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행락길 구미돋우는 야외도시락

    행악「시즌」과 함께 주부들은 도시락 준비에 마음을 써야할 때다. 요즘은 간편한 「버너」들이 일반화해서 야외도시락은 한결 다채로운 구미를 돋을수 있게되었다. 별미도시락은 꽃놀이를 더

    중앙일보

    1976.04.09 00:00

  • 밀도살한 쇠고기 특별단속 펴기로

    서울시는 24일 쇠고기값을 안정시키기 위해 지방육(경기도고양.시흥.양주군)의 서울반입을 허용함에 따라 밀도살 쇠고기가 시중에 나돌 것을 대비, 밀도살 지방육 반입특별단속에 나섰다.

    중앙일보

    1976.01.24 00:00

  • 고단백 콩요리

    『밭에서 나는 고기』라고 불리는 콩은 질이 좋은 지방과 「칼슘」, 「비타민 B2」과 「B1」등 각종 영양소를 풍부히 갖고있는 고단백(34.3%)의 식품이다. 예부터 간장·된장·두부

    중앙일보

    1975.12.18 00:00

  • 평안도 동치미|박문희씨의 솜씨

    가슴을 찡하게 울리는 담박하고 시원한 동치미는 평안도가 제고장이다. 이를 맛보며 자란 사람들은 고향을 떠나 오랜 객지생활을 했어도 좀처럼 못 잊어하는 고향의 미각이다. 평양이 고향

    중앙일보

    1975.11.10 00:00

  • (9)평양냉면

    6·25 이후 서울에는 냉면집이 많이 생겼는데 그 간판에는 반드시 「평양냉면」이라고 쓰여져 있다. 때때로 냉면 생각이 나서 동료들과 음식점에 들어가 냉면을 청해놓고 보면 옛날 평양

    중앙일보

    1972.08.24 00:00

  • 식생활(1)|냉면

    여름의 별식 냉면은 더위를 씻고 지친 입맛을 산 듯 하게 들리는 맛의 청량제다. 예전엔 특히 이북 지방에서는 집에서 일일이 국수를 눌러 만들었던 이 냉면은 점점 음식점「메뉴」에서만

    중앙일보

    1971.06.21 00:00

  • (1)경기도

    전라도사람 경상도사람 함경도사람 등 각 지방 사람들은 날씨, 산물·기호에 따라 각각 다른 김치를 담가 먹는다. 그 여러 지방 김치들 중에는 다른 지방의 사람들 구미에도 썩 잘 맞는

    중앙일보

    1970.11.05 00:00

  • 풋 마늘 김치와 콩나물 오색채

    봄철 입맛을 돋우기 위해서는 쌉쌀한 풋 마늘 김치가 좋고 단순한 재료에 속하는 콩나물은 당근과 오이를 곁들이면 별미에 빛깔도 아름다와 아이들도 즐길 수 있다. ◇풋 마늘 김치▲재료

    중앙일보

    1970.03.26 00:00

  • 더위쫓는 별미요리

    이열치열이란 말을 따라 더운때는 더운 음식을 먹는것이 비결이라고는 하지만 역시 여름철에는 시원한것이 제일이다. 더운 음식을 먹으면서 땀을 흘리고 그땀이 가셔지면서 느껴지는 시원함도

    중앙일보

    1968.08.0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