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700명 학살' 이끈 미얀마 군부 수장, 결국 아세안회의 갔다

    '700명 학살' 이끈 미얀마 군부 수장, 결국 아세안회의 갔다

    미얀마 내 반군부 시위로 7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 가운데 미얀마 군부 최고지도자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이 24일 동남아국가연합(ASEANㆍ아세안) 특별 정상회의 참석

    중앙일보

    2021.04.24 15:28

  •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김대중과 아웅산 수치, 미얀마 민주화 관련 사료 최초 공개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김대중과 아웅산 수치, 미얀마 민주화 관련 사료 최초 공개

    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관장 한석희)은 1990년대 중반 김대중과 아웅산 수치 그리고 미얀마(버마) 민주화 관련 사료를 최초로 공개한다. 이번에 공개하는 사료는 1994년 12월

    중앙일보

    2021.03.10 15:52

  • 미얀마 미스터리…민심 얻고도 군부 앞에선 작아지는 수지 왜

    미얀마 미스터리…민심 얻고도 군부 앞에선 작아지는 수지 왜

    의아한 건 시점이다. 군부는 2015년 11월 총선에서 승리한 아웅산 수지의국민민주연맹(NLD·민족민주연맹으로 번역하기도 함)이 2016년 3월 민간·민주 정부를 수립한 지 5년

    중앙일보

    2021.02.08 06:00

  • 교황 오자 시진핑 찾아가는 아웅산 수치

    교황 오자 시진핑 찾아가는 아웅산 수치

    27일 미얀마 수도 앙곤에 도착한 프란치스코 교황이 환영나온 어린이들과 악수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아웅산 수지 미얀마 국가자문역 겸 외교부 장관이 30일 중국을 방문할 예정

    중앙일보

    2017.11.28 14:54

  • [백가쟁명:유주열] 미얀마의 봄과 아웅산 수지

    지난 달 3월 미얀마의 수도 네피도에서는 새로운 정권이 탄생했다. 지난 해 총선거에서 군부의 지원을 받는 통합단결발전당(USDP)에게 승리한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의 총재 아웅산

    온라인 중앙일보

    2016.04.05 10:17

  • 군부와 타협에 우군 이탈 민주화 꽃 수지의 딜레마

    군부와 타협에 우군 이탈 민주화 꽃 수지의 딜레마

    미얀마 야당 지도자 아웅산 수지가 10일 양곤에서 창당 25년 만에 처음 열린 국민민주주의연맹(NLD) 전당대회에서 연설하고 있다. [양곤 AP=뉴시스]“정식 요청이 없어서 미얀마

    중앙일보

    2013.03.11 00:56

  • 닮은꼴 두 지도자 박근혜·수치 29일 처음 만난다

    닮은꼴 두 지도자 박근혜·수치 29일 처음 만난다

    박근혜(61) 대통령 당선인과 미얀마 민주화의 상징 아웅산 수치(68) 의원이 29일 만난다. 수치 의원은 평창 스페셜 올림픽 개막식 참석차 28일 입국한다. 한국에 온 다음날 오

    중앙일보

    2013.01.21 00:43

  • “군부헌법 수호 선서 못 해” 수치, 국회 등원 거부 선언

    미얀마 민주화운동 지도자 아웅산 수치 여사가 국회 등원 거부를 선언하며 본격적인 정치 행보에 나섰다.  AP통신에 따르면 수치 여사가 이끄는 야당 국민민주주의연맹(NLD)은 23일

    중앙일보

    2012.04.24 01:53

  • 수치, 24년 만에 해외 나들이

    수치, 24년 만에 해외 나들이

    미얀마 민주화운동 지도자인 아웅산 수치(사진) 여사가 24년 만에 해외 방문길에 오른다. AP통신 등 외신들은 18일 수치 여사가 이끄는 야당 국민민주주의연맹(NLD)의 성명을 인

    중앙일보

    2012.04.19 00:00

  • 주가 오른 미얀마 “수치 여사 모셔라” 중국·인도 외교전

    주가 오른 미얀마 “수치 여사 모셔라” 중국·인도 외교전

    미얀마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 완화가 가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1일 치러진 보궐선거가 민주적으로 진행됐다는 평가에 따라 미얀마 정부의 개혁에 대한 신뢰가 한층 커졌기 때문이다.

