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죽음 앞둔 어느 CEO의 아름다운 유언장

    죽음 앞둔 어느 CEO의 아름다운 유언장

    사랑하는 처와 자식들에게…나는 내 평생을 행복하게 살았다고 생각한다. 하고 싶은 일도 하였고 물질적으로도 그만하면 모자람없이 지낼만 했다. 아이들도 건강하게 잘 키웠고 교육도 잘

    중앙일보

    2006.09.03 12:20

  • "30년 동안 48명 살해했다"

    미국 FBI와 CIA 요원이었던 찰리 헤스는 자신이 살인범들을 추적하며 노후를 보내리라고 예상하지 못했다. 범죄와의 전쟁 일선에서 은퇴한 뒤 그는 멕시코 바하 반도의 초가지붕 가옥

    중앙일보

    2006.08.28 16:18

  • [me] 미국 TV 수사드라마 인기폭발 비결은 ?

    [me] 미국 TV 수사드라마 인기폭발 비결은 ?

    미국의 한 바닷가에 시신이 한 구 떠올랐다. 심하게 부패돼 신원도, 사망 원인도 알 수 없는 상황. 어떻게 할 것인가. 이때 현장에 나타난 한 무리의 낯익은 전문가들. 현장을 이

    중앙일보

    2006.08.09 20:17

  • [BOOK깊이읽기] 홀로 시대를 떠받친 양심의 외침

    [BOOK깊이읽기] 홀로 시대를 떠받친 양심의 외침

    위대한 양심 지그프리트 피셔 파비안 지음 김수은 옮김, 열대림, 432쪽, 18000원 양심(良心)보다 양심(兩心)이 판치는 시대, 양심(養心)을 위한 책이다. 책의 부제는 '세계

    중앙일보

    2006.07.21 20:36

  • '촐싹대던' 부시는 어디로 갔지?

    부시 대통령은 이라크에서 뭔가 큰일이 일어난 줄은 알았다. 하지만 그것이 좋은 일인지 나쁜 일인지는 몰랐다. 지난 수요일 오후 최근 바그다드를 다녀온 의원들을 불러 백악관에서 회의

    중앙일보

    2006.07.01 10:39

  • 서울시 전 주택국장 검찰 출두 앞두고 한강서 투신 자살

    서울 양재동 현대자동차 사옥 증축 인허가와 관련해 검찰 수사를 받아온 서울시 전 주택국장 박석안(60)씨가 팔당호에 빠져 숨진 채 발견됐다. 15일 오전 10시쯤 경기도 광주시

    중앙일보

    2006.05.16 04:46

  • 고구려 유물 확실 … 중국은 역사 왜곡 말라

    중국 지린(吉林)성 바이산(白山)시 일대에서 고구려 고분 2360기가 무더기로 발견됐다. 중국 신화통신의 보도다. 통신은 또 중국 한(漢)대 고성(古城)도 발견됐다고 전했다. 이번

    중앙일보

    2006.05.14 20:36

  • 고구려 유물 확실 … 중국 역사 왜곡 경계를

    2004년 장백산문화연구회와 지안시박물관에서 조사한 량민 1호분.중국 지린(吉林)성 바이산(白山)시 일대에서 고구려 고분 2360기가 무더기로 발견됐다. 중국 신화통신의 보도다.

    중앙일보

    2006.05.12 22:25

  • [World@now] 이라크 전쟁 3년 … 지금 바그다드에선

    [World@now] 이라크 전쟁 3년 … 지금 바그다드에선

    전쟁도, 정전도 아이들의 꿈만은 빼앗지 못했다. 이달 초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한 소년이 기름 램프를 켜놓고 공부하고 있다. 이라크는 아직도 극심한 전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바그다

    중앙일보

    2006.03.18 05:05

  • [분수대] 수용소

    [분수대] 수용소

    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1896~1968년) 원수는 소련의 제2차 세계대전 영웅이다. 모스크바 방위전에서 활약했으며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30만 명 가까운 독일군을 포위, 섬멸하는

    중앙일보

    2006.02.23 20:43

  • [시론] 북한 인권 더 이상 외면말자

    최근 우리 사회 내부에서 가장 심각하게 논의되는 것이 북한 인권 문제다. 이를 놓고 '북한 인권' 진영과 '남북 평화' 진영이 끝없이 대결해 왔다. 이제는 우리 사회가 결론 내릴

    중앙일보

    2005.12.28 22:28

  • [새로 나온 책] 한국의 미를 다시 읽는다 外

    [새로 나온 책] 한국의 미를 다시 읽는다 外

    인문.사회 ▶한국의 미를 다시 읽는다(권영필 외 지음, 돌베개, 332쪽, 2만원)=12인의 전문가들을 통해본 한국미론 100년. 지난 1세기간의 연구 성과와 한계를 총체적으로 재

