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생산·관리직 임금격차 해소에 최선-남 기획

    남덕우 부총리는 16일 노총대표들과의 간담회에서 정부는 노동생산성을 초과한 지나친 임금상승은 막을 것이지만 저임해소나 생산직과 관리직의 임금격차해소엔 행정지도와 감독을 강화할 방침

    중앙일보

    1977.02.17 00:00

  • 생산직 임금 높아져

    지난 연말 현재 우리나라생산업의 직급별 월 평균임금수준은 ▲임원급 44만5천8백원 ▲부장급 30만1천5백원 ▲과장급 21만6천7백원 ▲계장 및 대리급이 15만5천1백원 수준이며 일

    중앙일보

    1977.02.15 00:00

  • 저소득층 36만 명 치료비 50%감면

    신현확 보사부장관은 7일 국민 모든 계층에 의료시혜를 확대하고 지방공단에 종합병원을 세워 지방민에게도 양질의 의료혜택을 줄 것을 내용으로 하는「국민의료의 계획적 확충」방안을 마련,

    중앙일보

    1977.02.07 00:00

  • 공전의 높은 지원율

    공업전문학교의 지원율이 해마다 높아져 올해 일부 공전의 지원율은 작년의 2배를 넘었다. 공전 지원자가 이처럼 늘어난 것은 졸업 후 취업이 비교적 잘 되고, 등록금이 정규대학의 절반

    중앙일보

    1977.01.24 00:00

  • 실질임금 년 15.4%이상 인상 유도

    정부는 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끝나는 81년까지 최저임금제 실시를 위한 기반 조성을 마친다는 계획아래 『저임금 일소를 위한 장기 대책』을 마련, 1차로 지난 6년 간 5.4

    중앙일보

    1977.01.11 00:00

  • 부당 임금에 행정력 동원

    16일 하오에 한국 개발 연구원 (KDI)에서 열린 경제 정책 협의회는 제4차 5개년 기간 중의 인구·고용·교육 정책을 다루었다. 이 회의에서 정부는 기간 중 교육 정책은 중학교까

    중앙일보

    1976.08.07 00:00

  • 섬유·의복·가발·피혁 등 저임 14개 업종|월 평균 임금 4만8천7백원|생산·사무직간 큰 격차

    정부는 지난 1월 한 달 동안 실시한 저임금지대 임금실태 조사결과 낮은 임금지대로 지적된 14개 업종 8백20개 업체에서 일하는 4만6백52명의 평균임금은 현금급여가 월 3만9천7

    중앙일보

    1976.06.05 00:00

  • 기획원·상공부·보사위 합동조사반 구성|저임금 실태조사

    남덕우 부총리 겸 경제 기획원장관은 20일 정부는 임금정책의 제1의 목표를 저임금지대 일소에 두고 저임금지대 일소를 위해 경제기획원·상공부·보사관계관으로 조사반을 구성, 내주 초에

    중앙일보

    1976.02.20 00:00

  • 근로자 임금 수준 격차 남녀 구별이 주요 원인

    근로자들의 임금 수준에 격차를 가져오는 가장 큰 요소는 남녀의 구별이며 이밖에 학력· 종업 형태 (사무직 혹은 생산직 여부) 기업 규모 등의 순으로 임금 격차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

    중앙일보

    1976.02.12 00:00

  • 중소기업 육성시책 재정비 시급

    정부의 중소기업 육성 시책의 재정비가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14일 상공부의 「중소기업에 관한 연차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 한해 동안 중소기업 부문의 수출 실적이 전체 수출

    중앙일보

    1973.11.14 00:00

  • 일손을 찾습니다

    ▲전자조립견습공=52명(남) 국졸이상·18∼30세·월5천원 ▲전자조립견습공=50명(여) 18∼22세 국졸·월5천원·31일까지 ▲「미싱」봉제공=70명(여) 국졸·18세 이상·월8천

    중앙일보

    1973.08.0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