운 산하를 지켰는데 기억은 고여야 하리 별빛 자락 여는 여기   소

    중앙일보

    2022.06.02 01:06

  • [시조가 있는 아침] (98) 보냈던 가을편지

    [시조가 있는 아침] (98) 보냈던 가을편지

    유자효 시인 보냈던 가을편지 김준(1938~ )   혼자서 사모하고 사랑하는 사람에게   아파트 값이 뛰어 이리저리 옮기느라   보냈던 가을편지가 전해질까 걱정이다.   - 시조

    중앙일보

    2021.11.18 00:18

  • [시조가 있는 아침] (42) 섬·2

    [시조가 있는 아침] (42) 섬·2

    유자효 시인 섬·2 진복희 (1947∼) 그대는 모르오리 한 바다 품은 죄를   떠도는 그 바다에 무릎 꿇고 앉은 형벌   모르리 물보라를 끓이고서도 다시 서는 불기둥   - 우

    중앙일보

    2020.10.22 00:07

  • [시조가 있는 아침] (22) 여일(餘日)

    [시조가 있는 아침] (22) 여일(餘日)

    유자효 시인 여일(餘日) 김제현(1939- ) 그리하여 모든 것은 지나가고 남은 자리. 잔잔한 감동이 수묵 속에 번지고 한 소절 비가 내렸다. 눈부신 목련의 오후. - 한국시조큰

    중앙일보

    2020.05.28 00:09

  • [시조가 있는 아침] ⑭ 갈매기

    [시조가 있는 아침] ⑭ 갈매기

    유자효 시인 갈매기 -이태극 (1913-2003) 햇빛은 다사론데 물결 어이 미쳐 뛰나 뜨락 잠기락하여 바람마저 휘젓다가 푸른 선 아스라 넘어 날라 날라 가고나 온 국민이 코로나

    중앙일보

    2020.04.02 00:07

  • [시조가 있는 아침] ⑫ 탑·3

    [시조가 있는 아침] ⑫ 탑·3

    유자효 시인 탑·3 -이영도(1916-1976)   너는 저만치 가고 나는 여기 섰는데······ 손 한번 흔들지 못한 채 돌아선 하늘과 땅 애모(愛慕)는 사리로 맺혀 푸른 돌로

    중앙일보

    2020.03.19 00:11

  • [굿모닝 내셔널] 조정래 울린 가족문학관 … “잊혀진 아버지 문학 재조명 기뻐”

    [굿모닝 내셔널] 조정래 울린 가족문학관 … “잊혀진 아버지 문학 재조명 기뻐”

    “세월이 흐르면서 아버지의 문학이 잊혀가는 게 너무도 안타까웠습니다. 아버지의 고향에 영원한 ‘문학의 집’을 지어주신 고흥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지난달 30일 전남 고흥군 두

    중앙일보

    2017.12.15 02:15

  • [굿모닝 내셔널]작가 조정래 '가족문학관'엔 부친·부인 한자리

    [굿모닝 내셔널]작가 조정래 '가족문학관'엔 부친·부인 한자리

    조정래 작가가 가족문학관 내 ‘소설가 조정래 문학실’ 입구에서 문학관을 열게 된 소회와 향후 작품 구상계획 등을 밝히고 있다. 프리랜서 장정필 “세월이 흐르면서 아버지의 문학이

    중앙일보

    2017.12.13 00:01

  • [중앙 시조 백일장] 9월 수상작

    [중앙 시조 백일장] 9월 수상작

     ━      겨울 예감 -최승관   진눈깨비 흩뿌리는 빈 들녘에 홀로 섰다 때 늦은 철새무리 날갯짓 망설이다 살얼음 강가에 내려 무딘 부리 닦는 새벽   못 박힌 부스러기 동강

    중앙일보

    2017.09.26 01:00

  • 9월 시조백일장

    9월 시조백일장

    중앙시조백일장 9월 수상작         겨울 예감    최승관    진눈깨비 흩뿌리는 빈 들녘에 홀로 섰다  때 늦은 철새무리 날갯짓 망설이다  살얼음 강가에 내려 무딘 부리

    중앙일보

    2017.09.25 11:44

  • 서해 맛여행, 강원도 문학여행

    서해 맛여행, 강원도 문학여행

    16일부터 홍성군 서부면 남당항 일원에서는 ‘남당항 대하축제’가 열린다. 이번 주말 충남 서해안에서는 가을철의 별미 전어·대하 축제가, 강원도에서는 가족과 함께 볼만한 문화제가

