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서기 2100년은 세계의 위기"|미 MIT 과학자들이 쇼킹보고

    현재와 같은 비율로 인구가 증가하고 식량의 수요·산업화·자원 소비·환경 오염이 지금처럼 걷잡을 수없이 증가한다면 인간은 늦어도 2100년쯤에는 지구상에서 사멸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

    중앙일보

    1972.06.22 00:00

  • 일, 몽고에 경원 검토

    【동경=박동순 특파원】일본정부는 지난 2월에 국교관계를 수립한 몽고에 대한 경제원조를 검토중이라고 보도했다. 광물자원 개발을 위한 차관중심으로 이루어질 이 대 몽고 경제원조는「아시

    중앙일보

    1972.06.20 00:00

  • 해양개발 온 세계가 함께|내한 중인 미국의 두 해양학자에 듣는다

    지구 표면적의 약 70%인 3억6천1백만 평방 km를 약 1백37경(경은 조의 만배)t의 물로 덮고 있는 해양. 여기엔 35억t의 생물자원, 65억t의 광물자원, 기타 10억t 등

    중앙일보

    1972.05.06 00:00

  • 지구오염 예방하자|「로마·클럽」보고서서 촉구

    『인구증가와 경제성장을 적당히 억제하지 않는다면 지구와 인류는 환경오염과 식량부족 등으로 파국에 직면한다.』-세계의 지도적인 경제인·「이코너미스트」·과학자 등의 국제적 민간조직인

    중앙일보

    1972.04.04 00:00

  • 두개의 환경보호선언-유엔의 인간환경선언 원안

    ▲자원문제=대기·물·대지·동식물 등의 천연자원은 장차의 세대를 위해 주의 깊게 보존되어야 하며 광물자원은 고갈되지 않도록 사용해야 한다. ▲공해방지=유해물질 등의 배출은 생태계에

    중앙일보

    1972.02.11 00:00

  • (3)주요 외국 기업들이 펼치는 새 작전|세계 주요 1백50개사의 5년 뒤를 노린 기술경쟁

    오늘의 경쟁사회에서 기업의 무한한 성장을 기약해주는 것은 기술 개발력이다. 이에 따라80년대에는 우주·해양·정보·보건·교육·공해 방지 등의 이른바「미래기술」들이 잇달아 개발, 실용

    중앙일보

    1972.01.10 00:00

  • 하나밖에 없는 지구 첫 「유엔」인간 환경 회의|6월 「스톡홀름」서

    『하나밖에 없는 지구』-. 금년 6월 「스톡홀름」에서 개최될 「유엔」이 인간환경 회의가 채택한 「슬로건」이다. 1백30여개국 7천여 명의 대표들이 모일 예정인 이 회의는 「환경문제

    중앙일보

    1972.01.08 00:00

  • 지질학회 강연회

    대한지질학사는 71년도 추계 학술강연회를 25일 하오 2시 YMCA강당에서 갖는다. ▲해저광물자원의 오늘과 내일(김종수) ▲미국응용지질분야의 현황(최승일) ▲긴박한 자원문제와 지구

    중앙일보

    1971.11.24 00:00

  • 자원의 보고…해저를 진맥한다|첫 해양 지질 조사 선「탐 양호」명명

    뒤늦게나마 그리고 5년간 무상으로 빌린 것이나마 우리 나라 말로 이름이 붙여진 첫 해양 지질 조사 선이 72년 봄부터 우리 나라 동남서 3해에서 본격적인 조사 활동을 전개하게 됐다

    중앙일보

    1971.08.31 00:00

  • ①일·중공 접근으로 새 국면 맞은 한국 경제|일본·동남아 관계의 새로운 전개

    미국과 일본의 중공접근 움직임을 계기로 자유세계시장에 대한 중공의 본격적인 개인가능성이 표면화하면서 지금까지 미·일 지향으로만 시종 했던 「아시아」경제는 「동서해빙」과 「남북문제」

    중앙일보

    1971.07.28 00:00

  • 동지나해 해저개발 중공, 협상용의 비쳐

    【북평31일AFP합동】중공은 동지나해의 광물자원개발권을 일본 및 북괴측과 협상할 의도를 31일 처음으로 시사했다. 중공공산당기관지 인민일보는 대륙붕 해저자원개발문제에 관해 중공도

    중앙일보

    1971.01.04 00:00

  • 지질·광업

    ①석유개발 기금에 의한 장학금제도 설치로써 국내 지질 및 광산 학도 50여명(연간 약 5백만 원)의 장학금을 지불하여「엘리트」양성을 하게 된 것을 들 수 있다. 상공부 당무 국 산

