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제1회 「21세기 중앙논문상」수상의 얼굴

    21세기를 지향하는 신문 중앙일보와 첨단기술의 선두주자 삼성전자가 공동으로 올해 처음 제정한 「21세기 중앙논문상」의 첫 수상자가 24일 발표되었다. 본지 창간20주년기념사업의 하

    중앙일보

    1985.09.26 00:00

  • 여기「20대의 정상」이…|우뚝선 젊음 내일을 연다.

    20대의 정상, 젊음의 우상이 한자리에 모였다. 영파워의 기수요, 새시대의 주역-겨레엔 내일의 희망을, 사회엔 새로운 에너지를, 자라는 2세엔 우리도 할 수 있다는 용기를 심어준

    중앙일보

    1985.09.21 00:00

  • 일과학기술 두뇌의 요람 쓰꾸바|인구 20만의 국제규모로 발돋움하는 「연구학원도시」

    일본과학기술두뇌의 요람 쓰꾸바 (축파) 연구학원도시는 녹지에 둘러싸인 조용한 분위기속에서도 활기에차있다. 그 이유는 요즈음 열리고있는 국제과학기술박람회가 끝나면 앞으로 더욱 과학기

    중앙일보

    1985.07.31 00:00

  • (5)

    영국 미래사회연구소인 헨리센터의「하웰·존스」소장은 21세기의 세계에 대한 각 국의 초청강연과 세미나 스케줄로 요즘가장 만나기 힘든 사람중의 하나다. 그는 매뉴페처러 하노버트러스트뱅

    중앙일보

    1985.02.14 00:00

  • 전산전문인력 "기근 풀린다.

    정부기관 기업및 가정에서까지 컴퓨터의 이용이 가속화되고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은 아직 전문요원및 전문교육기관의 부족으로 기계쪽의 보급속도를 뒤따르지 못하고 있

    중앙일보

    1984.10.23 00:00

  • 전산분야 인력 집중육성

    14일 청와대에서 보고 된 과학기술처의 올해 업무 계획보고 내용은 최근에 일기시작한 기술개발드라이브의 분위기를 올해부터를 실질적인 기술주도정책으로 끌어올려 내실있게 추진할 것을 골

    중앙일보

    1984.02.14 00:00

  • 지수로 계산해본 각국의 수준| 정보화 사회 한국은 아직 걸음마단계

    현대를 일컬어 정보화사회라고 말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는 정보화사회는 생활 중에 컴퓨터가 들어오는 정도로 해석되지만 과학적으로 보는 정보화 사회는 어느 집단의 정보화지수가 높을수록

    중앙일보

    1983.03.01 00:00

  • (1)한국대덕연구단지

    한국「과학두뇌」의 요람, 연구단지. 우리과학기술의 미래가 숨쉬는 곳이다. 연구소8개, 대학1개교(충남대), 연구종사자 1천5백여명이 과학한국에 열중하고 있다. 총면적 8백40만평에

    중앙일보

    1983.01.01 00:00

  • (7)-과학기술분야

    「과학기술의 개발 없이는 앞으로 경제성장은 힘들다」 는 일반적 인식이 다소 반영된 것이 82년 과학기술예산의 특색이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계는 지난 2년간의 침체에서 벗어나 조금씩

    중앙일보

    1981.10.02 00:00

  • 80년대를 이끌어 갈 사람들|컴퓨터 분야

    이미 지난 10여년간 한국에 「컴퓨터」분야를 도맡다시피한 사람인 성기수박사(45·한국과학기술연구소 전산개발「센터」부장)는 이제 흔들리지 않는 80년대의 일꾼으로 서 있다. 『70년

    중앙일보

    1980.01.15 00:00

  • 일본 경영 정보 개발 협회 이사장 도엽수삼씨

    『한국의 컴퓨터계는 10년 전의 일본 컴퓨터계를 방불케 합니다. 10년전만 해도 일본서는 컴퓨터의 용도나 가치에 대해서조차 인식이 제대로 돼 있지 않았습니다. 그것이 오늘날엔 7천

    중앙일보

    1971.04.01 00:00

  • 첨단과 원시가 공존하는 한국의 전자공업|서울 국제회의서 권위들이 말하는 오늘과 내일

    우리 나라의 진짜 전자 공업의 역사가 3년 정도라고 하면 아주 짧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제일 가는 전자 공업의 나라라는 미국에서 트랜지스터가 발명돼 나온 것이 고작 22년 전

    중앙일보

    1970.09.04 00:00

  • 「컴퓨터」에 맡겨라-성기수(과학기술연구소)

    70년대의 종장에서 회고할때 71년대 한국의 두드러진 사회현상으로서「컴퓨터」의 대중화를 들수있다. 60년대에 갑자기 늘어나기 시작한 「모터」(동력기계) 들은 한국경제의 양적팽창의

    중앙일보

    1970.01.01 00:00

  • 「파생기술」을 실익에

    58년에 발족한 NASA(미국립항공우주국)는 4년뒤 기술응용본부를 설치했다. 우주개발계획을 실현해 가다가 발생하는 신기술, 「노하우」, 관리기술등을 즉시 민간기업으로 연결해서 체질

    중앙일보

    1969.07.22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