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BookBriefing] '인턴 X' 外

    [BookBriefing] '인턴 X' 外

    ◆김영사가 절판됐던 '인턴 X'(닥터 X 지음, 양정현 옮김, 380쪽, 1만900원)를 재출간했다. 젊은이들에게 의사의 꿈을 키워주고, 의사들에게는 사명감을 일깨워 주었던 의학에

    중앙일보

    2007.06.08 18:46

  • [우리말바루기] 거시기

    최근 '거시기'가 표준어냐 아니냐를 놓고 논란이 인 적이 있다. 결국 표준어라고 판정이 났지만(표준어 규정 제4항에 당당히 표준어로 예시되어 있음), 뭔가 개운치 않은 뒷맛을 남

    중앙일보

    2007.02.15 19:35

  • [우리말바루기] 끼치다 / 미치다

    "경제적.경제외적 요인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변동하는 환율은 다시 국제수지, 물가, 경제성장 등 경제 변수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책의 저자들은 최명희의 '혼불

    중앙일보

    2007.01.30 18:21

  • '나 완전히 명왕성 됐어' 미국 방언협, '2006년 단어'로 선정

    '명왕성 되다'(Plutoed)가 미국 방언협회에 의해 '2006년의 단어'로 선정됐다. 방언협회는 지난 5일 연례총회를 갖고 명왕성의 태양계 행성 지위 박탈을 계기로 '격하하다

    중앙일보

    2007.01.09 18:13

  • 미 올해의 단어 '트루시니스'

    미 올해의 단어 '트루시니스'

    미국의 사전 출판사인 메리엄-웹스터는 올해의 단어에 '트루시니스(truthiness)'가 선정됐다고 9일 발표했다. 웹스터는 자사 인터넷 사이트 방문객을 상대로 한 온라인 투표를

    중앙일보

    2006.12.11 04:26

  • [week&CoverStory] 해장국 열전 베스트 7

    [week&CoverStory] 해장국 열전 베스트 7

    사진=권혁재 전문기자 ◆괴산 올갱이국 ▶ 시원한 초록색 국물, 쫄깃쫄깃한 속살 올갱이는 충청도 사투리라네요. 경상도 사람들은 고디라고도 부른다고 하는데 표준말은 민물 다슬기랍니다.

    중앙일보

    2006.11.09 15:13

  • [우리말바루기] 빈대떡의 다른 이름

    "양복 입은 신사가 요릿집 문 앞에서 …중략… 돈 없으면 집에 가서 빈대떡이나 부쳐 먹지 한 푼 없는 건달이 요릿집이 무어냐 기생집이 무어냐." 대중가요 '빈대떡 신사'의 노랫말

    중앙일보

    2006.11.07 19:13

  • [디지털국회] 싸가지는 없고 4가지만 있는 정부

    1. 참견정부 인사들은 근본적으로 싸가지가 없다 '싸가지'란 어휘는 '싹수'의 방언이다. 싹수를 사전적으로 정의하면, '앞으로 잘 트일만한 낌새나 징조' 즉 미래애 대한 희망(ho

    중앙일보

    2006.05.29 16:42

  • 남북, 『겨레말큰사전』 어문 규범 요강 합의

    남북, 『겨레말큰사전』 어문 규범 요강 합의

    『겨레말큰사전』 남측 편찬위원장 홍윤표(右) 연세대 교수와 북측 편찬위원장 문영호(左)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장이 26일 북한 개성에서 열린 4차 편찬회의에서 ''단일 어문 규범

    중앙일보

    2005.11.27 22:53

  • 우리말 바루기 573. 모둠회

    횟집에는 광어.우럭.도미.농어 등 여러 메뉴가 있으나 마땅히 어느 것을 고르기 어려울 경우 모듬회를 시킨다. 비교적 저렴하고 이것저것 맛볼 수 있으니 대충 모듬회를 시켜 먹으면

    중앙일보

    2005.10.16 17:47

  • [새책] 쓸모 없는 노력의 박물관 外

    [새책] 쓸모 없는 노력의 박물관 外

    쓸모 없는 노력의 박물관(크리스티나 페리 로시 지음, 정승희 옮김, 작가정신, 8900원)=정해진 틀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의 일상에서 회의와 주저의 순간을 스케치한 단편소설집.

    중앙일보

    2005.06.03 21:03

  • 출판계에 뜬 '강호의 고수들'

    출판계에 뜬 '강호의 고수들'

    ▶ 주경야독으로 최근 인문.자연과학 분야의 저서를 내놓은 ‘직장인 저자’들. 왼쪽부터 홍장학씨, 한영식씨, 김태훈씨. 신동연 기자 전국은행연합회 신용정보관리팀 김태훈(40) 부부장

    중앙일보

    2004.08.05 19:06

  • 우리말 바루기 226 - 고개를 떨구다(?)

