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최근 한 탈북자가 말한 “우리 할아버지 백남운”

    ‘백남운’이라는 이름 석 자. 10월 초, 일본을 경유해 한국에 들어온 한 탈북자의 입에서 뜻밖에 그 이름이 튀어나왔다. 그가 정말로 백남운의 손자라면 우리 현대사의 얄궂은 운명

    중앙일보

    2011.10.30 07:38

  • 최치원·퇴계 향기 나는 비봉 산자락 끝 지혜의 샘

    최치원·퇴계 향기 나는 비봉 산자락 끝 지혜의 샘

    향로봉·비봉을 잇는 북한산 능선에 둘러싸인 한국고전번역원. 포근함을 느낀다. 이곳에서는 옛 성현의 지혜를 한글로 번역하는 작업을 한다. 번역원의 일부 연구실은 석유 난로로 겨울을

    중앙선데이

    2010.12.12 03:30

  • “전통 계승 못하면 신생국과 다름없어”

    “전통 계승 못하면 신생국과 다름없어”

    “우리 전통문화는 모두 한문으로 돼 있는데 해방 이후 한글만 사용하다 보니 문화가 단절되고 말았다. 고전번역을 통해 선조들의 철학과 역사를 계승하지 못하면 우리는 해방 이후 생긴

    중앙선데이

    2010.05.30 01:07

  • [북&피플]“고전은 보물창고예요 현실의 고민 풀 열쇠죠”

    [북&피플]“고전은 보물창고예요 현실의 고민 풀 열쇠죠”

    “고전은 보물창고예요. 자기계발·조직관리·인재등용 등을 다룬 귀한 텍스트가 가득하죠. 이를 젖혀두고 활용 못하는 게 안타까워 고전 대중화에 나서게 됐습니다.”  올 3월 출간된 『

    중앙일보

    2007.09.07 19:01

  • 93년 만에 환국하는 조선왕조실록

    93년 만에 환국하는 조선왕조실록

    일본 도쿄대에 있던 '조선왕조실록' 오대산 사고(史庫.역사서를 보관하던 곳)본이 7월께 한국에 돌아온다. 서울대 규장각은 30일 '조선왕조실록' 오대산본을 도쿄대로부터 돌려받기로

    중앙일보

    2006.05.31 04:34

  • [바로잡습니다] 2월 7일자 29면에 실린 '인터넷 조선왕조실록 완성…'란 기고문

    ◆ 2월 7일자 29면에 실린 '인터넷 조선왕조실록 완성 이제 국민이 보완할 차례'란 기고문에 실린 "국사편찬위원회는 1995년 민간기업의 협조를 받아 '국역 조선왕조실록'을 CD

    중앙일보

    2006.02.10 05:06

  • [내생각은] 인터넷 조선왕조실록 완성 이젠 국민이 보완할 차례

    국사편찬위원회가 새해 선물로 '인터넷 조선왕조실록'을 온 국민에게 드리고자 한다. 올해부터는 세계 어디서나 국사편찬위원회의 인터넷 조선왕조실록(sillok.history.go.k

    중앙일보

    2006.02.06 20:48

  • 조선왕조실록 공짜로 클릭!

    조선왕조실록 공짜로 클릭!

    조선왕조실록 인터넷 공개 메인 화면. 우리 기록문화의 꽃으로 꼽히는 조선왕조실록을 인터넷에서 누구나 무료로 볼 수 있게 됐다. 한자 원문과 한글 번역문 모두 공개된다. 국사편찬위원

    중앙일보

    2005.12.20 23:01

  • [Book] 문명의 실크로드 오간 조선의 선비들

    [Book] 문명의 실크로드 오간 조선의 선비들

    조선의 지식인들과 함께 문명의 연행길을 가다 김태준.이승수.김일환 지음 푸른역사, 560쪽, 2만4500원 장편 로드무비 같은 책이다. 로드무비가 무엇인가. 곧고 굽은 길을 따라가

    중앙일보

    2005.10.07 20:53

  • 해방이후 古典번역 자료 다 모아

    해방이후 古典번역 자료 다 모아

    수많은 국학(國學) 고전 가운데 어느 책을 누가 어느 곳에서 번역했는지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졌다. 민족문화추진회(회장 조순) 부설 국역연구소는 최근 '국학고전 국

    중앙일보

    2003.10.09 18:10

  • 국역된 한문 고전 서지정보 DB 추진

    1945년 이후 국내에서 번역돼 나온 우리 고전의 현황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작업이 추진 중이다. 고전번역 전문 연구기관인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구소는 3년 계획으로 현재까

    중앙일보

    2003.04.13 20:23

  • [지식/교양] '퇴계와 고봉, 편지를 쓰다'

    퇴계와 고봉, 편지를 쓰다/김영두 옮김, 소나무, 2만5천원 서양 학계에서는 자타가 공인하는 앙숙 관계에 있는 두 학자가 사적으로는 매우 돈독한 관계를 유지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고

    중앙일보

    2003.02.14 16:31

  • 정문연, 고문서 인터넷 서비스

    미시사, 신문화사 등 새로운 역사연구 바람을타고 요즘 각광받는 사료로 단연 고문서가 꼽힌다. 하지만 대부분이 한국어 냄새가 물씬 풍기는 이두식 한문이나 옛날 한글로 쓰여있고, 용어

    중앙일보

    2001.12.11 11:15

  • 한국학 자료들 인터넷으로 본다

    조선시대 궁중내 주요 사건 등 국가기밀을 기록한 승정원일기를 비롯해 일제시기 항일운동 자료 등 한국학 자료들을 일반인들도 인터넷을 통해 쉽게 볼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서울대 규장

    중앙일보

    2001.04.30 10:52

  • '동국이상국집' 인터넷에 뜬다

    국내 처음으로 북한학자에게 번역을 의뢰해 만든 한국 고전학술자료가 데이터베이스화 돼 일반에게 공개된다. 누리미디어가 오는 7월 중순 개설할 한국학 전문사이트 코리아5000(http

    중앙일보

    2000.06.14 08:58

  • '동국이상국집' 인터넷에 뜬다

    국내 처음으로 북한학자에게 번역을 의뢰해 만든 한국 고전학술자료가 데이터베이스화 돼 일반에게 공개된다. 누리미디어가 오는 7월 중순 개설할 한국학 전문사이트 코리아5000(http

    중앙일보

    2000.06.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