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삼육대 약학대학, AI 유전체분석 기업 인포보스와 신약개발 MOU

    삼육대 약학대학, AI 유전체분석 기업 인포보스와 신약개발 MOU

    삼육대 약학대학(학장 강진양)은 인공지능(AI) 유전체분석 전문기업 인포보스와 신약 및 건강기능식품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식은 9일 삼육대 제3과학관에서

    중앙일보

    2021.04.13 10:42

  • 톈진 폭발이 가져온 3가지 재앙

    톈진 폭발이 가져온 3가지 재앙

    12일 밤 발생한 중국 톈진(天津)시 빈하이(濱海)신구 탕구(塘沽)항 대형 폭발사고는 대형 인명 피해 외에도 환경 오염과 기업 피해, 물류 대란이라는 3개 재앙을 가져왔다. 14

    중앙일보

    2015.08.14 16:15

  • 취업률 높은 남부대…한방제약개발학과 주목

    취업률 높은 남부대…한방제약개발학과 주목

      광주광역시 첨단지구에 있는 4년제 종합대학교인 남부대는 취업을 잘 시키는 대학이다. 지난 8월 ‘대학 알리미’를 통해 공개한 대학정보공시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남부대 졸업

    온라인 중앙일보

    2014.09.23 10:15

  • 장애·비장애 아동 함께 가르치는 전문인력 양성

    장애·비장애 아동 함께 가르치는 전문인력 양성

    한방제약개발학과 약용식물병리학 실습실에 학생들이 실습을 하고 있다. [프리랜서 오종찬] 유아교육과·유아특수교육과·초등특수교육과·사회복지학과·언어치료청각학과. 이미 실무중심·현장연계

    중앙일보

    2014.09.03 00:05

  • 가짜 기억 이식 성공, 사람 기억도 조작 가능?

    [가짜 기억 이식 성공, 영화 `토탈리콜` 스틸컷] [가짜 기억 이식 성공, 영화 `토탈리콜` 스틸컷] ‘가짜 기억 이식 성공’ 쥐의 뇌에 가짜 기억을 이식하는 실험이 성공해 화제

    온라인 중앙일보

    2013.07.28 02:00

  • 가짜 기억 이식 성공, "'잘못된 기억' 원인 밝혔다"

    가짜 기억 이식 성공, "'잘못된 기억' 원인 밝혔다"

    [가짜 기억 이식 성공, 영화 `토탈리콜` 스틸컷] [가짜 기억 이식 성공, 영화 `토탈리콜` 스틸컷] ‘가짜 기억 이식 성공’ 쥐의 뇌에 가짜 기억을 이식하는 실험이 성공해 화제

    온라인 중앙일보

    2013.07.27 22:00

  • 가짜 기억 이식 성공, "기억도 조작할 수 있어" 사람도 가능?

    가짜 기억 이식 성공, "기억도 조작할 수 있어" 사람도 가능?

    [가짜 기억 이식 성공, 영화 `토탈리콜` 스틸컷] [가짜 기억 이식 성공, 영화 `토탈리콜` 스틸컷] ‘가짜 기억 이식 성공’ 쥐의 뇌에 가짜 기억을 이식하는 실험이 성공해 화제

    온라인 중앙일보

    2013.07.27 17:54

  • 가짜 기억 이식 성공, "인간 기억조작 가능성은…"

    미·일 연구팀 '사이언스' 발표 유전자 조작해 뇌 활동 제어 "인간은 인지 성찰하는 기억 자극에 반응하는 쥐와 달라" 우리 머릿속 기억은 현실 그대로일까, '가짜 기억'을 뇌에 옮

    온라인 중앙일보

    2013.07.27 09:48

  • 쥐 두뇌에 '가짜 기억' 이식 성공

    쥐 두뇌에 '가짜 기억' 이식 성공

    우리 머릿속 기억은 현실 그대로일까, '가짜 기억'을 뇌에 옮겨 심을 수 있을까, 미·일 연구팀이 SF영화에 나오는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내놨다. 광(光)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중앙일보

    2013.07.26 03:00

  • 경상대 유전자 분석 … 질병원인 찾기 '독보'

    경상대 자연과학대 생화학과 3, 4학년 학생들은 인간의 유전자 정보 3만5천여종이 담긴 손톱만한 유전자 칩을 만드는 실험을 직접한다. 인간의 키, 지능지수(IQ), 피부색, 질병

    중앙일보

    2003.11.23 20:41

  • 이온.물 드나드는 세포막 통로 발견

    모든 생물을 이루고 있는 세포는 세포막을 통해 물을 비롯, 수많은 이온을 받아들이거나 내보낸다. 그래야 세포들이 제 기능을 하면서 생명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세포가

