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천덕봉

    천덕봉 (해발 6백34m·경기도 이천군 백사면)은 잘 안 알려진 곳이지만 허리에 닿는 왜소한 소나무 숲을 헤치며 요철이 끊이지 않는 약 3km의 긴 능선을 타는 묘미가 뛰어난 「

    중앙일보

    1976.12.17 00:00

  • 등산

    영동의 태백산맥 주봉들을 제외하면 중부지방에서 겨울 산으로서의 압권은 뭐니뭐니 해도 역시 치악산(해발1,288m)이다. 오대산에서 시작된 차령산맥이 원주시를 감싸며 병풍처럼 웅장하

    중앙일보

    1976.12.03 00:00

  • 등산

    화악산.명지산.국망봉등 1천m이상의 고봉에 가려있던 경기도 가평군 북면에 있는 수덕산(794m)이 요즘 서울에서 당일 왕복 「코스」로서 흥미를 끌고 있다. 험준한 암벽같은 것이 없

    중앙일보

    1976.01.23 00:00

  • 청학도 소금강|강원도 명주군

    ○…폭서, 그리고 여름도 이젠 막바지. 유난히도 길고 지독했던 무더위를 속 시원히 씻어버리고 경쾌한 가을 등반의 채비를 차릴 때가 되었다. 가을을 재촉하는 마음으로 여름을 떠나 보

    중앙일보

    1975.08.20 00:00

  • 적막의극치 무학산(강원도화천군)

    ○…무더위가 기승을 부릴수록 심산유곡을 그리는 마음은 더욱 간절해진다. 그러나 피서만 쫓는다는 것은 건강생활이라 할 수 없고 오히려 내서가 바람직하며 그래서 이런 때일수록 등산의

    중앙일보

    1975.07.03 00:00

  • 흥룡봉

    한낮엔 수은주가 섭씨28, 29도나 치솟아 무성한 녹음과 옥수가 넘쳐흐르는 계곡이 더욱 그리워지는 완연한 여름이다. 광주산맥일대에서 가장 빼어난 계곡이라 할 수 있는 백운동·백운산

    중앙일보

    1975.06.12 00:00

  • 용계 조계

    ○…수은주가 상승 일로, 여름에 완전히 들어선 느낌이다. 이제부터의 산행은 수량 많고 녹음 드리운 깊은 계곡을 낀 산을 찾는 게 상책이라 하겠다. 경기도에선 최고의 절경을 자랑하는

    중앙일보

    1975.05.28 00:00

  • 거암 석벽이 하늘로 치솟은 월악산-충북 제천군

    정상에 높이 2백여m나 되는 거암 석벽이 하늘을 꿰뚫을 듯이 우람하게 치솟은 신비스런 산이 있다. 숱한 고봉준령들이 산재한 소백산맥 중에 험난하기로 이름난 해발 1천97m의 이 월

    중앙일보

    1975.03.05 00:00

  • 수림에 싸인 기암절벽 백덕산 강원도 영월

    강원도 영월군과 평창군, 그리고 횡성군의 3개군을 가르는 해발 1천3백50m의 백덕산이 서울에서 당일 코스로는 보기 드문 「헤비」급 산으로 요즈음 부쩍 산악인들의 발길을 끌고 있다

    중앙일보

    1975.02.20 00:00

  • 산세 험악한 기묘한 암벽|견치산

    태백산맥에서 뻗어 나와 반도의 허리를 가르는 광주산맥은 1천5백m의 화악산·국망봉을 비롯하여 9백35m의 운악산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고산령 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중 해발1천1백

    중앙일보

    1975.02.13 00:00

  • 눈 덮인 가파른 능선|광덕산|경기도 포천군

    이상난동이 계속되고 입춘까지 지나고 보니 백설의 낭만 속에 겨울동반을 즐기던 산악인들에겐 점점 엷어지는 산상의 적설이 사뭇 아쉬움을 느끼게 한다. 한 두 차례 추위가 다시 올 것이

    중앙일보

    1975.02.05 00:00

  • 뛰어난 암벽의 능선-국망봉|경기도 포천군

    이름난 산들이 즐비한 경기도 포천군 일대에서 겨울 등반의 묘미를 만끽할 수 있는 암벽의 능선이 가장 뛰어난 곳으로 해발 1,168m의 국망봉을 들 수 있다. 이동면에 소재한 국망봉