    중앙일보

    2005.10.14 20:58

  • 장기수 시신 사상 첫 북송

    간첩으로 남파됐다 체포돼 31년간 복역한 장기수 출신 정순택씨의 시신이 2일 오후 북한에 넘겨졌다. 지난달 30일 췌장암으로 숨진 정씨의 시신은 서울 대방동 보라매병원을 떠나 판문

    중앙일보

    2005.10.03 04:34

  • 김재규 지시로 파리근교서 김형욱 권총살해

    김형욱 프로필김재규 프로필 1979년 10월 실종된 김형욱 전 중앙정보부장은 김재규 당시 중정부장의 지시로 프랑스에 있던 중정 거점요원들과 이들이 고용한 제3국인에 의해 납치.살

    중앙일보

    2005.05.26 10:16

  • 우즈베키스탄 반정부 시위… 유혈 진압

    우즈베키스탄 반정부 시위… 유혈 진압

    ▶ 우즈베키스탄 정부군은 13일 안디잔 시내에서 수천 명의 반정부 시위대에 발포해 대규모 소요사태를 강제 진압했다. [안디잔 AP=연합] 우즈베키스탄 안디잔의 5월 하늘이 핏빛으로

    중앙일보

    2005.05.16 04:48

  • [월간중앙 3월호] 체 게바라의 길을 가다 (상)

    [월간중앙 3월호] 체 게바라의 길을 가다 (상)

    ▶ 체 게바라가 잡혀 학교에 갇혔을 때 앉았던 의자.사회주의가 퇴락세를 보이는 현실에서 체 게바라 열풍이 지니는 의미는 무엇인가? 21세기 글로벌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체 게바라는

    중앙일보

    2005.02.20 15:01

  • 국정원 과거사 조사대상 7대사건이란?

    ◇김대중 납치사건= 1973년 8월 8일 일본 도쿄(東京)에서 한국 야당지도자 김대중이 납치된 사건. 1972년 신병치료차 일본에 체류중이던 김대중은 유신체제가 선포되자 귀국을 포

    중앙일보

    2005.02.03 11:17

  • [남아시아 대재앙] "한국의사 여기까지 와줘 고마워요"

    [남아시아 대재앙] "한국의사 여기까지 와줘 고마워요"

    "선생님, 이 환자는 가슴이 답답하고 설사를 한답니다." 3일 오전(현지시간) 스리랑카 골 인근 마타라 지역의 이재민 캠프. 스리랑카 현지인 남녀 2명이 어색한 발음으로 한국의

    중앙일보

    2005.01.03 18:20

  • [남아시아 대재앙] 김홍국씨 가족 생환기

    지난해 12월 31일 서울 강남구 일원동 삼성서울병원에 입원 중인 김홍국(48.회사원)씨는 태국 피피섬에서 당한 해일의 악몽에 아직도 떨고 있었다. 부인, 두 딸과 함께 22일 피

    중앙일보

    2004.12.31 17:10

  • [내 생각은…] 의문사위 때리기 이제 그만두라

    의문사위원회가 강제전향 공작에 저항하다가 숨진 비전향 장기수를 의문사로 인정한 것을 놓고 벌어진 논란은 3주가 지났지만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이 논란에서 일부 언론은 선두에 서 있

    중앙일보

    2004.07.21 19:04

  • "영국군에 사살된 이라크인 시신에 훼손 흔적"

    이라크 주둔 영국군들이 지난달 14일 남부 알마자르 알카비르 지역에서 사살한 22명의 현지인 가운데 7명에게서 신체부위 절단이나 고문 흔적이 발견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이 지역

    중앙일보

    2004.06.21 17:36

  • 백화점 리모델링공사 철골 구조물 붕괴

    백화점 리모델링공사 철골 구조물 붕괴

    백화점 구조물속 사체 1구 발견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중동신도시 LG백화점 외벽 타일 보수공사중 무너져 내린 철골 구조물 더미 속에서 20일 새벽 1시 50분께 인부로 추정되는 남

    중앙일보

    2004.04.20 01:04

  • 유관순 열사의 유일한 슬픔...

    유관순 열사의 유일한 슬픔...

    내 손톱이 빠져 나가고, 내 귀와 코가 잘리고, 내 손과 다리가 부러져도 그 고통은 이길 수 있사오나, 나라를 잃어버린 그 고통만은 견딜 수가 없습니다. ... 나라에 바칠 목숨이

    중앙일보

    2004.02.29 17:19

  • "유관순, 출감 이틀 남겨두고 순국"

    유관순(柳寬順.1902~20)열사는 석방일을 불과 며칠 앞두고 수감 중이던 감방에서 안타깝게 순국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사실은 독립기념관 부설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이정은(5

    중앙일보

    2004.02.27 1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