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김대식의 'Big Questions'] 한 없이 편하려는 욕망의 끝은 … 인간 vs 기계 ‘권력 다툼’

    [김대식의 'Big Questions'] 한 없이 편하려는 욕망의 끝은 … 인간 vs 기계 ‘권력 다툼’

    인간보다 기계를 높이 평가했던 이탈리아의 미래파 화가 움베르토 보치오니(Umberto Boccioni)의 작품 ‘물체’(Materia, 1912년). 물체는 유치한 인간의 세상을

    온라인 중앙일보

    2014.03.16 03:02

  • [김대식의 'Big Questions'] 한 없이 편하려는 욕망의 끝은 … 인간 vs 기계 ‘권력 다툼’

    [김대식의 'Big Questions'] 한 없이 편하려는 욕망의 끝은 … 인간 vs 기계 ‘권력 다툼’

    인간보다 기계를 높이 평가했던 이탈리아의 미래파 화가 움베르토 보치오니(Umberto Boccioni)의 작품 ‘물체’(Materia, 1912년). 물체는 유치한 인간의 세상을

    중앙선데이

    2014.03.16 01:58

  • [경제 view &] 실용 연구보다 논문, 앞뒤 바뀐 이공계

    [경제 view &] 실용 연구보다 논문, 앞뒤 바뀐 이공계

    이승철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부회장 세계 톱 랭킹의 이공계 대학이 기업가 정신의 요람이 되고 있다. 최고의 기술과 기업들이 모여 있는 미국 실리콘밸리 신화는 스탠퍼드대 공과대학에서 출

    중앙일보

    2014.03.07 00:44

  • 전신마비 환자를 스스로 걷게 하라, 생각만으로!

    전신마비 환자를 스스로 걷게 하라, 생각만으로!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은 손발을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사람에게도 활용되기 시작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 "중앙선데이, 오피니언 리더의 신문" 2009년 할리

    온라인 중앙일보

    2012.07.29 05:16

  • 전신마비 환자를 스스로 걷게 하라, 생각만으로!

    전신마비 환자를 스스로 걷게 하라, 생각만으로!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은 손발을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사람에게도 활용되기 시작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 2009년 할리우드 영화 아바타는 주인공의 생각이

    중앙선데이

    2012.07.28 23:02

  • 이병철·구인회, 미 소비가전협 ‘명예의 전당’헌액

    이병철·구인회, 미 소비가전협 ‘명예의 전당’헌액

    삼성전자와 LG전자를 각각 창업해 세계적 전자업체로 키운 공로로 미국 소비가전협회(CEA)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 회장(왼쪽)과 구인회 LG그룹 창업 회장.

    중앙일보

    2012.05.02 00:42

  • [시론] IT산업, 다시 신발끈 조여매자

    [시론] IT산업, 다시 신발끈 조여매자

    신강근미국 미시간대학 석좌교수컴퓨터공학 지난 30여 년간 인터넷 네트워킹 기반의 정보기술(IT)혁명이 우리의 삶 곳곳에 영향을 미쳐 왔음을 경험하고 또 목격해 왔다. 역사학자들이

    중앙일보

    2011.05.24 00:21

  • 신기술 이전해 주고 25억 로열티…반도체·2차전지 ‘대박 제조기’

    신기술 이전해 주고 25억 로열티…반도체·2차전지 ‘대박 제조기’

    태양전지, 반도체 연마제 등 기술을 기업에 이전해 로열티 25억원을 받은 백운규 한양대 교수. 그는 “기술을 개발해 산업현장에 적용하는 것이 공학인의 소임”이라고 말한다. 한양대

    중앙일보

    2010.07.08 20:09

  • 대학 경쟁력을 말한다 ④ 김종량 한양대 총장

    대학 경쟁력을 말한다 ④ 김종량 한양대 총장

     한양대는 올해 70주년(5월 15일)을 맞는다. 발전 청사진은 ‘실용인재’ 양성과 ‘연구 특화’다. 김종량 총장은 “7대 첨단 기술 분야와 학문 분야 융·복합으로 캠퍼스를 특화하

    중앙일보

    2009.02.10 02:39

  • 삼성, 차세대 TFT 기술 개발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등에 널리 쓰일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삼성전자는 전기전자공학자협회(IEEE) 주최로 15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세계

    중앙일보

    2008.12.16 00:10

  • 미래 유망 직종은 ‘저CO2 녹색성장 일자리’에 눈 돌려라

    미래 유망 직종은 ‘저CO2 녹색성장 일자리’에 눈 돌려라

     한국은 산업화를 거쳐 이제 지식기반 경제로 빠르게 이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산업과 관련된 직업에서 제공하는 일자리는 정체되거나 감소될 것이다. 반면 새롭게 성장하는 산

    중앙일보

    2008.12.08 00:56

  • 성공 창업의 첫걸음 “온라인 MBA로 손쉽게”