    중앙일보

    1970.12.28 00:00

  • 광물자원개발 분야 대학생들에 장학금

    문교부는 13일 해저석유개발협약에 따른 교육기금 4백50만원을 마련, 서울대학교 등 13개 대학의 석유 및 광물자원개발분야를 전공으로 하는 대학원학생 12명과 대학생 66명 등 7

    중앙일보

    1970.11.13 00:00

  • 한국, 7광구 영유권 설명

    한국과 일본은 그 동안 문제가 되어온 두 나라 사이의 대륙붕 경계에 관해 의견을 나누었다. 일본측의「가미가와·요」주한공사는 4일 하오 외무부를 방문 김정태 아주 국장을 만났는데 한

    중앙일보

    1970.11.04 00:00

  • 광구설정과 한국의 장래-한국의 탐사 현황|경희대 주최 세미나 본 현황과 문제점

    한국의 대륙붕 구획 설정과 함께 개발계획이 본격화함으로써 해저광물차원개발이 큰 관심을 끄는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한국이 설정한 제7광구에 대해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나섰

    중앙일보

    1970.10.13 00:00

  • 경희대 법학 새미나

    경희대 법학 연구소는 9일 상오10시 동교 시청각교실에서 「대륙책구획설정과 한국의 장래」를 주제로 법조「세미나」를 갖는다. 주제 발표자는 다음과 같다. ▲대륙붕 개발과 한국의 장래

    중앙일보

    1970.10.10 00:00

  • 대륙붕 문제 일과 협의

    정부는 한국 서 남해 대륙붕에 설정한 해저광구에 대해 일본정부가 제기하고 있는 이의를 해소하기 위해 외교「채널」을 통해 협의를 벌일 방침을 세운 것으로 3일 알려졌다. 정부의 이러

    중앙일보

    1970.10.03 00:00

  • 일의 영유권트집속 새 쟁점으로|한국 제7해저광구

    7개 구역으로 나누어진 우리 나라 대륙붕 해저광물자원개발구역(29만평방㎞)의 석유·천연개스 부존광물자원개발이 본격화함에 따라 일본과의 대륙붕 영유권분쟁이 한일간의 새로운 쟁점으로

    중앙일보

    1970.09.30 00:00

  • 해저탐사에 새 방법

    인공 방사선 동위원소엔「칼리포르늄」252를 이용한 핵 탐지기가 해저에 묻힌 광물질을 탐색 측정해 낼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칼리포르늄」252 원소의 10만 분의 l 「온스」를 이

    중앙일보

    1970.08.03 00:00

  • 경부 고속도로변 광물 자원 조사

    국립 지질 조사 연구소는 경부 고속도로의 암반 지질 조사와 고속도로 연변의 광물 자원 탐사에 착수했다. 21일 지조에 의하면 고속도로 연변의 탐사를 위해 지난 18일부터 10일간의

    중앙일보

    1970.07.21 00:00

  • 대륙붕

    정부는 16일 총 7개 구역, 29만평방㎞에 이르는 해저대륙붕 광물자원개발구역을 확정했다. 대륙붕이라는 생소한 자연과학의 용어가 우리에게 처음 알려진 것은 1950년1월 이승만 전

    중앙일보

    1970.06.17 00:00

  • 대륙붕개발구역을 확정

    정부는 16일 우리 나라 대륙붕 해저광물자원개발 구역을 당초의 6개 구역에서 1개 구역 6만평방㎞를 추가한 총 7개 구역 29만평방㎞로 확장, 석유·천연개스등 부존 광물자원개발을

    중앙일보

    1970.06.16 00:00

  • 앞으로 백년 기술은 어디까지|미 매그로·힐사의 예측

    최근 미국 매그로·힐사는 『금후 1백년안에 미국에서 나타날 기술예측』결과를 공표했다. 기존 기업들에 의한 앞으로의 경영지향과 관련하여 그 내용을 간추려 보면-. ▲환경의 컨트롤에

    중앙일보

    1970.06.16 00:00

  • 심해채광 기업화단계로

    【뉴요크8일AP동화】심해에서 망간과 같은 광물의 채광은 미국의 한 회사가 오는 7월 플로리다주 앞바다 2백40㎞수역에서 착수하는 채광기술에 의거, 1975년까지에는 보편적인 기업으

    중앙일보

    1970.06.10 00:00