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한반도의 흥과 멋(2) - 인간문화재를 찾아서

    「봉산탈춤」의 양소운씨 하도 장고가 치고 싶어서 어머니의 아끼는 농짝 하나를 부숴 놓고서야 부모님한테 가무수업의 승낙을 얻어냈다. 그것이 불과 10세 소녀의 꿈이고 그때 이미 타고

    중앙일보

    1988.03.29 00:00

  • 제2부(7)|동국대 일본 중국-사국 지방 학술기행 장한기

    오사카 공항에서 작은 프로펠라 비행기로 도쿠시마(덕도)에 내린 것은 지난해8월 24일, 해질 무렵이었다. 공항에는 이곳 민속예능학자이며 무용평론가인「히노키」(회영사)씨가 차를 갖고

    중앙일보

    1988.01.19 00:00

  • 미술교육 간섭 금물

    미술이 상타기나 점수 따기와 상관없이 즐겁고 창조적인 자기표현활동일수는 없을까. 어린이들이 매주 일요일 한데 어울려 들로 산으로 야외 스케치하러 다니고 야외 조각전시장·도요지·미술

    중앙일보

    1987.03.17 00:00

  • 제2부(4) 하원에서 발해까지…동양사 5천년의 베일을 벗긴다

    감숙성 임하회족 자치주 화정현 남쪽27㎞의 깊은 산중에 있는 송명암에서 1년마다 대화아라 불리는 소수민족의 노래잔치가 벌어진다. 화아란 청해 감숙을 비롯해 황하상류 유역 각지에 사

    중앙일보

    1986.10.09 00:00

  • 대황하제2부

    명승지 「일선천」 황하상류의 알려지지 않은 땅의 백성, 많은 수수께끼에 싸인 민족이 있다. 사라 (살납) 족. 인구 약6만9천의 소수민족이다. 전체의 70%가 청해성 순화사라족 자

    중앙일보

    1986.09.11 00:00

  • 「버릇 있는 어린이」의 날

    해마다 어린이날을 맞을 때마다 그 제정의 뜻을 생각한다. 소파 방정환을 비롯한 소년운동가들이 1923년 처음 이날을 제정했을 때 내세운 것은 어린이 존중의 사상이었다. 어린이를 미

    중앙일보

    1984.05.05 00:00

  • 국비유학생 시험소동 계기로 본「해외유학」|「무작정 출국」60%가 현지방황

    「해외유학」-. 옛날엔 듣기만해도 젊은이들의 가슴을 설레게 하던 동경의 대상. 2년전 정부의 해외유학자유화 조치가 취해진 이후부터는 웬만큼 경제적 여유가 있는 젊은이들은 고교생·대

    중앙일보

    1983.03.14 00:00

  • (끝)|전전-전후 세대가 보는 한일 양국의 상호견해는…

    내가 아직 어릴 무렵 일본은 대동아건설을 외치며 이른바 대동아 전쟁을 시작했다. 처음 그들은 승전을 거듭했다. 「싱가포르」함락 때 어린 나는 일장기를 흔들며 깃발대열에 끼어 촌가를

    중앙일보

    1980.08.18 00:00

  • 지정 무형문화재 19가지 선보여

    지정중요무형문화재 무대종목 19가지를 한자리에서 볼 수 있게 됐다. 문공부는 지난 여름 덕수궁 뒤뜰에서 가졌던 마당놀이(16종목)공연에 이어 제10회 공연으로 15일부터 1주일간

    중앙일보

    1979.10.13 00:00

  • 엄모자부의 시대|손인수

    얼마전까지만 해도 우리네 가정에는 세대에서 세대로 전승되는 가족적인 전통이 있었다. 아버지는 엄하고 어머니는 인자하고 자녀는 효도하고 형은 우애하고 아우는 공경하라는 등의 윤리가

    중앙일보

    1979.02.02 00:00

  • 동양의 「라틴」인

    『한국인의 일본관』, 『일본인의 한국관』이라는 주제로 최근 서울에서 한 「세미나」가 있었다. 두 나라의 학자와 평론가가 피차의 견해를 밝혔다. 한 가지 흥미 있는 사실은 그 어느

    중앙일보

    1976.05.31 00:00

  • 재창조 아쉬운 「매듭」공예|인간문화재로 지정된 두여성

    문화재관리국은 9개종목 중요무형문화재의 예능및 기능보유자 13명을 보충 지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새로 인간문화재로 지정될 사람은 ▲종묘제례악(중요무형문화재 1호)의 이석재(서울)

    중앙일보

    1976.02.27 00:00

  • 새시대의 효|성균관 주최 「생활 윤리 좌담회」|9월27일 본사 회의실서

    성균관은 지난 27일 중앙일보 회의실에서 전통 윤리를 현대에 되살리기 위한 「생활 윤리 좌담회」를 가졌다. 공자 탄강 2524년을 기념해 가진 추기석전에서 성균관이 발표한 『윤리

    중앙일보

    1973.10.03 00:00

  • (4)인형극 대잡이 박용태씨|

    전국의 방방곡곡을 떠돌아다니는 예인집단이 있었다. 일정한 집도, 혈연도 없는 사람들끼리 모여 이 마을 저 마을로 옮겨다니며 놀이를 한마당 벌이는게 생활의 전부요, 일생인 집단이 있

    중앙일보

    1973.03.28 00:00

  • ③ 제자 김응현|대령수 김영동씨

    젓 대 소리에 온갖 잡귀가 뛰논다는 옛 이야기가 있다. 은은하고 구성진 흥취의 깊이를 이르는 말이다. 취흥이 감돌수록 더 간장 녹이는 가락이 난다고 한다. 불다보면 자기 흥에 도취

    중앙일보

    1973.02.16 00:00

  • (1)|풍류장 김종영씨

    우리의 전통문화는 이미 단절돼 그 기능을 알 수 없는 것이 허다하며 지금까지 명맥이 계승돼오는 것조차도 내일에의 전승이 막막한 현실이다. 현존 기능 자나 예능 자는 대개 고령의 노

    중앙일보

    1973.01.22 00:00

  • 쇄신 서두는 무형문화재 전수 교육

    우리 나라 고유의 민간 예술을 올바르게 계승하기 위하여 정부는 금년에 1억원의 예산을 책정했다고 문화재 관리국은 이미 지정된 인간 문화재의 보호비로 4천6백70만원, 그 기능과 예

    중앙일보

    1972.02.05 00:00

  • 박사다과론|그 배경과 정책을 검토해 본다

    문교부는 9일 박사학위의 범람을 막기 위해 68년부터 대학원 박사학위과정을 거치지 않는 학위수여는 없애겠다고 밝혔다. 52년부터 14년간 국내의 박사과정을 구비하고있는 18개 대학

    중앙일보

    1967.02.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