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세상읽기] 중국이 말하는 아시아의 새 질서

    [세상읽기] 중국이 말하는 아시아의 새 질서

    [일러스트=강일구] 유상철 중국전문기자 어제 중국 상하이에서 ‘아시아 상호협력 및 신뢰구축회의(CICA)’가 개막됐다. 이틀 일정으로 46개 국가 및 기구의 지도자가 참석하고 있다

    중앙일보

    2014.05.21 00:48

  • [유상철의 중국읽기] 중국은 '깨지기 쉬운' 나라인가

    [유상철의 중국읽기] 중국은 '깨지기 쉬운' 나라인가

     ◆둔필승총(鈍筆勝聰)이란 말이 있다. 무딘 붓이 총명함보다 낫다는 이야기다. 책을 보고 며칠 지나면 알갱이는 흩어지고 잔상(殘像)만 남는다. 그래서 몇 자 옮겨 적기 시작했다.

    중앙일보

    2014.04.29 11:35

  • [Russia 포커스] "서방 중요해도 큰 대가 치르며 협력할 필요 없어"

    [Russia 포커스] "서방 중요해도 큰 대가 치르며 협력할 필요 없어"

    표도르 루키야노프정치학자외교국방 정책회의 의장우크라이나 위기는 러시아 정치사에 한 획을 그었다. 러시아는 1980년대 말부터 거의 4반세기 동안 지켜온 행동양식을 사실상 벗어났다

    중앙일보

    2014.03.28 00:03

  • [중앙시평] '언제 멈추어야 할지' 를 모르는 아베 정권

    [중앙시평] '언제 멈추어야 할지' 를 모르는 아베 정권

    장달중서울대 명예교수정치외교학 제2차 세계대전 후 냉전을 촉발시킨 스탈린. 그를 비난하는 영국 총리 이든에게 말했다. 자신은 히틀러와 다르다고. “히틀러의 문제는 ‘언제 멈추어야

    중앙일보

    2014.02.15 00:01

  • 군비경쟁에 길 내준 동북아 경제발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동북아시아는 놀라운 경제발전을 경험했다. 일본이 제일 먼저 제2차 세계대전의 폐허를 딛고 기적적인 경제발전을 이뤘고, 이어서 한국이 식민지 침탈과 국토분단,

    중앙일보

    2014.01.06 10:17

  • 군비경쟁에 길 내준 동북아 경제발전

    군비경쟁에 길 내준 동북아 경제발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동북아시아는 놀라운 경제발전을 경험했다. 일본이 제일 먼저 제2차 세계대전의 폐허를 딛고 기적적인 경제발전을 이뤘고, 이어서 한국이 식민지 침탈과 국토분단,

    중앙선데이

    2014.01.05 02:06

  • [사설] 한국, 경제 이어 외교도 샌드위치 신세

    ‘미·일 밀월…한국외교, 시험에 들다’. 지난 주말 본지 1면 머리기사 제목이다. 앞으로 군사력 감축이 불가피한 미국이 일본의 군사력 강화를 통해 중국을 견제한다는 입장이어서 한

    중앙일보

    2013.10.07 00:03

  • 미·일 밀월 … 한국외교, 시험에 들다

    미국이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과 군사비 증액에 지지 입장을 밝힘에 따라 동북아 안보 구도에 변화 가능성이 커졌다. 미·일 양국은 지난 3일 미·일 안전보장협의위원회의 공동성명을 통

    중앙일보

    2013.10.05 01:44

  • “북·중 관계, 근본적 변화는 없지만 ‘임계점’ 근접”

    “북·중 관계, 근본적 변화는 없지만 ‘임계점’ 근접”

    “시대가 정말 변했다. 한국인들이 중국에 와서 중국인과 함께 한반도 평화통일 세미나를 열다니….” 냉전사(冷戰史) 전문가로 유명한 뉴쥔(牛軍·59?사진)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 교

    중앙일보

    2013.07.29 10:05

  • "북·중 관계, 근본적 변화는 없지만 '임계점' 근접"

    "북·중 관계, 근본적 변화는 없지만 '임계점' 근접"

    “시대가 정말 변했다. 한국인들이 중국에 와서 중국인과 함께 한반도 평화통일 세미나를 열다니….” 냉전사(冷戰史) 전문가로 유명한 뉴쥔(牛軍·59·사진)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 교

    온라인 중앙일보

    2013.07.28 00:53

  • “북·중 관계, 근본적 변화는 없지만 ‘임계점’ 근접”

    “북·중 관계, 근본적 변화는 없지만 ‘임계점’ 근접”

    牛軍 1954년 충칭 출생. 88년 인민대 박사(역사학). 2000년부터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에서 가르쳐 왔다. 6·25전쟁, 중국의 외교 결정 과정 및 냉전역사, 중국의 외교전

    중앙선데이

    2013.07.28 00:11

  • [시론] 한반도를 떠도는 재냉전 유령

    [시론] 한반도를 떠도는 재냉전 유령

    김근식경남대 정치학 교수 한반도에 재냉전이라는 유령이 배회하고 있다. 이른바 ‘격’ 논란으로 남북 대화가 무산되는 현실을 목도하면서 상식과 사실 대신 몰상식과 왜곡이 판을 치는 비