    중앙일보

    2011.09.16 01:55

  • Special Knowledge (277) 볼거리·즐길거리 많은 전국 문학관 지도

    Special Knowledge (277) 볼거리·즐길거리 많은 전국 문학관 지도

    이달 초 미당(未堂) 서정주(1915∼2000) 시인이 30년 넘게 살았던 서울 남현동 자택이 새 단장을 마치고 일반에 공개됐다. 그가 생전 즐겨 마셨다는 무알코올 맥주맛 음료

    중앙일보

    2011.04.21 00:28

  • 화천서 리태극 문학정신 기리는 문학축제

    시조 문학의 선구자인 월하(月河) 리태극(李泰極)의 문학정신을 기리는 문학축제가 고향인 화천에서 처음 열린다. 화천군은 한국문인협회·한국시조시인협회·시조문학·화천문화원 주관으로 1

    중앙일보

    2010.07.07 01:10

  • 화천에 시조시인 이태극문학관

    화천에 시조시인 이태극문학관

    화천군 화천읍 동촌리에 세워진 월하문학관. 6월 정식 개장에 앞서 일반에 공개됐다. [화천군 제공]시조문학의 대가 월하 이태극문학관이 화천군에 세워져 공개됐다. 화천군이 이태극 선

    중앙일보

    2010.03.23 02:23

  • [삶과 추억] 현대시조 이론 정립 공헌

    시조시인 월하(月河) 이태극(李泰極) 선생이 24일 오후 2시50분 경기도 분당 보바스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90세. 고인은 1999년 뇌경색으로 쓰러져 한달간 입원 후 퇴원

    중앙일보

    2003.04.25 09:00

  • [시가 있는 아침] 이태극 '난초가 벙그런 날' 중

    너를 얻어 반년이나 맘조여 지키었다 빳빳한 잎새들은 그늘을 좋아했고 모래에 뿌리한 너는 기다림의 나날이었다 창열고 바라본 난 장승으로 눈 부볐다 그 잎새들 사이로 꽃대궁 꽃대궁이

    중앙일보

    2000.02.12 00:00

  • 월하 이태극 시조문학상 제정-작품.학술상 2개부문

    원로 시조시인 월하(月河)이태극(李泰極.83)씨의 문학적 업적을 기리기 위한 월하 시조문학상이 제정된다.시조시인및 李씨의후학들은 지난달 20일 모임을 갖고 제정위원회를 구성,시조문

    중앙일보

    1996.10.06 00:00

  • (1)

    7, 8월 두달 동안 원로·중진 시조 시인들이 발표하는 납량 시조를 매주 1회씩 8회에 걸쳐 연재한다. 시인과 화가가 여름의 자연과 풍물을 찾아가 무더위를 식혀주고 우리 고유의 정

    중앙일보

    1989.07.07 00:00

  • 박병순 7번째 시조집

    구름재 박병순씨(70·한양대문과대학교수)가 일곱번째 시조집『진달래·낙조처럼』을 냈다. 이 시조집은 「청매」·「다시 낙조처럼」·「영릉」·「진달래」·「천명을 하늘에 걸고」 등 5부로

    중앙일보

    1986.07.31 00:00

  • 「중앙시조대상」 영광의 두얼굴|"박제같은 인간은 없는지 생각했어요"

    『공자님도 70세가 되면 하고자 하는일을 마음대로해도 법을 뛰어넘지 않는다(칠십이종심소욕 불유구)고 했는데 시조만은 그렇지 못한것 같아요. 시조짓기 40년이 지났는데도 묘리를 터득

    중앙일보

    1985.12.14 00:00

  • 시조보급으로 외솔상받는 이태극박사

    『별로 한 일도없는데 내게 큰상을 주는걸보니 이건 죽을때까지 시조운동을 펴라는 채찍인 것 같습니다』-. 오는 23일(하오4시)YMCA강당에서 12회 외솔상(문학부문·상금1백만원)을

    중앙일보

    1983.03.19 00:00

  • 고희 기념문집 봉정식

    월하 이태극 박사(사진) 고희기념문집 봉정식이 13일 하오5시 서울 센트럴호텔 9층 연회실에서 열린다. 이씨는 우리 시조 계의 원로로 시조의 쇠퇴기에 시조문학부흥을 위해 「시조문

    중앙일보

    1982.11.13 00:00

  • (3)|씨얼 문학회|경향은 다르나 전통적 서정 추구

    「씨얼 문학회」는 서울을 중심으로 한 시조 동인으로 「크낙새」와 쌍벽을 이루어왔다. 지난 77년 김광수·김효경·신현필·원용문·윤선효·이청화 등 6명이 모여 창립된 「씨얼 문학회」는

    중앙일보

    1981.07.0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