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농어촌 의보 84년 전면 실시|간호원에게 진료맡겨

    보사부는 15일 80년대 복지국가전실을 위한 보사행정장기계획을 발표했다. 보사부의 장기계획안은 농어촌 의료공급을 위한 의료전달체계확립, 농어촌 의료보험확대, 사회복지 관계법령 체점

    중앙일보

    1980.10.16 00:00

  • 무관심과 냉대

    전국에 산재해 있는 19개 정신박약아동 수용· 교육시설은「콩나물시루」처럼 초만원인 데다 이들을 돌봐 줄 정신과 전문의사를 배치한 시실은 2개소밖에 없는등 운영부실로 많은 어린이들

    중앙일보

    1979.08.25 00:00

  • 탁아소등 크게 부족 있는 것은 시설 허술|아동회관 고작 15곳 예산적어 증설 못해|어린이들을 위한 시설이 모자란다

    자라나는 새싹물을 위한 각종 아동복리시설이 빈약하다. 내년에 맞는「세계아동의 해」. 앞두고 나라마다 어린이복지증진을 위한 갖가지 대책을 서두르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아동회관·탁아소·

    중앙일보

    1978.12.01 00:00

  • 의료외면…아동복지시설

    영아및 육아원등 전국 4백25개 아동복리시설에 의사나 유자격 간호원이 고정배치되어 있지 않다. 특히 5세미만의 어린이들을 수용하는 37개 영아원은 아동복리시설 설치기준령에 따라 의

    중앙일보

    1976.07.08 00:00

  • 버림받는 정신박약아|보호·교육시설 없어

    전국의 정신박약 아동이 해마다 10만 명선(중앙교육위 집계)에 이르고 있음에도 이들을 보호 치료할 아무런 수용시설과 특수교육시설이 없어 갈수록 버림을 받고있다. 정신박약아는 전 학

    중앙일보

    1967.12.22 00:00

  • 기독교아동복리회는 가정이 불우한 학령아동들에게 매달6「달러」씩(1천7백여원)을 보조해왔으며 현재 전국의 어린이 8천명이 혜택을 받고 있다. 이 단체는 우리나라에 주재하고 있는 구

    중앙일보

    1967.11.1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