    "바람이 산줄기를 타고 내리며 나뭇잎들을 떨구기 시작할 즈음이었다." "최주사는 맥없이 고개를 떨구고 되돌아섰다." "그녀는 시선을 아래로 떨구며 아주 작게 말했다." "트럭 한

    중앙일보

    2004.02.05 17:28

  • [고은의 세상월령가 2월] 모국어를 위하여

    [고은의 세상월령가 2월] 모국어를 위하여

    별을 본다. 발 밑의 현실로부터 자못 우주에의 감회가 일어난다. 우주는 백수십억년 전에 탄생한 이래 아직껏 팽창 중이라 한다. 우주 속의 지극히 작은 별의 하나인 태양은 몇 십억

    중앙일보

    2004.02.03 17:43

  • 영동 남부지방 사투리 모은 책 펴내

    '자는 뭐이 그라(저 아이는 무엇이 그렇게) 궁금한 지 얘기를 한번 들으면 꼬지이 마를 파는 아다(꼬치꼬치 캐묻는 아이다).' 한 지방공무원이 9년의 노력 끝에 낸 '강원도 영동

    중앙일보

    2003.07.02 17:47

  • [사람 사람] 로스 킹 교수

    "한국 지식인들은 한국어를 할 수 있는 외국인과 만나도 한국어 대신 외국어를 쓰는 것을 당연시하는 것 같아요. 한국어로 대화하면 자신의 체면이 깎인다고 생각하죠. 젊은 사람들도 한

    중앙일보

    2003.02.17 20:34

  • 남북한의 컴퓨터·통신 용어 통일

    "남북한의 컴퓨터·통신 용어를 이번에 통일한 것은 양측 학술 교류의 물꼬를 트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남북한·중국 옌볜(延邊)의 학자들과 공동연구팀을 만들어 8년여 만에 『한·영

    중앙일보

    2002.06.12 00:00

  • [뉴스위크]비즈니스맨은 지금 영어와 전쟁중

    독일 알리안츠 애셋 매니지먼트(AAM)社의 아침 회의에는 뭔가 색다른 점이 있다. 분석가들은 U자형 탁자에 둘러앉아 그날 매수·매도해야 할 종목에 관해 토의한다. 그런데 분석가 중

    중앙일보

    2002.04.23 20:27

  • [맛집 풍경] 가락동 '정가네 볼태기'

    생선 대가리 가운데 유독 대구 머리만 '뽈' '뽈(볼) 때기' '뽈(볼) 태기' 란 색다른 말로 불린다. 사전적 의미는 볼(뺨) 에 대한 영호남 지역의 방언. 뜻으로 보면 볼에 토

    중앙일보

    2001.06.27 07:42

  • [맛집 풍경] 가락동 '정가네 볼태기'

    생선 대가리 가운데 유독 대구의 것만 '뽈' '뽈(볼)때기' '뽈(볼)태기' 란 색다른 말로 불린다. 사전적 의미는 볼(뺨)에 대한 영호남 지역의 방언. 뜻으로 보면 볼에 토실토실

    중앙일보

    2001.06.27 00:00

  • 수화 '방언' 표준화한다

    청각장애인들이 의사 소통을 위해 사용하는 수화(手話)에도 '방언' 이 있다. 복지시설과 농아학교 등 수화 교육기관에서 각기 다른 수화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문화부는 서로 다른

    중앙일보

    2001.03.30 00:00

  • [사학법 개정 논란 무엇이 문제인가]

    서울 상문고 수업 파행을 계기로 사립학교법 개정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지난 13일 상임위를 열고 상문고 학부모 대표와 재단 관계자.서울시 교육감 등

    중앙일보

    2001.03.15 00:00

  • 이상규 교수 경북방언사전 펴내

    '…나비 제비야 깝치지 마라/맨드램이 들마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한글맞춤법 통일안이 제정(1933년)되기 전인 1920년대 주로 활동했던 대구 출신 저항시인 이상화(李相和)의 시

    중앙일보

    2001.02.13 00:00

  • [남기심 신임 국어연구원장 인터뷰]

    정부는 최근 제5대 국립국어연구원장에 연세대 국문과 남기심(65.사진) 교수를 임명했다. 신임 남원장은 심재기 원장의 뒤를 이어 오는 22일 정식 취임한다. 정년을 6개월 앞두고

    중앙일보

    2001.01.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