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실용화 안된 암 치료법은 위험-증세에 따른 올바른 요법을 알아본다

    최근 암 환자를 둘러싸고 수많은 치료법이 난무, 환자와 보호자를 혼란에 빠뜨리는 경우가 많다. 인터페론·침술·자연요법 등 아직 실용화되지 못하고 이론적 뒷받침이 약한 치료법이 환자

    중앙일보

    1981.05.02 00:00

  • 국내생산을 계기로 그 실체를 알아본다|『인터페론』 과연 어떤 약인가

    암치료에 큰 효과가 기대되는「인더페론」(IFN)이 경희대부절 동서의학연구소(소장 임수덕박사)에 의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생산되어 다시 한번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인터페론」이

    중앙일보

    1981.02.28 00:00

  • (118)앞으로 암 정복은 병합요법으로

    앞으로 암의 정복은 어떤 단일한 치료법보다는 4가지 방법, 즉 수술·방사선·약물 및 면역의 병합요법으로 서서히 이루어질 것이다. 고형 암(위암·장암·간암)등 정복의 기본전략은 초기

    중앙일보

    1980.12.29 00:00

  • (111)전이성 병은 약물요법이 이상적|김례회

    암세포는 현관 또는 임파 관등을 통하여 다른 장기에 옮겨가 증식을 계속하여 그 기능을 파괴하는 소위 전이성이 있다. 이러한 암세포의 특성 때문에 위암·유암·폐암 등에서 암이 발생한

    중앙일보

    1980.12.04 00:00

  • 건강코너|김병수

    우리몸속에는 혈액이 순환하고 있으며 핏속의 적혈구는 산소를 공급하고 노폐물인 탄산「가스」를 폐로 날라 제거해둔다. 백혈구는 우리몸에 침입하는 세균을 소탕해주며 또작은 혈소판이있어

    중앙일보

    1980.10.23 00:00

  • (96)-어린이 병은 어른보다 잘 낫는다

    어린이의 약을 다루게되는 소아외과 의사는 참으로 할말이 많다. 어린이 암이라고는 하지만 백혈병 등 혈액계통의 암·두개 골내(뇌암)·뼈의 암 등 다른 분야의 암을 제외한다면 소아외과

    중앙일보

    1980.10.02 00:00

  • (91)「호르몬」분비가 균형을 잃으면 암 유발|백혈병 등은「바이러스」와 밀접한 관계|비타민A는 암발생을 억제한다.

    암의 원인으로는 화학물질이 중요한 작용을 하나 「호르몬」· 「바이러스」·노화 등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인자들이다. 노화자체가 암의 원인은 아니나 통계적으로 보면 나이가 들어감에

    중앙일보

    1980.09.08 00:00

  • (90)탄생선·코피·맥주 등도 발암과 관계|과일 많이 먹으면 위암예방에 효과|발암성 화학물질만도 천5백여종

    암의 정체가 알려지지 않은 것처럼 암의 원인도 딱 떨어지게 밝혀진 것이 없다. 그간 여러 학자들이 장기간에 걸친 연구 끝에 암의 원인이 된다고 주장하는 것을 보면 화학적 원인, 자

    중앙일보

    1980.09.04 00:00

  • 〃암 특효약〃「인터페론」멀지 않아 국산화

    「기적의 약」「꿈의 약」으로 불리는 「인티페론」이 우리나라에서도 생산돼 처음으로 암치료에 이용하게 됐다. 경희대학교 부설『동서의학연구소 암「센터」』(소장 임수덕박사)는「인터페론」의

    중앙일보

    1980.09.02 00:00

  • 해마다 4만명의 목숨 앗아가는 암 정복 어디까지 왔나

    해마다 암으로 인해 죽어 가는 사람은 전 세계에서 6백만명에 이르고 있다. 대한암협회(회장 김석환)의 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4만여명이 암으로 목숨을 잃고 또 4만여명의

    중앙일보

    1980.07.03 00:00

  • 백혈병 완치 길터줄 생물학적 물질 발견-암 치료학술대회서 미 차오 박사 발표

    9일부터 11일까지 3일간 경희대에서 일린 면역생물학과 암의 치료에 관한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총16편의 국내의 학자들의 논문이 발표됐다. 그 중에서도 치근 인터페론의 획기적 연구로

    중앙일보

    1980.04.11 00:00

  • 과학|양학·한방 병용으로 중공서 암 퇴치에 성과

    아직까지 현대의학이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암에 대한 종합적 예방·진단 및 치료법이 최근 중공한의학계에 의해 제기되어 주목을 끌고있다. 경희대 한의대 홍원직교수가 펴낸 「현대 중공의