    중앙일보

    2012.04.17 00:00

  • [세계 속으로] ‘미얀마의 봄’ 숨은 주역 세인

    [세계 속으로] ‘미얀마의 봄’ 숨은 주역 세인

    지난해 8월 세인 미얀마 대통령과 수치 여사는 첫 공식 회담을 했다. 두 사람이 미얀마 독립의 영웅이자 수치 여사의 아버지인 아웅산 장군의 초상 앞에 섰다. [AP] 민주주의는 피

    중앙일보

    2012.04.07 00:45

  • 정치 해빙 미얀마 … 경제도 봄바람

    정치 해빙 미얀마 … 경제도 봄바람

    330개의 객실이 있는 미얀마 양곤의 파크로열 호텔 식당은 아침식사 시간에 자리를 잡기가 어려울 정도로 북적거린다. 로비의 소파도 마찬가지다. 방을 예약하려면 몇 주 전부터 서둘러

    중앙일보

    2012.03.27 00:24

  • 세인 대통령, 수치에 화해 제스처

    세인 대통령, 수치에 화해 제스처

    세인 대통령(左), 수치 여사(右) 미얀마 민간 정부가 반세기에 걸친 군부독재정권 당시 수감됐던 정치범 300여 명을 12일 석방했다. 전날 테인 세인(Thein Sein·66)

    중앙일보

    2011.10.13 00:24

  • [뉴스 클립] 뉴스 인 뉴스 [154] 동남아 여성 정치 지도자

    [뉴스 클립] 뉴스 인 뉴스 [154] 동남아 여성 정치 지도자

    전통적으로 여성 역할이 강한 동남아에서는 여성 정치 지도자가 많이 배출됐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미얀마의 민주화 운동 지도자 아웅산 수치가 그중 한 명이다. 코라손 아키노 전 필

    중앙일보

    2010.12.06 00:21

  • 미얀마, 100여 명 사상 … 대규모 유혈사태 위기

    미얀마, 100여 명 사상 … 대규모 유혈사태 위기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점차 거세지고 있는 미얀마의 옛 수도 양곤에서 26일 시위대를 막기 위해 출동한 무장 병력이 트럭에서 내리고 있다. 양곤과 북부 만달레이 등에서 100여

    중앙일보

    2007.09.27 05:09

  • [주목받는 아시아정계 여걸 5인]

    안와르 이브라힘 전 말레이시아 부총리에 대한 투옥.고문 시비는 그의 부인 아지자 완 이스마일 (46) 을 아시아의 유력 여성정치인 반열에 올려 놓는 계기로 작용했다. 안과의사인 아

    중앙일보

    1998.10.03 00:00

  • 8.아웅산家

    미얀마 사람들의 가슴속에는 두개의 별이 있다. 하나는 미얀마의 독립영웅 아웅산, 또 하나는 반독재 투쟁의 화신으로 우뚝 서있는 그의 딸 아웅산 수지다. 미얀마의 독립과 건국과정에서

    중앙일보

    1997.01.20 00:00

  • 아시아 여성지도자 '시련의 해'

    아시아.중동에서는 서구에 비해 여성들의 사회활동이 미약하지만여성이 최고 권력을 잡거나 지도력을 발휘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나 올해의 경우 아시아 여성지도자들은 국내 분쟁 등에

    중앙일보

    1996.01.13 00:00

  • 아웅산 수지 곧 석방-군사정부와 회담결과 만족

    [방콕 AFP=聯合]가택연금상태에 있는 미얀마의 아웅산 수지여사가 조만간 석방될 것이 확실시된다고 방콕 포스트紙가 영국에체류중인 미얀마 수사(修士)인 우 레와타의 말을 인용해 18

    중앙일보

    1994.12.19 00:00

  • 미얀마 총선승리 축전

    ◇김대중 평민당총재는 30일 미얀마 총선에서 압승을 거둔 민주국민연맹지도자 아웅산 수 지 여사에게 축전을 보냈다.

    중앙일보

    1990.05.31 00:00

  • 미얀마르 야당 압승세/30년만의 총선 중간집계

    【양곤 로이터ㆍAPㆍUPI=연합】 27일 미얀마르에서 실시된 30년만의 다당제 총선 중간집계결과 야당인 민주국민연맹(NLD)은 수도 양곤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으며 다른 주요 도

    중앙일보

    1990.05.28 00:00

  • 의보 혜택 확충·주택 공급에 주력-전 대통령 새해 국정 연설 전문

    지난 한해에도 여러분께서 우리 나라 정치에 대화와 화합의 기풍을 확립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해 오신데 대해 본인은 깊은 경의를 표하는 바입니다. 이제 희망찬 갑자년 새해를 맞이하

    중앙일보

    1984.01.1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