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오죽하면 '방귀세' 생길 뻔···자동차 가스보다 독한 소 방귀

    오죽하면 '방귀세' 생길 뻔···자동차 가스보다 독한 소 방귀

    2021년 신축년(辛丑年) 소띠 해를 앞둔 지난해 12월 30일 대전의 한 한우농장에서 건강하게 태어난 송아지를 어미가 연신 핥아주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2021년 설날입니다

    중앙일보

    2021.02.12 05:00

  • “우리 소에서 등심 더 많이 나오게 해주세요”...특정부위 발달한 한우 골라 키운다

    “우리 소에서 등심 더 많이 나오게 해주세요”...특정부위 발달한 한우 골라 키운다

    10대 분할육 위치등심과 안심 등 특정 부위가 다른 소보다 더 발달할 가능성이 큰 소를 미리 선택해 사육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 농촌진흥청은 23일 등심, 안심, 채끝 등

    중앙일보

    2017.08.23 14:17

  • 문경에서 구제역 이후 전국 최초 牛시장 열려

    문경에서 구제역 이후 전국 최초 牛시장 열려

    구제역 이후 전국 최초로 우시장이 열렸다. 문경시는 지난 8일 문경축협 등록우 송아지 경매시장을 재개장 했다고 밝혔다. 문경시 산양면 존도리에 위치하고 있는 가축시장은 2008년

    중앙일보

    2011.04.08 21:30

  • 영주한우 웰빙인증 취득

    영주한우 웰빙인증 취득

    영주시의 특산품인 영주한우가 웰빙인증을 취득하며 그 품질을 다시 한 번 인정받았다. 한국능률협회인증원의 웰빙인증은 한 개의 품목 당 단 한곳의 지자체만을 선정하여 인증을 부여하기에

    중앙일보

    2010.05.14 10:07

  • [브리핑] 성 감별해 태어난 숫송아지

    [브리핑] 성 감별해 태어난 숫송아지

    암소와 수소를 골라서 낳는 길이 열렸다. 진주산업대 동물생명과학과 손시환.박희성 교수팀은 8일 수정란 성감별법으로 태어난 수컷 송아지(사진)를 공개했다. 이 송아지는 수정된 지

    중앙일보

    2006.03.09 05:42

  • 國內 두번째 복제젖소 인공수정 첫 분만

    경북도 축산기술연구소는 23일 "체세포 복제로 태어난 젖소가 지난해 7월 인공수정을 거쳐 지난 18일 48㎏의 건강한 숫송아지를 분만했다"고 발표했다. 복제 젖소의 분만은 2001

    중앙일보

    2003.04.23 20:45

  • 백화점 변신 안간힘…방앗간 등 이색코너 마련

    백화점 식품매장에 방앗간이 들어서고 한방코너가 생긴다. 할인점과 차별화하려는 전략이다. 가격으로는 할인점과 싸우기 어렵자 이색코너로 고객을 끌려는 것이다. 미도파 상계점은 지난달

    중앙일보

    2000.02.22 00:00

  • 백화점 변신 안간힘…방앗간 등 이색코너 마련

    백화점 식품매장에 방앗간이 들어서고 한방코너가 생긴다. 할인점과 차별화하려는 전략이다. 가격으로는 할인점과 싸우기 어렵자 이색코너로 고객을 끌려는 것이다. 미도파 상계점은 지난달

    중앙일보

    2000.02.21 20:07

  • 비자목·평화통일의 소, '새천년 제주 명물'로 선정

    '새천년 제주의 명물을 소개합니다-.’ 새천년을 앞두고 제주섬이 지역의 역사와 새천년의 희망을 상징할 두 주역을 선정했다. 제주도 북제주군은 내년 1월1일을 맞아 새천년 제주의 상

    중앙일보

    1999.12.14 22:03

  • 15, 16일 평창서 우량 한우 경진대회

    우량한우에 대한 지속적인 발굴과 축산경영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한우경진대회가 오는 15, 16일 이틀동안 평창군 용평복지회관 광장에서 열린다. 강원도가 주최하고 축협중앙회 강원도지

    중앙일보

    1999.10.15 00:00

  • 울산 영농조합 가대한우회,한약재 먹인 한우 키워

    울산가대동 영농조합 가대한우회 (회장 金俊相.55) 소속 농민 6가구는 작년 7월부터 3백여마리의 한약우를 전문적으로 키우고 있다.이곳에서는 5~6개월된 숫송아지를 거세, 보통사료

    중앙일보

    1998.04.21 00:00

  • 제주산 소값 폭락 - 교잡牛 송아지 작년보다 100만원까지

    제주산 소값이 곤두박질 치고 있다. 제주도와 축협등에 따르면 한우 숫송아지(1백50㎏미만) 값은 1백~1백1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0~40만원이 떨어졌으며,암송아지는

    중앙일보

    1997.07.03 00:00

  • 소값 폭락 피해농가에 당국의 지원책 있어야-조재만

    2년전부터 떨어지기 시작한 소값은 회복될 기색은 보이지 않은채 계속 떨어지고 있다. 어미소를 키우는데는 연간 약30만원의 사육비가 든다. 어미소가 다행히 숫송아지를 낳아주면 7만∼

    중앙일보

    1986.12.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