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7인의 처녀절도

    7인의 처녀(?) 절도단이 최근에 검거되었다. 이들은 경찰에서 「고고」춤의 매력에 이끌려 「고고·클럽」 입장료를 마련하기 위해 도둑질을 했다고 말했다 한다. 「고고」춤에 대한 비난

    중앙일보

    1972.10.11 00:00

  • 탈 물질문명의 처방…석학「제롬·브루너」와의 대담|세째 대담자「제롬·브루너」

    「제롬·브루너」는 미국「하버드」대학의 심리학 교수로 지적갈등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현대의 교육과정에도 참가하고 있다. 그는 지적·사고와 더불어 발달·동기·학설·기억 등 광범한 영역

    중앙일보

    1972.10.05 00:00

  • 한국의 사회학연구는 신소설작가 이인직이 그 시초

    한국의 사회학은 신소설의 작가 이인직으로부터 시작된다는 주장이 최근 김영오 교수(중앙대)에 의해 소개됐다. 김 교수는 근저 『한국사회학』에서 『우리 나라에 있어서는 1906년에 이

    중앙일보

    1972.04.03 00:00

  • 개강 앞둔 방송통신대학

    서울대부설 「한국방송통신대학」이 3월 중에 학생모집을 끝내고 강의를 시작한다. 설립책임자 김종서 교수(서울대사대)에 의하면 방송통신대학 설치령이 이미 공포되어 곧 학생모집공고를 내

    중앙일보

    1972.03.07 00:00

  • 신화는 현대에도 필요하다

    인간은 신화의 동물이며 인류의 전설과 설화들은 아직도 인간정신의 열쇠꾸러미라는 것이 최근 다시 강조되고 있다. 현대와 같은 과학만능시대에 있어서 새로운 신화의 필요성이 고조되는 것

    중앙일보

    1972.01.25 00:00

  • 꿈은 건강에 좋다|미 생리학자 캘리트만 교수 주장

    복잡한 사회조직 속에서 낮 동안 시달린 도시인들에 있어 유일한 후식은 『밤에 꿈도 안 꾸고 푹 잘 자는 것』이다. 그러나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갈등을 갖고있고 그로 인해서 신경이

    중앙일보

    1972.01.21 00:00

  • 강용준씨의 『광인일기』

    제4회 한국창작문학상(한국일보 제정) 수상작이 강용준씨의 『광인일기』(「창작과 비평」70년 여름호)로 결정되었다. 60년 군장교육 복무 시 『철조망』으로 「사상계」신인문학상을 받고

    중앙일보

    1971.11.18 00:00

  • 신흥 종교 세미나

    한국 종교 사학회는 10월1일 하오 4시 풍전 「호텔」에서 한국 신흥 종교에 관한 세미나를 갖는다. ▲한국 신흥 종교의 기본 사상(문상희·연세대) ▲한국 신흥 종교의 사회 심리학적

    중앙일보

    1971.09.24 00:00

  • 연세가정대 발표회

    연세대가정대학은 신임교수취임학슬발표회를 18일하오2시∼4시연세대경영대학원 소강당에서갖는다. 발표제목은▲사회심리학적 요인과관련된 의상에대한 관심과희망 (강혜원박사) ▲가정관리학의 학

    중앙일보

    1971.09.17 00:00

  • 미국서 수업한 가정학계 두 여류박사귀국|강혜원 박사|윤복자 박사

    비교적 드문 분야인 가정학계에 미국서 오랫동안 연구수업 중이던 두 여류박사가 귀국하여 활기를 주게됐다. 9일 서울에 온 윤복자박사(가정학)와 강혜준박사(의류직물학)는 똑같이 가을

    중앙일보

    1971.08.11 00:00

  • 7년 침묵 깬 「사르트르」 작가 플로베르 연구서 발표

    프랑스의 「장·폴·사르트르」(66)가 최근 『「보바리」부인』의 작가 「구스타브·플로베르」를 주제로 한 연구서 『가족중의 백치』를 출간, 파리의 화제를 모으고 있다. 「사르트르」가

    중앙일보

    1971.07.16 00:00

  • 남녀 능력에 우열 없는가|「핀란드」 카르보빈 교수 조사에서

    도대체 여자는 남자에 비해 얼마나 약하고 또 강한가. 남녀의 근본적인 차잇점은 무엇일까. 「핀란드」의 「카르보빈」교수가 최근 WHO의 위촉으로 작성한 한 보고서는 이 방면의 문제에

