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더 이상 메시아는 없다

    절대 강자가 없는 혼전의 레이스가 시작됐다. 그래도 두 가지는 예측할 수 있다. 누군가는 ‘대통령이 되는 데는 성공할 것’이지만 그도 ‘성공한 대통령이 되지는 못할 것’이란 거다

    중앙선데이

    2016.09.18 00:15

  • “선거 몰린 내년이 분수령 … 신흥국 내수시장이 기회될 수도”

    “선거 몰린 내년이 분수령 … 신흥국 내수시장이 기회될 수도”

    영국의 유럽연합(EU) 잔류를 주장하는 수천 명의 군중이 2일(현지시간) 런던 파크레인에 모여 ‘우리는 EU를 사랑한다(We Love EU)’는 등의 피켓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

    중앙선데이

    2016.07.03 01:27

  • 긴축·개방 처방하던 IMF, 이젠 “돈 풀어라”

    긴축·개방 처방하던 IMF, 이젠 “돈 풀어라”

    | “채무국 불평등 키웠다” 반성문80년대 남미 외채위기 닥치자구제금융 주며 신자유주의 강제자기반성인가.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달 27일 보고서 하나를 내놓았다. ‘신자유주의

    중앙일보

    2016.06.03 01:35

  • [중앙 미디어 콘퍼런스]미디어 인사이트 10가지

    [중앙 미디어 콘퍼런스]미디어 인사이트 10가지

    중앙일보 창간 50주년을 맞아 개최한 미디어 콘퍼런스에 세계 미디어 전문가들이 몰려들었습니다. 그들의 인사이트 넘치는 강연을 한 데 모았습니다. 디지털 시대 미디어 업계 격변의 한

    온라인 중앙일보

    2015.09.21 18:59

  • [j Story] 『노동의 종말』『공감의 시대』 쓴 세계적 지성 제러미 리프킨

    [j Story] 『노동의 종말』『공감의 시대』 쓴 세계적 지성 제러미 리프킨

    도발적이지 않으면 더 이상 리프킨이 아니다. 『공감의 시대』『노동의 종말』『소유의 종말』『유러피언 드림』『바이오테크 시대』 등 지난 30년간 18권의 미래 트렌드 관련 저서를 낸

    중앙일보

    2011.04.16 01:30

  • “휴가와 바꾼 한 권의 책에서 금융위기 그림자를 봤다”

    “휴가와 바꾼 한 권의 책에서 금융위기 그림자를 봤다”

    홍성국대우증권 홀세일 사업부장(전무)다른 사람과 마찬가지로 나도 매년 휴가 때면 거창한 계획을 세우곤 했다. 그러나 계획대로 실천해 본 경우는 한 번도 없었다. 2006년 여름휴

    중앙선데이

    2010.07.24 23:32

  • [이철호의 시시각각] 원전 수주, 그 이후

    요즘 채용시장의 블루칩은 한국수력원자력이다. 인터넷에는 과거 입사시험 족보가 난무하고 눈치 싸움이 한창이다. 다음 주부터 뽑는 신입사원은 지난해보다 두 배 많은 300명. 한수원은

    중앙일보

    2010.01.21 00:52

  • 송년기획 해외 경제 석학 릴레이 진단 ⑤ 소비주의의 종말

    경제 위기는 불가피하게 구조적 변화를 몰고 온다. 위기가 끝나도 이전 상태로 되돌아가는 법은 없다. 뭔가 영구히 달라지기 마련이다. 현재의 위기는 단지 금융 세계화의 부작용이 아니

    중앙일보

    2009.12.23 02:21

  • 영화 ‘2012’와 한반도 ‘그랜드 크로스’

    천체의 위치가 인간사·세상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믿음은 뿌리가 깊다. 1999년의 십자 정렬(grand cross alignment)과 2012년의 은하 정렬(galactic ali

    중앙선데이

    2009.11.29 01:03

  • [해외 칼럼] 베를린 장벽 붕괴 20년, 그 후 세계는 …

    20년 전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는 장면을 목격한 사람이라면 누구든 그 순간을 잊지 못할 것이다. 동독의 사회주의는 관료주의적 혼란 속에서 종말을 고했다. 당시 동독 정부 대변인인

    중앙일보

    2009.11.09 00:49

  • [이홍구 칼럼] 오바마와 자기 쇄신의 경쟁시대

    제국의 쇠퇴나 멸망은 무엇보다도 자기 쇄신의 능력이 마비되는 데서 비롯된다. 로마제국의 멸망이 바로 대표적인 예의 하나다. 물론 전쟁에서의 패배로 인해 제국이 멸망한 경우도 적지

    중앙일보

    2008.11.17 00:51

  • [중앙시평] 성공은 실패의 씨앗을 낳는다

    성공은 실패의 씨앗을 낳는다. 시간이 흐르고 환경이 바뀌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한 시대에 성공을 가져다주었던 아이디어와 정책에 과도하게 집착하게 된다. 그러한 집착은 부작용을