    중앙일보

    2003.10.08 18:49

  • [중앙시평] 감성지능 높은 지도자

    부부싸움은 칼로 물베기라고 하지만 원만한 부부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선 절대로 넘어서는 안될 선이 있다. 가령 배우자의 부모에 대한 험담이나 상대에 대한 인신공격 같은 것은 이혼할 각

    중앙일보

    2001.02.05 00:00

  • 의료용 초미니 헬리콥터 개발

    언젠가는 인간의 몸속을 돌아다니며 의료임무를 수행하게될 최초의 초미니 헬리콥터가 개발됐다고 영국의 BBC방송이 23일 보도했다. 미국 코넬대학의 칼로 몬테마그노 박사가 개발한 이

    중앙일보

    2000.11.24 11:14

  • 의료용 초미니 헬리콥터 개발

    언젠가는 인간의 몸속을 돌아다니며 의료임무를 수행하게될 최초의 초미니 헬리콥터가 개발됐다고 영국의 BBC방송이 23일 보도했다. 미국 코넬대학의 칼로 몬테마그노 박사가 개발한 이

    중앙일보

    2000.11.24 09:43

  • '내것처럼 착 붙는 인공치아' 개발

    ''잇몸뼈에 착 달라붙어 자연 치(齒)같은 인공치아 - '' . 이가 빠진 사람들이 가장 바라는 인공 치아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과학연구센터 배은희 박사팀은 최근 자연치

    중앙일보

    2000.09.05 09:42

  • '내것처럼 착 붙는 인공치아' 개발

    '잇몸뼈에 착 달라붙어 자연 치(齒)같은 인공치아 - ' . 이가 빠진 사람들이 가장 바라는 인공 치아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과학연구센터 배은희 박사팀은 최근 자연치아

    중앙일보

    2000.09.05 00:00

  • 내것처럼 착 붙는 인공치아 개발

    ´잇몸뼈에 착 달라 붙어 자연 치같은 인공치아-´. 이가 빠진 사람들이 가장 바라는 인공 치아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과학연구센터 배은희 박사팀은 최근 자연치아 특성을 살

    중앙일보

    2000.09.04 19:29

  • 구조게놈 분야 바이오벤처 국내 첫 탄생

    국내 최고의 연구진이 대거 참여하는 구조게놈사업 분야 바이오 벤처기업이 국내에 첫 탄생했다. 구조게놈사업은 신약개발을 위해 필수적인 단백질의 3차구조를 대량으로 밝히는 작업으로 현

    중앙일보

    2000.07.27 15:41

  • 위천공단 조성, 낙동강 수질개선과 병행추진

    지난 91년 12월 공단지정 방침이 발표된 이래 부산시민 등의 반대로 무려 7년을 끌어온 대구 위천공단 문제에 대해 정부가 '낙동강 수질개선과 공단조성 병행 추진' 쪽으로 내부방침

    중앙일보

    1999.04.22 00:00

  • 내달 문열어,초대소장 전성균 박사

    국내에도 美국립보건원(NIH)과 비슷한 성격의 종합의학연구소가 최초로 설립된다.내달 7일 개소식을 갖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홍릉)부설「의과학연구센터」가 그 것.의과학연구센터에서는 임

    중앙일보

    1993.08.23 00:00

  • 노벨의학상 공동수상/미 크렙스·피셔/스웨덴 노벨위 발표

    【스톡홀름 AFP·로이터·연합=본사특약】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세포단백질에 관한 연구에 공이 큰 미국 시애틀 소재 워싱턴대 교수 에드윈 크렙스(74)와 에드먼드 피셔(72)에게 돌

    중앙일보

    1992.10.13 00:00

  • 제4세대 항암요법 개발 이원영교수(일요인터뷰)

    ◎“「누에똥 항암제」 실용화 멀지 않다”/“바이러스 질병 막는 연구 주력/「AIDS 정복」까진 시간 걸릴듯” 80년대초부터 간염ㆍAIDS(후천성면역결핍증)ㆍ암에 관한 두드러진 연구

    중앙일보

    1990.04.08 00:00

  • “산업폐수 허용치 잘못됐다/담수어등 생존 실험결과 치명적 상태”

    ◎한국화학연서 조사 현행 산업폐수 배출허용기준만으로는 생태계를 파괴하는 독성물질과 돌연변이성 발암물질을 제대로 걸러낼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화학연구소 안전성연구센터 환견ㆍ

    중앙일보

    1990.02.20 00:00

  • 비료안주는 벼개발에 주력|식물분야 유전공학연구 어디까지 왔나

    검은 대륙 아프리카에서 7백여만명이 아사하고 있는 가운데 인류의 식량난을 해소하기 위한 식물유전공학의 연구가 우리나라에서도 상당히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열법에 잘 견디고 비료를

    중앙일보

    1984.11.19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