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방송 영화

    ○…일요일 심야에서 매주 화요일 하오7시25분으로 방영시간을 옮긴 TBC-TV의 국악「프로」『TBC향연』이번 주(부산 국20일)는 명창 김소희씨의 판소리 『춘향가』중에서 한대목이

    중앙일보

    1976.04.13 00:00

  • 현대의 효|가정이란 무엇인가

    사회의 변천과 함께 「효」는 새로운 「모럴」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가정은 한 사회의 단위로서뿐 아니라 인간생활의 기본적인 터전인 점에서도 큰 의미를 갖는다. 오늘의 시대가 지향

    중앙일보

    1975.10.20 00:00

  • 조부·모는 어린 손자의 양육비를 대줘야 한다

    【문】 결혼한지 불과 몇 해 만에 남편이 죽고 남매를 데리고 시댁에서 살다 요즘은 따로 집을 마련해 남매와 살고 있는 한 어머니입니다. 아이들의 교육비와 생활비가 많이 들어 경제적

    중앙일보

    1975.04.30 00:00

  • 육체적 고통에서 정신적 고통으로-시집살이|『부계 가족의 고부 관계』 이광규 교수 발표

    고부 관계의 어려움은 우리 나라뿐 아니라 중국·일본 등 「아시아」 여러 나라의 가족 관계에 있어서 고질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이 관계는 사회적인 관계인 동시에 심리적인 관계이므로

    중앙일보

    1974.12.02 00:00

  • "대 잇기" 여인의 유괴극

    대구 독자 연쇄 유괴사건은 아기를 갖지 못하는 죄책감에 애태워오면서 끝내 아내의 자리를 지키고 싶었던 초조한 여심이 빚은 조작극으로 끝났다. 지난 1일 서울마포경찰서에 자수한 정순

    중앙일보

    1973.12.03 00:00

  • 뜨개질

    가을이 접어들자 깊숙이 간수하였던 뜨개질바늘을 꺼내, 처녀 때 익혀두었던 미숙한 솜씨로 곧 태어날 아기의 옷이랑 버선 「케이프」등과 더불어 시댁에 보내드리려고 몇 가지 소품을 짰다

    중앙일보

    1972.12.11 00:00

  • (1)창평 생강 엿

    우리네 고유의「멋과 맛」이 사라져 간다. 조상 대대로 이어온 뛰어나 솜씨와 슬기로움도 문화의 거센 물결과 생활양식의 변천에 따라 차츰 우리네 생활주변에서 사라져간다. 전래의「멋과

    중앙일보

    1972.11.27 00:00

  • 중앙일보사 20만원고료 「새마을 수기」당선작

    우리 마을은 이름이 밤나뭇골 입니다. 밤나무가 많다는 연유로 해서 그렇게 예로부터 불러오는가 봅니다. 이러한 우리 밤나뭇골을 외처 사람들은 「동화의 마을」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정

    중앙일보

    1972.11.20 00:00

  • (5)표준사업별로 그 현장을 가다|공동 우물

    『이 우물덕택에 아무리 가물어도 물 걱정이 없습니다』 전북 익산군 팔봉면 이제마을 사람들은 공동우물「뱃못샘」을 자랑했다. 이제마을은 이리에서 6㎞쯤 동북쪽에 위치한 마을. 마을 앞

    중앙일보

    1972.03.29 00:00

  • 토정비결

    며칠 전 시댁에 다니러 갔다가 돌아오는 버스에서 토정비결 책 한 권을 샀다. 점잖지 못하게 토정비결이나 들고 다니기가 언짢았지만 방학동안 「아르바이트」하는 학생이 팔고있기에 한 권

    중앙일보

    1972.02.16 00:00

  • 아마추어이긴 하지만 국전에 입선한 적도 있다는 그 여인이 장난삼아 만들지는 않았을 터이고, 내 생각을 솔직이 얘기한다면 그것은 하나의 돌덩어리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 조각은

    중앙일보

    1972.01.01 00:00

  • (214)자동차 반세기⑧|서용기(제자는 필자)

    우리 나라 최초의 여자운전사인 이정옥씨는 올해 71세로 지금도 서울 서대문구 문화촌 「아파트」2동107호의 둘째 딸네 집에서 여생을 보내고 있다. 한 살 때 경성의 개발회사 통역

    중앙일보

    1971.07.24 00:00

  • 「컴퓨터」기술 배운 것도 남편과 시댁의 권고로

    권영호씨(삼릉상사 서울지점근무)와 박상영 여사(한국과학기술연구소 전자계산실「프로그래머」)부부는 직장과 가정생활을 조화시키는 유일한 길은 서로의 「이해」와 「양보」뿐이라고 동의를 표

    중앙일보

    1971.01.25 00:00

  • (22)|무성영화시대|신일선

    나운규씨와 김을한씨 등이 나의 결혼을 말렸지만, 영화계도 어려운 때라 다른 대안을 낼 수가 없었다. 나를 아껴주던 당시 신문기자들은 내가 애처로와서 인지 지상에 보도하지는 않았었

    중앙일보

    1970.12.03 00:00

  • 사랑과 인내로 이긴 기구한 인연|방자여사가 말하는 결혼생활

    일본 이본궁가의 왕녀였던 방자여사는 1920년 4월28일 나라 잃은 조선의 황태자 이은공의 비가 됨으로써 기구한 내조의 길에 올랐다. 이 두 사람의 인연은 그들 자신은 물론 주위의

    중앙일보

    1970.05.0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