    중앙일보

    1971.07.06 00:00

  • 「붓 때린다」

    최근에 일본에서는 한국어가 유행 중에 있는 모양이다. 지난 3월에 일본에서 출판된 『알기 쉬운 한국어』가 학생·회사원·주부들 사이에 많이 팔리고 있다 한다. 한국에 대한 새로운 관

    중앙일보

    1971.07.05 00:00

  • 교육과정 개편안에 문제 있다

    한국교육학회는 9일 신문회관강당에서 문교부가 내놓은 교육과정 개편시안을 놓고 공청회를 벌였다. 지난 1월29일 발표된 문교부의 국민교와 실업고교 교육과정개편시안은 54년과 64년에

    중앙일보

    1971.03.10 00:00

  • 70년도「아카데미·프랑세즈」문학상 탄「베르트랑·프와르·델페쉬」

    「프랑스」엔 바야흐로 문학상이 쏟아져 나오는 계절이다. 「아카데미·프랑세즈」문학상은「드골」의 서거 때문에 1주일을 늦추어 18일『「리투아니아」의 미친 여인』의 작가「베르트랑·프와르

    중앙일보

    1970.11.27 00:00

  • (89)무서운 만찬 원주민의 초대

    소름끼치는 식인무용이 막 끝난 광장엔 밤의 고요가 깃들이기 시작했다. 이 섬은 괴기하면서도 어딘가 몽환을 자아내는 것은 웬일일까. 그것은 아직도 현대문명이란 아랑곳없이 원시적인 생

    중앙일보

    1970.10.17 00:00

  • 폭력과 어머니의 사랑|양구·진주 사건이 주는 교훈|서울대의대 교수 이부영

    진주에 이어 양구에서 최근 잇딴 납치사건이 신문 사회면을 어지럽히고 있어 세상이 이제 어떻게 되려나 공연히 걱정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런 일은 지금 새삼스러운 것이 못 되고 남의

    중앙일보

    1970.09.05 00:00

  • 성년이 된 세계의「베스트·셀러」『자유주의육아법』은 성공했나|젊은이들에 꿈과 용기 불어넣어

    성묘 다음가는 세계의「베스트·셀러」『「스포크」육아법』이 나온지 24년. 미국에서만 2천2백만 부가 팔려 이 책을 보고 길러낸 아이들도 이제는 성인이 되었다.「프랑스」주간지「렉스프레

    중앙일보

    1970.08.08 00:00

  • 병든 현대속에 추모되는 독일의 두 현실참여 사상가

    현대라는 인문상실의 시대, 또 근대화의 국가적인 발전의 격동기이기도한 이 정치적·사회적 혼란기에 독일이 낳은 두 현실참여의 사상가들은 정신고갈의 상황을 벗어날 어떤 처방을 줄것도

    중앙일보

    1970.06.09 00:00

  • 세계 신문학의 새 경향

    최근의 신문학은 인문 사회 등 모든 과학의 교차로에 섰다고들 한다. 「저널리즘」이란 이름 보다 「매스·커뮤니케이션」으로 통칭되는 신문학은 신문·잡지뿐 아니라 영화·「라디오」· TV

    중앙일보

    1970.04.06 00:00

  • 하이재킹

    69년은 『하이재킹의 해』로 기록할만 하다. 정월부터 12월에 이르기까지 이 지상에선 하이재킹이 그치지 않았다. 지난 신정 벽두엔 그리스에서 올림픽 항공사 소속 여객기를 납치, 카

    중앙일보

    1969.12.12 00:00

  • 문학속의 한국여성|이대 교육심리학과 홍순정양의 연구

    한국의 여인상은 지난10여년동안 어떤 변모를 해왔을까. 그과거는 어땠으며 현재는 또 어떤 모습일까. 이홍미있는 문제를 아주 흥미있는 방법으로 살펴본 이대교육심리학과 홍순정양의 논문

    중앙일보

    1969.02.25 00:00

  • 1969년을 살릴 「에토스」는 무엇인가

    또 이 한해에 세상이 어떻게 변할 것인가? 누구나 당면하는 초조한 물음이다. 미래의 관리는 바로 오늘을 사는 과제로 되었다. 가정주부에서 정치가에 이르기까지 그들을 괴롭히는 가위눌

    중앙일보

    1969.01.01 00:00

  • 초지일관 칠전팔기

    한 조사보고에 의하면 금년도 서울대학교 신입생 중의 52%가 재수생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불과 수삼년 전에 재수생이 차지하였던 비율에 견주어 보면 배 이상으로 증가된 숫자이다.

    중앙일보

    1968.06.2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