    중앙일보

    1980.02.14 00:00

  • 병찾는 ??가 병주는 ??로

    서울시내 개인 병·의원에 설치된 「X레이」기 70%가 무허가 제품이고 나머지 허가제품도 외제품을 설치한5∼6개소를 제외하고는 모두 낡고 폐기직전의 뷸량품이어서 인체에 각종 방사선피

    중앙일보

    1979.10.12 00:00

  • (19)백혈병 50%는 완치된다

    암은 어른들만을 공격하지 않는다. 어린이들도 무서운 암의 공격목표가 된다. 유명한 백혈병을 비롯해서 악성임파종, 뇌종양, 간암 등이 소아암의 대표급인데 이 가운데 백혈병(혈액의 암

    중앙일보

    1978.02.02 00:00

  • (49)|암 싸워서 이길 수 있다 (11)|개발서 투여까진 4년…항암제

    『「카핀터」씨, 오늘부터 새로운 약으로 바꾸어서 치료를 해보아야겠어요. 지금까지 써온 항암제가 이젠 효과가 없어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새로이 부작용도 나타나고요.』 지난 봄 폐암

    중앙일보

    1977.12.05 00:00

  • (44)암 싸워서 이길 수 있다(6)|무엇이 암을 일으키나

    전 세계의 암 학자들은 인류최대의 적인 암의 정체를 알아내기 위해 필사의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런데도 무엇이 암을 일으키는지, 왜 어떻게 암이 생기는지 아직 알지 못한 채다.

    중앙일보

    1977.11.15 00:00

  • (43)병 싸워서 이길 수 있다(5)어디에 잘 생기나

    암을 하나의 질병으로 다루기 어려운 이유는 여러 가지다. 그러나 암이 공격하는 인체의 부위만을 살펴보아도 암은 여러 질병의 복합임을 쉽사리 알아 차릴 수 있다. 『도대체 암세포는

    중앙일보

    1977.11.10 00:00

  • 암 싸워서 이길 수 있다 (2)|전문 학자 2,200명이 밤낮없는 씨름, 미국

    미국에는 암 「센터」만 해도 전국적으로 1백20여개소에 이른다. 전적으로 암 환자만 다루는 병원이 52개소, 완전히 무료로 암 환자를 실험 치료하는 암「센터」는 25개소다. 그리고

    중앙일보

    1977.11.01 00:00

  • (39)암 싸워서 이길 수 있다(1)

    암은 지금 인류가 해결해야 할 최대 숙제다. 그 피해가 어느 것보다도 크고 심각하기 때문이다. 현재 암 연구는 어디까지 왔나. 언제쯤 인류는 암의 공포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가. 최

    중앙일보

    1977.10.27 00:00

  • "암은 정복할 수 있다"-세계적인 암 학자 미「굿」박사 내한강연

    세계적인 암 연구학자인 「로버트·A·굿」박사(사진·55·「뉴욕·슬로운캐터링」암 연구소장)가 대한면역학회 초청으로 내한했다. 소아과의사이자 해부학박사·철학박사인 「굿」박사는 「노벨」

    중앙일보

    1977.07.23 00:00

  • 『여기는 독도…』

    『여기는 독도. 여기는 대한민국의 독도. HM9A. 수신했으면 응답 바람, 「오버」. 』 지난 4일간 독도에 자리잡은 HM9A(「아마추어」이동무선국)는 온 세계에 전파를 보냈다.

    중앙일보

    1977.02.21 00:00

  • (45)코피가 자주 나온다

    코피(비출혈)는 병이라기보다 어떤 병에 수반되는 증상인 때가 대부분이다. 어린이나 젊은 층에 있어서 신체의 다른 부위엔 아무런 병도 없이 자주 코피를 흘려 부모를 당황케 하고 불안

    중앙일보

    1976.06.17 00:00

  • ②고열은 염증성 질환의 주 증상이다

    갑자기 열이 치솟으면 사람들은 우선 해열제를 복용해본다. 쉽게 열이 떨어지지 않으면 해열제와 항생제를 쓴다. 그러나 이같은 대증적인 자가치료는 고열이 콩팥의 염증(특히 신우염)이나

    중앙일보

    1976.01.08 00:00

  • 죽을 권리

    「카렌·퀸랜」, 21세. 명랑하고 극히 평범한 미국의 한 처녀였다. 지난 4월14일 밤 친구의 생일「파티」에 가기 전 약방에서 흔히 파는 진정제를 먹고, 그리고 「진·토닉」 몇 잔

    중앙일보

    1975.11.1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