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포스트게놈 시대 개막… '생명을 디자인한다'

    ''포스트 게놈'' (Post Genome) 시대가 시작됐다. 인간 게놈(유전체) 에 대한 서열 분석 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유전자 활용을 중심으로한 생명과학의 새장이 열리고 있는

    중앙일보

    2000.03.28 09:22

  • 포스트게놈 시대 개막… '생명을 디자인한다'

    '포스트 게놈' (Post Genome)시대가 시작됐다. 인간 게놈(유전체)에 대한 서열 분석 결과가 속속 발표되면서 유전자 활용을 중심으로한 생명과학의 새장이 열리고 있는 것이다

    중앙일보

    2000.03.28 00:00

  • 게놈 정보공개 실질적 도움에는 회의적

    빌 클린턴 미국대통령과 토니 블레어 영국총리가 ''인간게놈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의 연구결과를 무료로 자유롭게 이용하도록 한다는데 합의한데 대해 국내 전

    중앙일보

    2000.03.15 18:22

  • 인간유전자 특허경쟁 치열해질 듯

    인간의 유전자지도를 담은 게놈프로젝트가 두달후 완성되면 세계 각국의 유전자특허전쟁이 한층 불을 뿜게 될 전망이다. 이미 미국,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의 다국적 기업과 정부 연구소들은

    중앙일보

    2000.03.05 14:42

  • 21세기는 '유전자 벤처' 시대

    일본.유럽 공동연구팀은 최근 사람의 21번 염색체 유전자 서열을 다음달 중 완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국팀이 지난해 말 22번 염색체의 유전자를 해독한지 불과 한달

    중앙일보

    2000.01.17 09:57

  • 염색체 23쌍 해독 눈앞…21세기는 '유전자 벤처'시대

    일본.유럽 공동연구팀은 최근 사람의 21번 염색체 유전자 서열을 내달 중으로 완전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국팀이 지난해 말 22번 염색체의 유전자를 해독한지 불과 한달

    중앙일보

    2000.01.17 00:00

  • [2000년 정보.과학계 전망]1. 게놈프로젝트 논의 활발

    21세기 인류사회를 변화시킬 원동력은 과학, 정보통신분야에서 찾아야 한다는데 이의를 달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만큼 이 분야의 발전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특히 디지털혁명의 도래는

    중앙일보

    1999.12.23 14:49

  • [한국의 20세기 과학인물] 생명과학 '우장춘' 박사

    20세기는 한국에서도 예외없는 과학의 시대였다. 큰 발자취를 남긴 우리 과학자를 4회에 걸쳐 소개한다. 식탁에 오르는 농작물이나 관상용 화훼류치고 ''야생상태'' 인 것은 거의 없

    중앙일보

    1999.12.06 09:09

  • [한국의 20세기 과학인물] 생명과학 '우장춘' 박사

    20세기는 한국에서도 예외없는 과학의 시대였다. 큰 발자취를 남긴 우리 과학자를 4회에 걸쳐 소개한다. 식탁에 오르는 농작물이나 관상용 화훼류치고 '야생상태' 인 것은 거의 없다.

    중앙일보

    1999.12.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