    중앙일보

    2013.06.18 00:42

  • [사설] 리셋 요구되는 시진핑 시대의 북·중 관계

    중국의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리커창(李克强) 총리 체제의 출범을 공식화하는 양회(兩會)가 어제 정치협상회의(政協)를 시작으로 개막됐다. 정협은 중국의 최고 자문기구이고, 내

    중앙일보

    2013.03.04 00:13

  • [배명복 칼럼] 정전체제 60년 끝낼 때 됐다

    [배명복 칼럼] 정전체제 60년 끝낼 때 됐다

    배명복논설위원·순회특파원 올해는 한국전쟁 정전 60주년이 되는 해다. 한국전쟁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베트남전쟁 다음으로 많은 사상자를 낸 대규모 국제전이었다. 민간인을 포함해 약

    중앙일보

    2013.01.24 00:00

  • [기고] 아베, 나카소네 외교 배워야

    [기고] 아베, 나카소네 외교 배워야

    손기섭부산외대 교수·외교학과 1982년 11월 30일 밤 일본 나카소네 총리는 취임하자마자 세지마 류조 이토추 고문을 총리 관저로 불러 특명을 내렸다. 비밀특사로 가 한·일 관계를

    중앙일보

    2013.01.02 00:18

  • 『해방전후사의 인식』 읽은 세대 … 90년대 이후 한국 지형도 그리다

    『해방전후사의 인식』 읽은 세대 … 90년대 이후 한국 지형도 그리다

    “2012년 우리 사회의 모습은 구체적으로 언제 시작됐는가.” 전공이 다른 사회과학자 넷이 2년 전 머리를 맞대고 던진 질문이다. 박인휘(이화여대 국제정치)·강원택(서울대 정치학)

    중앙일보

    2012.12.20 00:08

  • [중앙시평] 대선판 뒷전으로 밀린 외교안보

    [중앙시평] 대선판 뒷전으로 밀린 외교안보

    장달중서울대 교수·정치외교학 대선판에서 외교안보가 뒷전으로 밀리는 모양새다. 동맹외교냐 균형외교냐를 놓고 치열하게 싸웠던 지난 대선 토론과는 판이한 양상이다. 워낙 경제·복지 이슈

    중앙일보

    2012.12.06 00:24

  • 한·러 ‘무비자 30일’방문 협정, 연내 서명할 것

    한·러 ‘무비자 30일’방문 협정, 연내 서명할 것

    40여 년 정치권에 몸담아온 마트비엔코 의장은 “러시아 여성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남성들과 경쟁한다”고 말했다. [신인섭 기자] 12일 오후 2시 서울의 힐튼 호텔. 인터뷰 장소로

    중앙일보

    2012.11.14 00:03

  • [사설] 중·러 결속으로 시험대 오른 한국 외교

    ‘아시아로의 회귀’를 선언한 미국에 대한 중국과 러시아의 견제가 본격화하고 있다. 극동에서 중동까지 드넓은 아시아를 무대로 미국 중심의 친미(親美) 진영과 중국·러시아 중심의 반

    중앙일보

    2012.06.07 00:03

  • 중국, 독자 항모 건조 중…10년 내 2척 이상 띄운다

    중국이 독자적으로 항공모함을 만들기 시작했으며, 2015년 이후엔 자체 제작한 항공모함으로 독자적인 작전능력을 보유하게 될 것이라고 미국이 전망했다.  미 국방부(펜타곤)는 18일

    중앙일보

    2012.05.21 00:43

  • 자본주의 ‘자기조절성’ 도전받아… 산업화 산물인 국가 역할 다시 디자인해야

    자본주의 ‘자기조절성’ 도전받아… 산업화 산물인 국가 역할 다시 디자인해야

    ‘한국사회 대논쟁’ 참석자들이 토론에 앞서 담소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손호철(서강대)·문휘창(서울대) 교수, 김종혁 국장, 최배근(건국대)·정용덕(서울대)· 한준(연세대) 교

    중앙선데이

    2012.02.05 02:47

  • 김정은 공개 비판한 형 정남 … 북한, 전에 못 본 변화 신호

    김정은 공개 비판한 형 정남 … 북한, 전에 못 본 변화 신호

    앤마리 슬로터 미 프린스턴대 교수가 연구실에서 인터뷰를 하던 중 활짝 웃고 있다. [워싱턴=이자은 기자]“생각했던 것보다 김정일에서 김정은으로의 체제 전환이 신속하고 매끄럽게 전개

    중앙일보

    2012.01.30 00:00

  • [시론] ‘신 한·미동맹 선언’ 요구된다

    [시론] ‘신 한·미동맹 선언’ 요구된다

    최명상한국안보·항공전략연구소장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최근 천명한 ‘새로운 국방전략(New Global Military Strategy)’은 냉전적 시스템을 제거하고 미래형

    중앙일보

    2012.01.12 00:00

  • [중앙시평] ‘한국의 키신저’를 갈망한다

    [중앙시평] ‘한국의 키신저’를 갈망한다

    오병상수석논설위원 1946년 2월 3일 모스크바 주재 미국대사관에 한 장의 전문이 날아왔다. 소련의 대외정책에 대한 워싱턴의 문의였다. 대사는 부재 중이었다. 42세의 부대사 조지

    중앙일보

    2011.12.2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