    안철수 연구소 안철수 의장이 창업 10년을 맞아 자신의 분신과도 같은 안철수 연구소를 떠났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와튼스쿨 EMBA(Executive MBA) 과정에 입학하기 위해서

    온라인 중앙일보

    2007.11.16 11:30

  • [송호근칼럼] 쪼개고 파고 누르기

    'IT한국’의 상징기업인 삼성전자가 집적도 혁신에 성공했다. 40나노의 벽을 넘어 30나노 64기가비트(Gb) 낸드플래시 메모리의 장을 연 것이다. 보도에 의하면 고화질 영화 5편

    중앙일보

    2007.10.29 20:06

  • [로봇이야기] 로봇 의사

    [로봇이야기] 로봇 의사

    필자는 1990년대 후반부터 의사들을 만나 왔다. 2000년부터 5년간은 캡슐형 내시경 개발을 위해, 그 이전에는 짬짬이 만났다. 최근 또다시 만남이 시작됐다. 모두 인체 진단이

    중앙일보

    2007.06.15 20:41

  • [시론] 하이닉스가 미국에 있었다면 …

    [시론] 하이닉스가 미국에 있었다면 …

    1998년 IBM이 반도체 칩의 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미 버몬트주에 있는 자사 반도체 공장의 생산공정을 알루미늄에서 구리로 바꾼 과정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선 세계 최

    중앙일보

    2007.03.01 20:56

  • [CoverStory] '통섭'

    [CoverStory] '통섭'

    물리학 오세정(서울대 자연대학장), 행정학 염재호(고려대), 경영학 김진우(연세대) 교수, 화학 문대원(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박사 등 아무런 연관이 없을 것 같은 이질적 분야의 학자

    중앙일보

    2006.12.21 18:58

  • [사람 사람] 한국 산업용 로봇 분야 초석 놓아

    [사람 사람] 한국 산업용 로봇 분야 초석 놓아

    한국 제어공학의 선구자인 고명삼(75) 서울대 명예교수가 24일 닛케이 아시아상을 받았다. 이 상은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이 ▶경제발전▶과학기술▶문화 등 3개 부문에서 업적을

    중앙일보

    2005.05.25 05:16

  • [중앙 포럼] 손재주와 프리마돈나

    '한국의 국보'이자 생명공학(BT) 산업을 통해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를 열게 할 주역으로 꼽히는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교수. 그가 "난치병 환자 치료를 미룰 수 없다"며 인간 배

    중앙일보

    2004.10.25 18:31

  • "세계 화학자들 내 논문 많이 봐 기뻐"

    "괜찮은 논문들을 썼다는 생각은 들었지만 이렇게 좋은 평가를 받을 줄 몰랐습니다. 앞으로 더 열심히 연구를 해야겠다는 책임감을 느낍니다." 포항공대 박수문(朴壽文.62.화학) 교수

    중앙일보

    2003.04.07 17:53

  • '지놈지도'사실상 완성-문답풀이

    세계 18개 지놈연구기관들에 의해 일제히 발표된 지놈프로젝트는 첨단 슈퍼컴퓨터들과 내로라 하는 유전공학자들이 동원된 대역사(大役事) 였다. 이 기술은 향후 인류의 복지를 위해 쓰일

    중앙일보

    2000.06.27 09:39

  • '지놈지도'사실상 완성-문답풀이

    세계 18개 지놈연구기관들에 의해 일제히 발표된 지놈프로젝트는 첨단 슈퍼컴퓨터들과 내로라 하는 유전공학자들이 동원된 대역사(大役事)였다. 이 기술은 향후 인류의 복지를 위해 쓰일

    중앙일보

    2000.06.27 00:00

  • 다가오는 컴퓨터의 벽

    컴퓨터공학자들이 자주 언급하는 ''무어의 법칙''은 사실 과학적 근거가 전혀 없는,법칙 아닌 법칙이다. 1960년대에 인켈사의 고든 무어 회장은 같은 크기의 실리콘칩에 담기는 트랜

    중앙일보

    1999.10.11 08:32

  • [분수대] 다가오는 컴퓨터의 벽

    컴퓨터공학자들이 자주 언급하는 '무어의 법칙'은 사실 과학적 근거가 전혀 없는,법칙 아닌 법칙이다. 1960년대에 인켈사의 고든 무어 회장은 같은 크기의 실리콘칩에 담기는 트랜지스

    중앙일보

    1999.10.10 20:46

  • [옷감에서 접착제까지…신소재 열쇠 쥔 생물들]

    하찮은 전복이 화학공학자들이 부러워 할만 한 마술적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이들은 많지 않다. 거미줄도 마찬가지. 거미줄로 옷감을 짜면 같은 두께의 강철보다 10배나

    중앙일보

    1999.03.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