    중앙일보

    2008.10.20 01:26

  • [중앙시평] 모방과 부정의 정치를 넘어서

    미국발 금융위기가 지구촌을 뒤흔들어놓고 있다. 세계화의 첨병이라 일컬어진 월가의 투자은행들이 잇따라 도산하면서 그 여파가 세계경제를 연일 강타하고 있다. 우리 사회도 예외는 아니다

    중앙일보

    2008.09.24 01:33

  • 야쿠자도 세계화한다

    The Modernizing Mob컴퓨터 활용하고 금융업에도 손대 생존력 키우며 번창 일본 조직폭력배들의 활동상을 보고 싶다면 매년 11월 토리노이치 축제가 열리는 도쿄 신주쿠(

    중앙일보

    2007.12.22 17:27

  • [INTERVIEW] 세계 모든 기업이 사모펀드의 ‘사냥감’이다

    [INTERVIEW] 세계 모든 기업이 사모펀드의 ‘사냥감’이다

      미국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 있는 예일대학. 18세기 초 식민지 시대의 미국 건축양식을 보여주듯 붉은 벽돌 건물이 벌거벗은 담쟁이 넝쿨을 입은 채 자리 잡고 있었다. 경영대학

    중앙선데이

    2007.04.25 10:03

  • 제레미 리프킨 "세계는 자본주의서 네트워크 체제로"

    "자산을 거래로 하는 자본주의 체제에서 접속을 거래하는 네트워크 체제로 문명이 빠르게 바뀌고 있습니다." 포럼에 참가한 미국의 저명한 경제학자이자 사회비평가인 제러미 리프킨 박사는

    중앙일보

    2003.11.23 17:55

  • 반세계화「자선 사업」으로 극복하라

    세계화를 반대하는 사람들은 세계화가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의 지역과 문화는 물론 경제와 환경까지 파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안타깝게도 기업 윤리의식이 결여된 회사들이 저지르고 있는

    중앙일보

    2003.02.04 14:49

  • ['현대 고전'으로 짚는 2003년] 1. 지구화의 앞날

    지구화의 길/우리히 벡, 거름, 2000년 출간 세계화와 그 불만/조셉 스티글리츠 지음/세종연구원, 2002년 출간 중앙일보 북섹션 '행복한 책읽기'는 새해를 고전 읽기 시리즈로

    중앙일보

    2003.01.03 16:18

  • 해 지는 미국 문화 로마때와 닮은 꼴

    지난 20세기는 분명 미국의 세기다. 미국 경제가 세계 자본주의를 지배했다면 미국 문화는 세계 문화를 주도해 왔다. 미국 문화의 원동력은 일찍이 스페인의 철학자 오르테가 이 가세

    중앙일보

    2002.06.22 00:00

  • 고기 몇 점때문에 종말이 온다면…

    사라져 가는 아마존 열대우림, 사막으로 변하는 아프리카, 갈수록 심해지는 지구 온난화 현상…. 이런 지구 생태계를 위협하는 주범은 다름 아닌 소(牛) 다. 빈부 격차를 더욱 넓히고

    중앙일보

    2002.01.19 08:21

  • [김영희 대기자 e-메일 인터뷰] '무엇이 자폭 테러 만들었나'

    미국 본토에 대한 종말론적(Apocalyptical) 테러공격을 목격하면서 갖는 가장 큰 의문은 무엇이, 어떤 힘이, 어떤 신념, 어떤 광기(狂氣)가 테러리스트들로 하여금 죽음으로

    중앙일보

    2001.09.17 00:00

  • [세계 지식인 지도] 네그리와 자율주의 정치철학

    한 때 이탈리아 사회당의 당원이었으며 파도바대에서 법학을 가르치던 한 교수가 탈당.수감.망명 등으로 20세기와 21세기에 걸친 40여 년 동안을 기존 사회제도의 경계 밖에서 떠돌고

    중앙일보

    2001.08.02 00:00

  • [경제학자 '기 소르망' 에게 듣는다]

    기 소르망(57)은 경제학자이면서 '세계화문명론' 을 주창하는 문명비평가로 유명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한국기업메세나(기업의 문화예술활동 지원)협의회가 함께 개최한 '기업과 문화생

    중앙일보

    2000.07.10 00:00

  • [20세기 나의 송사] 14. 박맹호 민음사 대표

    K시인에게. 67년 청진빌딩 옥탑 위의 가건물에서 처음 만난 그때가 바로 어제인 듯 싶은데, 벌써 한 세기가 저물고 있네. 술기운이 오를 때마다 질러대던 당신의 고함 소리, 허공을

    중앙일보

    1999.12.2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