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고대 의대, 2024년도 수시모집 결과 분석 발표

    고대 의대, 2024년도 수시모집 결과 분석 발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전경 고려대학교(총장 김동원) 의과대학은 최근 치러진 2024학년도 수시모집(고른기회전형 제외)에서 인성과 실력을 겸비한 최고의 인재를 선발했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2024.01.26 14:30

  • [건강한 가족] 시대 변화 맞춰 교육과정 혁신, 창의 융합형 미래 의학 인재 키운다

    [건강한 가족] 시대 변화 맞춰 교육과정 혁신, 창의 융합형 미래 의학 인재 키운다

    의대 탐방 고려대 의과대학  고려대 의과대학은 흰 가운 속에 담긴 ‘의사 정신’을 되새기는 화이트코트 세리머니를 매해 개최하고 있다. 시대가 변화하면서 사회가 요구하는 의사상(像

    중앙일보

    2023.02.20 00:04

  • ‘한탄 바이러스’ 발견한 韓대표 의학자...노벨상 후보 물망 [이호왕 1928~2022.7.5]

    ‘한탄 바이러스’ 발견한 韓대표 의학자...노벨상 후보 물망 [이호왕 1928~2022.7.5]

    고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 연합뉴스   유행성 출혈열의 원인균 '한탄 바이러스'를 발견한 우리나라 대표 의학자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가 5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4세.

    중앙일보

    2022.12.06 18:31

  • '한탄바이러스 발견'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 별세…향년 94세

    '한탄바이러스 발견'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 별세…향년 94세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가 5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4세. 연합뉴스   유행성 출혈열의 원인균 '한탄 바이러스'를 발견한 우리나라 대표 의학자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가 5일

    중앙일보

    2022.07.05 16:52

  • 육군 일병, 제초 작업 후 사망…“한타 바이러스 감염 추정”

    육군 일병, 제초 작업 후 사망…“한타 바이러스 감염 추정”

    강원도 철원의 육군 병사가 제초 작업 후 고열 증세를 보이다 사망했다. 군 당국은 해당 병사가 한타 바이러스 감염증인 신증후성출혈열(HFRS)에 걸렸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중앙일보

    2020.08.25 22:08

  • 가을철 전염병 -유행성출혈열

    유행성출혈열(신증후출혈열)은 Bunyaviridae과에 속하는 Hantaan Virus, Seoul Virus등에 의한 급성열성감염증으로 발열, 출혈, 신장병변이 특징이다. 늦가을

    중앙일보

    2000.11.15 17:27

  • 유행성출혈열백신인 ´한타박스´ 효능 논란

    한탄바이러스의 분리로 세계 최초로 국내에서 개발된 유행성출혈열(신증후출혈열) 백신인 `한타박스´의 효능을 둘러싼 학계의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한타박스 효능에 대

    중앙일보

    2000.03.10 09:52

  • [기업공시] 금호산업 外

    ▶금호산업〓11월 5일을 기준일로 주당 0.25331의 비율로 유상증자를 실시. ▶보령제약〓면역블릿을 이용한 신증후출혈열의 진단방법 등에 대한 특허를 취득.

    중앙일보

    1999.10.21 00:00

  • [기업공시] 금호산업 外

    ▶금호산업〓11월 5일을 기준일로 주당 0.25331의 비율로 유상증자를 실시. ▶보령제약〓면역블릿을 이용한 신증후출혈열의 진단방법 등에 대한 특허를 취득.

    중앙일보

    1999.10.20 18:32

  • 가을철전염병① 유행성출혈열

    유행성출혈열(신증후출혈열)은 Bunyaviridae과에 속하는 Hantaan Virus, Seoul Virus등에 의한 급성열성감염증으로 발열, 출혈, 신장병변이 특징이다. 늦가을

    중앙일보

    1999.09.10 13:34

  • 중앙병원, 유행성 출혈열 혼합백신 러시아에 수출키로

    러시아 시장을 겨냥한 예방백신이 국내기술로 개발됐다.서울중앙병원 아산생명과학연구소 (소장 李鎬汪) 는 9일 러시아와 만주 일대에서 빈발하는 신증후출혈열 (腎症候出血熱) 의 예방백신

    중앙일보

    1998.04.10 00:00

  • 怪疾의 시대

    불과 얼마전 인도의 페스트 유행으로 떨던 기억이 채 가시기도전에 이번에는 아프리카 자이르에서 에볼라란 무서운 괴질이 퍼지고 있다는 소식에 모두들 촉각이 곤두서고 있다. 지난 수십년

    중앙일보

    1995.05.25 00:00

  • 유행성출혈열 바이러스 발견 이호왕 교수

    인류문명사에 거대한 족적을 남긴 한국인은 그리 많지 않다.그동안 좁은 땅덩어리안에 잘난 사람도 꽤 많았다지만 세계인이 함께 알아주는 이는 특히 드물다. 李鎬汪박사(64). 정년퇴임

    중앙일보

    1993.11.26 00:00

  • 유행성출혈열 백신 첫 개발

    ◎순수 국내기술로 10년만에 상품화 개가/항체 양성률 97%… 미ㆍ일등에 특허 출원/녹십자­고대 이호왕교수팀 2종 전염병인 유행성 출혈열(학명 신증후출혈열) 예방백신이 세계 최초로

    중앙일보

    1990.09.21 00:00

  • 제2회「한국과학상」연구장려상 수상자 업적-생명과학 이호주

    신 증후 출혈열 병원체(한탄 바이러스 및 서울 바이러스)를 세계 최초로 발견하고 예방백신을 개발한 업적으로 수상한 이 교수는 한때 노벨상 수상자 후보로도 거론된 세계적인 바이러스학

    중앙일보

    1989.12.27 00:00

  • 유행성출혈열 백신 예방효과 크다

    고려대의대와 ㈜녹십자공동연구팀이 지난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유행성출혈열 예방백신이 평균 98%의 항체 생성률을 기록, 높은 예방접종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계

    중앙일보

    1989.05.08 00:00

  • 최근 수년새 렙토스피라뵹등 급성열성질환 급|고대 바이러스병연구소 조사

    국내에서는 최근 수년새에 매년약7백명의 신증후출혈열환자가 발생하는 것을 비롯, 렙토스피라증·쓰쓰가무시병등 급성열성질환들이 유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의대 바이러스병연구소

    중앙일보

    1988.07.18 00:00

  • 유행성 출혈열 백신일본 연구팀이 개발

    【동경=연합】들쥐 등의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어 고열·권태·근육통의 증세가 계속돼 심할 경우 신부전과 쇼크 등으로 사망하는 신증후성출혈열 (한국의 유행성 출혈열)의 백신을 오사카 미

    중앙일보

    1987.10.27 00:00

  • 신증후출혈열 원인균|국내서 분리 성공

    현재까지 신증후출혈열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한탄바이러스와는 항원성질이 다른 제5의 신증후출혈열바이러스가 최초로 분리됐다. 고려대의대 이호왕교수(미생물학교실)팀은 이 바이러스가 주로

    중앙일보

    1985.12.1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