    중앙일보

    1974.12.04 00:00

  • 수없이 솟은 암봉 미륵산 도봉 원성 강원

    ○…능선과 정장이 온통 변화무쌍한 암석으로 이뤄진 아기자기한「코스」가 있다. 강원도 원성군 귀래면 새터리에 자리잡고 있는 해발6백96m의 미륵산은 구절양협의 골짜기도 일품이러니와,

    중앙일보

    1974.11.21 00:00

  • 지하철 잦은 연발착 서비스 불만-6백19억원 개통 3개 첫 차에서 막차까지

    지하철과 수도권 전철이 개통된지 4주째. 6백19억4천9백만원이라는 엄청난 돈을 들여 만든 이 전철은 개통 당시부터 잦은 연발착, 당국의 서비스 부족 등 운영 미숙으로 일반시민들로

    중앙일보

    1974.09.07 00:00

  • 지하철 러쉬아워 5분 평시 10분 간격|전철 경인 20분 경수·원 40분마다

    오는 15일 전철 및 지하철의 개통을 앞두고 철도청과 서울시는 안전 운행을 위한 마무리 작업이 한창이다. 철도청은 8일 지하철 및 전철의 열차 시간표를 상·하행 1백45편씩 모두

    중앙일보

    1974.08.08 00:00

  • 광덕∼박달∼백운계곡 아기자기한 순환코스

    ○…등산계는 7월에 접어들면 누구나 산행에 앞서 『갈까 말까』하고 망설이는 「시즌」-. 찌는 듯한 무더위 속에 지칠 대로 지쳐버린 등산객이라면 본격적인 산행으로 땀을 뺀 후 계곡의

    중앙일보

    1974.07.03 00:00

  • 변화무쌍한 암산 청량 산

    「코스」도 새롭고 산도 새로운 청량 산이「시즌」을 앞두고 등산 계에 소개되고 있다. 새로운「코스」라 해서 한번쯤 올라 보면 언제나『그 산이 그 산』이었지만 청량 산은 일찍이 등산전

    중앙일보

    1974.03.08 00:00

  • 「크리스머스」강습한 혹한 전국 곳곳서 교통두절

    「크리스머스」전날인 24일 새벽의 강추위로 주말에 내린 눈이 빙판으로 변해 전국 곳곳에서 교통이 끊겼다. 이날 상오까지 전국 22개소의 도로가 눈길에 막혀있고 일부 항공기가 결항했

    중앙일보

    1973.12.24 00:00

  • <내가 권하는 피서지(26)|공주 갑사·마곡사

    갑사는 공주서 45리, 마곡사는 60리. 거리가 비등비등하다. 공주까지만 가면 시간마다 「버스」편이 있고 교통이 매우 좋은 편. 여름철 피서지로서 이두 곳은 절 바로 경내에 개울이

    중앙일보

    1973.08.10 00:00

  • 서울서 버스요금 3백10원|교통

    서울마장동 시외「버스」정거장에서 아침6시부터 30분간격으로 「버스」가 떠난다. 저녁8시에 막차가 있다. 요금은 310원이며 소요시간은 2시간쯤. 의정부→포천→연천→지포리에서 내리되

    중앙일보

    1973.07.28 00:00

  • (3)포천 백운동 계곡-조대필(이대교수)

    경기도 포천군 이동면 도평리 백운동.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과는 광덕재(해발 644m의 「버스」길)를 사이에 두고 인접한 곳이다. 경치가 수려하지만 아직은 잘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일

    중앙일보

    1973.07.10 00:00

  • 짐 든 손님 안 태운다 여인 떠밀어 중상케

    24일 밤 10시 50분쯤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동2가 경원극장 앞 「버스」 정류장에서 서울 영61315호 시영「버스」(운전사 조동하·49) 뒷문차장 오모양(16)이 어린이를 업고「

    중앙일보

    1971.06.25 00:00

  • (5)박대통령의 새 구상을 중심으로|전개

    황산거 교수 김영준 교수 김하룡 교수 박봉식 교수 손제석 교수 ①어프로치 ②오적여건 ③북의 상황 ④내적 과제 ⑤전 개 이상에서「통일 구상」이 제시한 의미와 국내외의 조건 및 상황

    중앙일보

    1970.08.21 00:00

  • (36)6·25 20주 3천여의 증인 회견·내외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전쟁 3년|가장 길었던 3일(36)

    한강다리는 처음에는 27일하오 4시쯤에 끊을 계획이었다. 이날 하오께에 창동저지선이 무너지자 육본지휘부는 참모회의를 거쳐 시흥으로 후퇴를 결정, 하오 1시께부터 철수를 시작했다.

    중앙일보

    1970.06.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